$\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 농업인 정착을 위한 사회적 농업의 역할 탐색
The Roles of Social Farming for Young Beginning farmers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7 no.2, 2020년, pp.89 - 110  

정성지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field cases of social farming programs for the youth's rural in-migration and to suggest the political and practical directions of the initiative of social farming in Korea. Two cases of social farm were selected and one operators and two participants of each farm were int...

주제어

표/그림 (5)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농업이란 어떤 개념인가? 사회적 농업은 농업을 단순히 생산적인 기능으로만 규격화했던 기존의 틀을 깨어 부수고 생태와 건강, 지역사회 활성화, 사회적 포용, 교육과 훈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원적 기능의 실천으로 그 범위를 확장하는 개념이다. 사회적 농업은 농업의 가치가 식량 생산을 통한 경제적 이윤 추구에만 있는 것이 아닌, 농업(cultivate) 자체적으로 문화(culture)를 형성함으로 사회적 의미를 지니는 가치와 가능성을 보여준다.
청년 농업인의 유입을 위하여 정부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후계농경영인육성사업, 신규취농지원 농지매입지원 사업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에 청년 농업인의 유입을 위하여 정부 차원에서 후계농경영인육성사업, 신규취농지원 농지매입지원 사업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동원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청년농의 정착 이후 성장경로가 부재하다는 점, 현장과 밀도 있게 연계되지 못한다는 점, 신규창농의 경우에는 지원 여건이나 접근성에 한계가 있다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어 청년 농업인의 성공적인 정착과 적응을 위한 숙제가 여전히 남겨져 있다. 기존의 지원 사업과 정책이 가지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이들에게 농업에 대한 뚜렷한 비전과 성장 경로를 제시하면서 현장과 밀접하게 연결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는 것이다.
40세 미만 청년 농가경영주의 수는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청년농업인의 유입률이 낮은 원인은 농촌사회와 인프라의 침체, 소규모 농업 지양 현상, 농지 기반 접근성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나며(White, 2012), 이는 농촌의 세대문제와도 연결된다. 40세 미만 청년 농가경영주는 2000년대 9만 1천명이었다가 2010년 3만 2천명, 2015년 1만 4천명으로 급감하고 있으며, 15년간 약 11.6% 감소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보았을 때 2025년에는 전체 농가 중 청년농업인의 비율은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국무총리 정부업무평가위원회. (2019). 100대 국정과제. https://www.evaluation.go.kr/psec/np/np_2_1_2.jsp 

  2. 김미옥, 김은경, & 박신애. (2013). 농촌지역 지적장애여성의 자녀양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사회복지연구, 44(4), 5-29. 

  3. 김정섭, 안 석, 이정해, & 김경인. (2017).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 김정섭. (2018). 사회적 농업, 농업과 농촌의 탈영토화: 홍성군 장곡면 사례. 농촌지도와 개발, 25, 121-134. 

  5. 김찬양. (2017). 사회적 농업. 씨오쟁이, 26, 7-9. 

  6. 농림축산식품부. (2018). (공지)2019년도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사업 시행지침. 동 기관. 

  7. 농림축산식품부. (2019a). 2019년도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 사업시행지침. 동 기관. 

  8. 농림축산식품부. (2019b). 사회적 농업 육성. http://www.mafra.go.kr/mafra/1358/subview.do 

  9. 농림축산식품부. (2019c). 청년농업인 육성정책. http://www.mafra.go.kr/mafra/1080/subview.do 

  10. 농림축산식품부. (2019d). 2019년도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 사업시행지침. 동 기관. 

  11. 농림축산식품부, (2020). 2020년도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사업시행지침(안). 동 기관. 

  12. 마상진, & 김경인. (2017). 청년 영농창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13. 마상진, 정은미, & 김경인. (2017). 고령화시대 청년창업 농업인 육성체계 개선방안. 나주: 농촌경제연구원. 

  14. 미래정책연구실. (2019). 사회적농업 과거와 현재 흐름. 농업농촌식품동향, 22, 27-49. 

  15. 사회적농업연구회. (2019). 사회적농업육성법 입법 추진 반대 성명서. 사회적농업연구회. 

  16. 유리나, & 황수철 (2018). 다층적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 적 농업 실천사례의 특성 연구.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89-289. 

  17. 윤선희, & 윤향미. (2018). 사회적농업 육성 및 인식확산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4(3), 65-89. 

  18. 이정해. (2017). 유럽의 사회적 농업: 실천과 지원 정책. 농정연구, 63, 48-71. 

  19. 임송수, & 임지은. (2017). 사회적 농업: 패러다임 전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현안분석, 26, 1-23. 

  20. 전영현, & 임송수. (2016). 일본의 사회적 농업. 해외농업농정 포커스, 196, 1-21. 

  21. 통계청. (각 년도). 농업총조사. 대전: 통계청. 

  22. 황수철. (2018). 농업발전전략을 바꿔라. 농정연구, 67, 14-79. 

  23. 황보혜. (2019). 사회적농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일자리창출형 중심으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4. Di Iacovo, F., & O'Connor, D. (2009). Supporting policies for social farming in Europe: progressing multifunctionality in respojnsaive rural areas. Universita di Pisa. http://hdl.handle.net/11568/132812 

  25. Di Iacovo, F., Moruzzo, R., Rossignoli, C., & Scarpellini, P. (2014). Transition management and social innovation in rural areas: lessons from social farming. The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Extension, 20(3), 327-347. doi: 10.1080/1389224X.2014.887761 

  26. Fazzi, L. (2011). Social co-operatives and social farming in Italy. Sociologia ruralis, 51(2), 119-136. doi:10.1111/j.1467-9523.2010.00526.x 

  27. Garcia-Llorente, M., Rossignoli, C. M., Di Iacovo, F., & Moruzzo, R. (2016). Social farming in the promotion of social-ecological sustainability in rural and periurbanareas. Sustainability, 8(12), 1238. doi:10.3390/su8121238 

  28. Hassink, J. (2009). Social farming across Europe: Overview. In F. Di lacovo, & D. O'Connor(Eds.), Supporting policies for social farming in Europe: Progressing multifunctionality in responsive rural areas (pp. 21-42). Firenze: Arsia. 

  29. IFAD. (2010). Rural Poverty Report 2011. Rome: International fund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30. Kilpatrick, S., & Falk, I. (2001). Benefits for all: How learning in agriculture can build social capital in island communities. Centre for Research and Learning in Regional Australia. http://citeseerx.ist.psu.edu/viewdoc/download?&reprep1&typepdf doi:10.1.1.467.7283 

  31. Knapik, W. (2017). Community-based social farming (CSF) and its educational functions. Problems of Small Agricultural Holdings, 2, 17-31. http://dx.doi.org/10.15576/PDGR/2017.2.17 

  32. Knapik, W. (2018). The innovative model of communitybased social farming (CSF). Journal of Rural Studies, 60, 93-104. doi:10.1016/j.jrurstud.2018.03.008 

  33. Sempik, J ., Hine, R., & Wilc ox, D. (Eds.). (2010). Green care: A conceptual framework: A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health benefits of green care. Loughborough, UK: Loughborough University. 

  34. Smith, P., & Sanchez, A. (2011). Farming education: A case for social games in learning. In R. Schumacher(ed.), Virtual and Mixed Reality: Systems and applications (pp. 73-79). Berlin, Heidelberg: Springer. 

  35. Tulla, A. F., Vera, A., Valldeperas, N., & Guirado, C. (2017). New approaches to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Social farming as an opportunity in Europe? Human Geographies, 11(1), 25-40. doi:10.5719/hgeo.2017.111.2 

  36. White, B. (2012). Agriculture and the generation problem: rural youth, employment and the future of farming. IDS Bulletin, 43(6), 9-19. doi:10.1111/j.1759-5436.2012.00375.x 

  37. Yin, R. K. (1994). Discovering the future of the case study. Method in evaluation research. Evaluation practice, 15(3), 283-29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