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사가(私家) 정원에서의 양학(養鶴) 사례
A Cases of Crane Breeding(養鶴) at Private Homes(私家)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2, 2020년, pp.42 - 59  

홍형순 (중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사가 정원에서 학을 기른 실제 사례를 살펴봄으로서 여기에 반영된 보편적 의미와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정원문화의 실체에 보다 가깝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조선 시대이며 내용적 범위는 사가(私家)에서의 사례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문헌 자료는 한국고전종합데이터베이스에 탑재되어 있는 고전번역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관련 연구자의 번역 자료도 추가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친, 사대부, 향촌 사족, 평민 등 다양한 신분의 인물이 학을 기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을 기른 인물 중에는 조선시대 정치와 학문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도 있으며 일부 경우에서는 평생에 걸쳐 처사의 삶으로 일관하며 학을 기른 인물도 있었다. 둘째, 전국 경향각지에 학을 기른 사람들이 있었다. 특히 한양 도성 내를 비롯해 인근에서도 여러 사례가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셋째, 학을 기르는 행위는 혈연과 교우관계, 사승 등 학맥과 관련성이 컸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학 기르기는 단순한 취향이나 풍류이기 보다 한 인물의 삶의 태도와 지향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임포의 고사를 토대로 하는 성리학적 출처의식이 학을 기르는 행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 일부의 경우에서는 도가적 취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 사례도 있었다. 다섯째, 학을 길들이는 것을 생업으로 삼은 사람도 있었다. 이러한 점은 학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존재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번역 자료에 의존해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추후 자료의 발굴과 번역 성과가 더욱 축적된다면 보다 풍부한 사례를 확인할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ases of crane breeding at private home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reby identifying the universal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is act reflected in these cases. This study is likely to help understand the true nature of garden culture duri...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75)

  1. Ahn, G. B. (2007). The Research on the Reinterpretation of the Records about Anapji, from Samguksaki.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4): 131-142. 

  2. Choi, B. G. translation. (2015). Monggyepildam(夢溪筆談) 1. Pajoo: Bumwoosa. 

  3. Songsa(宋史) Vol. 457, Yeoljeon(列?) No. 216. Eonil Sang(?逸上), Limpo Jeon(林逋傳)(??名句?, http://www.shicimingju.com). 

  4. Sanlimkyoungje(山林經濟) (http://db.itkc.or.kr). 

  5. Kim, H. G. and So, H. S. (2012). Cranes(Grus japonensis) Adopted as a Traditional Factor in Landscaping and Gardening 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3): 57-67. 

  6. Kyegokjip(谿谷集) (http://db.itkc.or.kr). 

  7. Cheongeumjip(淸陰集) (http://db.itkc.or.kr). 

  8. Ahn, H. J. (2018). Prince Anpyeong(1418-1453), His Character and Cultural Contributions.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300: 5-43. 

  9. Yi, W. W. (2005). The Literary & Artistic Activities of Prince Anpyeong Yi Yong and His Calligraphy.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246.247: 73-115. 

  10. Yukseonseangyugo(六先生遺稿) (http://db.itkc.or.kr). 

  11. Yeolseongeoje(列聖御製) (http://db.itkc.or.kr). 

  12.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http://db.itkc.or.kr). 

  13. Yang, H. S. (2019). The Literary and Spirit and the Significant of the Age of Gijae(企齋) Shin Kwang-han.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 30: 133-165. 

  14. Um, K. Y. (2014). Kijaekiyi and Kijae the Writing Space.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rature. 61: 189-213. 

  15. Lee, J. M. (2006). Cultural Space of Choseon 1. Seoul: Humanist. 

  16. Hong, H. S. (2014). Content and Meaning of Royal Garden Sightseeing Event in Pyoam's ?Hogayugeumwongi(扈駕遊禁苑記)?.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2): 1-11. 

  17. Dongmyeongjip(東溟集) (http://db.itkc.or.kr). 

  18. Seohajip(西河集) (http://db.itkc.or.kr). 

  19. Kim, K. H. (2012). Gobong Gi Dae Seung’s Rustication and His Philosophy as Life - Overcoming the Sentiment of Sorrow. The Research for Korean Historical Figures. 17: 155-185. 

  20. Gobongjeonseo(高峯全書) (http://db.itkc.or.kr). 

  21. Kang, D. W. (2010). Suwoodang(守愚堂) Choi Yeong-gyeong(崔永 慶). Gyeongsang Nat'l Univ. Nammyeonghakgyoyangchongseo 17. Seoul: Kyung-in-moon-hwa-sa. 

  22. Institute of Nammyunghak(2009). Deokkye(德溪) O Geon(吳健) & Suwoodang(守愚堂) Choi Yeong-gyeong(崔永慶). Seoul: Ye-moonseo-won. 

  23. Seoaejip(西厓集) (http://db.itkc.or.kr). 

  24. Kichukrok(己丑錄) (http://db.itkc.or.kr). 

  25. Galamjip(葛庵集) (http://db.itkc.or.kr). 

  26. Nongamjip(農巖集 ) (http://db.itkc.or.kr). 

  27. Jibongjip(芝峯集) (http://db.itkc.or.kr). 

  28. Taekdangjip(澤堂集) (http://db.itkc.or.kr). 

  29. Dongjoojip(東州集) (http://db.itkc.or.kr). 

  30. Wolsajip(月沙集) (http://db.itkc.or.kr). 

  31. Seokjoojip(石洲集) (http://db.itkc.or.kr). 

  32. Soosarok(隨?錄) (http://db.itkc.or.kr). 

  33. Seongsobooboogo(惺所覆?藁) (http://db.itkc.or.kr). 

  34. Park, J. H. translation. (2015). Soon-am(順庵) An Jeong Bok(安鼎福), Manmulyuchui(萬物類聚) . Seoul: Sung Kyun Kwan Unvi. Press. 

  35. National Museum of Korea(https://www.museum.go.kr). 

  36. Okdamsijip(玉潭詩集) (http://db.itkc.or.kr). 

  37. Lee, J. M. (2009). Okdamsijip(玉潭詩集)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http://db.itkc.or.kr). 

  38. Kieon(記言) (http://db.itkc.or.kr). 

  39. Kwon, O. Y. (2015). Study on Early 17th Century Joseon Academic Circles and Jo Gyeong’s Academic Tendency. The Choson Dynasty History Association. 75: 267-301. 

  40. Shin, B. J. (2017). The 17th Century Joseon Politics and Jo Gyeong’s Political Actions. The Choson Dynasty History Association. 80: 175-204. 

  41. Kim, M. S. (2015).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Yong-joo-yu-go (龍洲遺稿) (http://db.itkc.or.kr). 

  42. Jeong, H. C. (2012). The Poetic World of Yong Joo(龍洲) Jo Kyung(趙絅). Daedonghanmunhak. 37: 159-192. 

  43. Yongjooyugo(龍洲遺稿) (http://db.itkc.or.kr). 

  44. Seungjeongwonilgi(承政院日記) (http://db.itkc.or.kr). 

  45. Myungjaeyugo(明齋遺稿) (http://db.itkc.or.kr). 

  46. Soodangjip(修堂集) (http://db.itkc.or.kr). 

  47. Yakcheonjip(藥泉集) (http://db.itkc.or.kr). 

  48. Kim, S. A. (2004).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Baekhojeonseo(白湖全書) (http://db.itkc.or.kr). 

  49. Kim, K. L. (1998). A Study on Philosophy of Y?n-hyu with the Point of View of Lu-Wang-hsueh. The Study of Confucianism. 10: 181-203. 

  50. Baekhojeonseo(白湖全書) (http://db.itkc.or.kr). 

  51. Seogyejip(西溪集) (http://db.itkc.or.kr). 

  52. Kim, H. S. (2013). Seogyeyumuk(西溪遺墨) of Park Sedang. Korean Journal of Jangseogak Royal Library. 29: 128-170. 

  53. Hong, H. S. (2012). Yongdoseo(龍圖墅) and Guimunwon(龜文園) which Applied a Sangsu(象數) Principle on Garden Composi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2): 119-129. 

  54. Jookseokkwanyujip(竹石館遺集) (http://db.itkc.or.kr). 

  55. Choi, Y. J. (2009).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Seogyejip(西溪集) (http://db.itkc.or.kr). 

  56. Shin, Y. J. (2006). New Cultural Trend of 17th Century and Nangseogun Lee-u. Journal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27: 541-575. 

  57. Hwang, J. Y. (2012). A Study of Baengnyeon-nok, autobiographical Writing by Nangseongun Yi U.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52: 295-321. 

  58. Ho-Am Art Museum(2007). 'Traditional Garden in Korean Art.' Exhibition Art Brochure. 

  59.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Collection of Korean Work Series, Huyamjip(希菴集) (http://db.itkc.or.kr). 

  60. Seonghojeonjip(星湖全集) (http://db.itkc.or.kr). 

  61. Kim, M. H. (2007). The Theory of Poetry-Creation in Yaksan Oh Gwang-un. Tae-Dong Review of Classics. 23: 155-184. 

  62. Beonamjip(樊巖集) (http://db.itkc.or.kr). 

  63. Baek, S. H. (2017).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Beonamjip(樊巖 集) (http://db.itkc.or.kr). 

  64. Kang, M. J. etc. (2014).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Moomyungjajip (無名子集) (http://db.itkc.or.kr). 

  65. Moomyungjajip(無名子集) (http://db.itkc.or.kr). 

  66. Cheongjangkwanjeonseo(靑莊館全書) (http://db.itkc.or.kr). 

  67. Yoo, B. H. (1991). Cheokje(?齊) Lee Seo Gu(李書九)'s Study and Political Intention. Korean Culture 12: 321-344. 

  68. Hyangsanjip(響山集) (http://db.itkc.or.kr). 

  69. Lee, W. S. (1997).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Soodangjip(修堂集) (http://db.itkc.or.kr). 

  70. Park, E. S. (2009).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Hajaeilki(荷齋日記) (http://db.itkc.or.kr). 

  71. Riw, H. S. (2013). A Study on the Poetry Created by Governmental Supplier Ji, Ku-sik. The Research for Korean Historical Figures. 19: 3-28. 

  72. Park, E. S. (2009). A Study of Bunweon(分院) Gongin(貢人) Jigyusik(池圭植)'s Human Relationship. The Research for Korean Historical Figures. 11: 221-259. 

  73. Hajaeilki(荷齋日記) (http://db.itkc.or.kr). 

  74. Dasansimunjip(茶山詩文集) (http://db.itkc.or.kr). 

  75. Go, Y. J. (1994). The Thought of Keunkinamin Scholar in the Late 17th. Century. Yeoksa Wa Hyunsil; Quarterly Review of Korean History 13: 160-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