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소셜커머스 쇼핑몰 속성과 업체 특성이 쇼핑 만족도와 쇼핑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패션의류 구매 경험자를 중심으로
Effects of Mobile Social-Commerce Shopping Mall Attributes and Business Characteristics on the Shopping Satisfaction and Shopping Mall Loyalty: Focusing on Purchasers of Fashion Clothi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8, 2020년, pp.435 - 446  

안상희 (한성대학교 디자인아트평생교육원 패션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속성과 쇼핑몰 업체 특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러한 속성들이 쇼핑 만족도와 쇼핑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함이다. 연구에 참여한 응답자는 최근 1년 이내 모바일 소셜커머스 쇼핑몰에서 패션의류 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이다. 가설 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은 자료 타당성 검증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커머스 쇼핑 만족도에는 개인 맞춤 서비스와 쇼핑몰의 편리성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쇼핑몰 충성도에는 개인 맞춤 서비스와 제품의 다양성이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소셜커머스 쇼핑몰 업체의 특성 중 쇼핑몰의 명성이 쇼핑 만족도와 쇼핑몰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는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패션의류 시장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factors composing the attributes of mobile social-commerce shopping mall and the characteristics of shopping mall business, and also to verify the effects of those attributes on the shopping satisfaction and shopping mall loyalty. The respondents p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선행연구는 모바일 쇼핑몰의 속성과 업체 특성이 다수의 연구에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모바일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전자상거래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아직 연구가 미흡한 모바일에서 제공하는 소셜커머스의 특성을 고려한 쇼핑몰의 속성과 업체 특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는 것에 학문적인 의의를 부여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는 실무적 관점에서 모바일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유통전략에도 의미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되며 나아가 패션의류 시장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또한 소셜커머스 쇼핑몰은 데스크탑 PC, 테블릿 PC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해서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최근 소셜커머스 쇼핑은 대부분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이루어지기에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소셜커머스를 통해 쇼핑할 경우 패션의류 구매경험자들은 쇼핑몰의 속성과 쇼핑몰 업체의 특성을 어떻게 느끼고 행동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과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실무적 관점에서 쇼핑몰의 명성은 쇼핑몰의 신뢰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기에 쇼핑몰의 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의 유용성과 브랜드 자산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다. 그러므로 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품의 신뢰성, 서비스의 신뢰성 등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사료 드리는 바이다.
  • 소셜커머스의 이용이 대부분 모바일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의 속성을 이용하여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속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속성이 소비자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가 패션의류 제품 연구라는 것을 감안하여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속성에 제품의 다양성을 추가하였다. 이상의 속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쇼핑몰 업체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쇼핑몰의 명성과 쇼핑몰의 디자인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쇼핑몰의 명성은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인지도와 신뢰성 그리고 평판을 확인하고자 구성하였다.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디자인은 쇼핑몰의 분위기에 따른 시각적 일관성과 화면의 편리성 그리고 패션의류 제품과의 조화를 확인하고자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 쇼핑몰 속성과 업체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이 소셜커머스 쇼핑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의 쇼핑 만족도와 쇼핑몰 충성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는 183명이며 그 중 유효한 응답 180부를 본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 속성이란 점포 또는 사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특성으로서 여러 가지 차원을 포함하는 평가 기준을 뜻한다[23]. 본 연구에서는 e-Commerce 시장에서 모바일 분야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쇼핑의 중심이 모바일로 이동하였다는 점을 고려하여[4] 모바일 커머스의 속성을 통해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속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먼저 쇼핑몰의 명성은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인지도와 신뢰성 그리고 평판을 확인하고자 구성하였다.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디자인은 쇼핑몰의 분위기에 따른 시각적 일관성과 화면의 편리성 그리고 패션의류 제품과의 조화를 확인하고자 구성하였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Jarvenpaa와 Tractinsky[58], 전상택 등[59]의 연구를 토대로 9개의 문항을 본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 이상과 같이 모바일 커머스의 특성에 대해서는 연구자들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편재성과 편리성, 개인화 등은 공통된 속성으로 포함되어 있다. 소셜커머스의 이용이 대부분 모바일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의 속성을 이용하여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속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속성이 소비자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가 패션의류 제품 연구라는 것을 감안하여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속성에 제품의 다양성을 추가하였다.
  •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셜커머스가 전자상거래의 방식을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특성과 업체의 특성이 패션제품 구매행동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밝혀진 속성들을 참고하여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속성과 소셜커머스 쇼핑몰 업체 특성이 쇼핑 만족과 쇼핑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개인 맞춤 서비스가 쇼핑 만족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며 다음으로는 쇼핑몰의 편리성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설 1은 부분적으로 채택됨을 확인하였다.
  • 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개인 맞춤 서비스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며 다음으로는 제품의 다양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2는 부분적으로 채택됨을 확인하였다.
  • 그러나 쇼핑몰 디자인은 쇼핑 만족도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3은 부분적으로 채택됨을 확인하였다.
  • 가설 2. 소셜커머스 쇼핑몰 속성은 쇼핑몰 충성도에 정의 영향이 미칠 것이다.
  • 가설 4. 소셜커머스 쇼핑몰 업체 특성은 쇼핑몰 충성도에 정의 영향이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셜커머스의 유형 네 가지는 무엇인가? 소셜커머스의 유형은 크게는 공동구매 사이트와 SNS가 결합한 공동구매형, 소셜 네트워크를 기존의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링크하는 소셜링크형, 위치기반 서비스를 활용한 오프라인 연동형, 소셜 네트워크의 플러그인 기능을 활용한 소셜웹형 등의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19]. 국내의 소셜커머스는 대부분이 SNS를 활용한 온라인 공동구매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20].
소셜커머스와 기존의 인터넷 쇼핑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소셜커머스와 기존의 인터넷 쇼핑몰은 인터넷과 모바일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다는 유사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셜커머스가 파격적인 가격할인을 한다는 특성과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비자 참여 시장이라는 측면이 소셜커머스가 기존 인터넷 쇼핑몰과 구분된다고 볼 수 있다[5].
속성이 의미하는 것은? 속성이란 점포 또는 사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특성으로서 여러 가지 차원을 포함하는 평가 기준을 뜻한다[23]. 본 연구에서는 e-Commerce 시장에서 모바일 분야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쇼핑의 중심이 모바일로 이동하였다는 점을 고려하여[4] 모바일 커머스의 속성을 통해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속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A. Poddar, N. Donthu & Y. Wei. (2009). Web site customer orientation, web site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s: The role of web site personali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2(4), 441-450. 

  2. S. H. Woo & J. S. Hwang. (2013). The Effect of Fashion Consumer's Browsing Motives and Risk Perception on Purchase Intention in Social Commer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6), 772-785. http://dx.doi.org/10.5850/JKSCT.2013.37.6.772 

  3. J. S. Han. (2012). Social Marketing Utilizing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Service(LBSNS) Applications : Focusing on the cases of fashion brand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4, 17-26. DOI : 10.21326/ksdt.2012.34.002 

  4. H. H. Kim, B. H. Lee & P. H. Pack. (2017). Changes in the Domestic Social Commerce Industry and the Evolution of Firms' Strategic Responses: Focusing on Coupang, TMON and WEMAP. The Review of Business History, 32(4), 135-154. DOI : 10.22629/kabh.2017.32.4.006 

  5. K. H. Ahn.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ustomer Trust, Satisfaction, and Loyalty in Social Commerce Context : Focusing on Trust Transf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6. Statistices Korea. (2019). Online shopping trends in September 2019: Online overseas direct sales and purchase statistics included in Q3 2019, Statistices Korea.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7. N. M. Kim (2020). Effects of Fashion Shopping Orientations and Importance of Fashion Application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Mobile Shopping Environ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8. K S. E-Peng, Lim & Z. Shen. (2001). Mobile Commerce: Promises, Challenges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Database Management, 12(3), 4-13. 

  9. E. J. Ko, K. H. K & S. S. Kim. (2009).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7), 1164-1179. 

  10. C. Y. Kim, J. S. Hwang & J. J. Cho. (2015). Relationships among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Purchase Intention : Mediating Effect of Ease of 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2), 161-174. http://dx.doi.org/10.5850/JKSCT.2015.39.2.161 

  11. E. J. Park & E. M. Kang. (2016). Impacts of Fashion Products Attributes and Mobile Shopping Mall Attributes on Impulse Buy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8(2), 158-166. http://dx.doi.org/10.5805/SFTI.2016.18.2.158 

  12. H. S. Lee & Y. I. Chae. (2013). Impacts of Fashion Products Attributes and Mobile Shopping Mall Attributes on Impulse Buy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12(2), 215-229. http//doi.org/10.9716/KITS.2013.12.2.215 

  13. D. L. Kim, S. H. Lee & J. H. Park. (2003). A Study on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and Affecting Factors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s. Journal of Channel and Retailing, 8(1), 69-89. 

  14. E. J. Park & E. M. Kang. (2005). Effects of Shopping Value, Fashion Shopping Mall Attributes, Emotions and Purchasing Intention on Purchasing Behavior in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3(7). 117-128. 

  15. E. J. Ryou & O. S. Cho. (2005). The Effects of the Internet Shopping Values on Internet Shopping Behavior of Apparel Products : Focused on the Shopping Mall Attributes and Perceived Risk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3(2), 209-220. 

  16. J. M. Chae. (2016). The Effect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8(1), 38-47. http://dx.doi.org/10.5805/SFTI.2016.18.1.38 

  17. Y. S. Kim. (2014). Impact of Design Factors of Social Commerce Si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 Focus on Clothing/Fashion Websites.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2(2), 205-220. 

  18. G. S. Jin & J. H. Lee. (2012). Service Quality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Social Commerc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3), 311-321.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3.311 

  19. S. H. Kim, H. S. Park & G. A. Kim. (2011). A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rust of Social Commerce(s-Commer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6(3), 95-121. 

  20. E. H. Oh. (2014).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ocial Commerce and Its Relationship Quality to Influence Customers' Purchasing Intention. The e-Business Studies, 15(1), 255-275. 

  21. C. H. Kim (2011). Social commerce. Seoul: Bloterandmedia. 

  22. Y. J. Cho & H. S. Yang. (2012).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in Fashion Social Commerce Sites and SNS subjective Norm on Consumer Attitudes towards Social Commerce and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1), 1148-1161. http://dx.doi.org/10.5850/JKSCT.2012.36.11.1148 

  23. Z. J. Sun, Y. J. Mun & J. H. Lee. (2012). Effects of Social Commerce Attributes on the Trust, Flow and Loyal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2), 265-275.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2.265 

  24. D. Research. (2003). Mobile commerces report Gatian, A, W., Is User Satisfaction a Valid Measure of Systems Effectiveness?. Information and Management, 26(3), 119-131. 

  25. Cl. Irvine. (2008). Emerging Value Propositions for M-commerce. Journal of Business Strategies, 25(2), 41-57. 

  26. G. H. Lim & J. H. Lee. (2006). The Study on Purchase Intention of the Mobile Environment.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5(4), 189-209. 

  27. T. C. Kang. (2014). How Users Perceived Ubiquity of Mobile Service Influences on the Satisfaction and the Continuance Usage Intention. Locality & Communication, 18(4), 5-34. 

  28. P. K. Kannan, A. M. Chang & A. B. Whinston. (2011). Wireless commerce: marketing issue and possibilities. Proceedings of the 34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1-6. IEEE. https://doi.org/10.1109/HICSS.2001.927209 

  29. B. N. Choi & K. I. Han. (2018). The Effects of Mobile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on the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hopping Valu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8), 89-98. https://doi.org/10.14400/JDC.2018.16.8.089 

  30. K. D. Kim, Y. M. Yu & J. L. Kim (2013).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obile Commerce Characteristics Perception on Mobile Shopping Intentions.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3(6), 297-303. http://dx.doi.org/10.7236/JIIBC.2013.13.5.297 

  31. T. M. Lee, E. Y. Lee & B. J. Kim. (2003).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Purchase Intention in Mobile Commerce. e-Business Review, 4(1), 89-117. 

  32. K. H. Kim, S. Y. Kim & B. K. Lee. (2006). Empirical Study on Strategies for Successful Mobile Contents Servic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6(10), 89-98. 

  33. H. Y. Kim, K. E. Park. (2010). The Effects of e-Response on e-Service Quality in Hotel consumer's experience. The e-business studies, 11(5), 33-53. 

  34. T. M. Lee & J. K. Jun. (2004). A study on the Effects of Ubiquitous Connectivity and Contextual Offer on the Mobile-Commerce Adoption: An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korean management review, 33(4), 1043-1071. 

  35. G. B. Yu, H. M. Lee & S. K. Kim. (2016). The Impact of Mobile Personalized Service Perception on Mobile Shopping Satisfaction and Loyalty: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Perceived Control.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18(1), 1-21. 

  36. D. Riecken. (2000). Personalized views of personalization: Introduction. Communications of the ACM, 43(8), 26-28. https://doi.org/10.1145/345124.345133 

  37. H. J. Lee. (1999). Fashion Merchandising. Seoul : Academic researcher. 

  38. K. H. Shin. (2000). The Effect of Perceiving the Service Qualities and the Attributes of Products in Shopping Malls on Consumer's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eollanam-do. 

  39. K. M. Kim. (2015). A Study on the Product Attribute type and Consumer Characteristic on Social Commere Adaptation and Word of Mouth. Regional industry review, 38(3), 293-320. 

  40. S. H. Lee. (2014). The Impact of Consumers' Motivations on Attitude and Repurchase intention in Overseas direct purchase shopping. The e-business studies, 38(3), 293-320. 

  41. D. L. Hoffman, & T. P. Novak. (1997). A New Marketing Paradigm for Electronic Commerce, The Information Society, Special Issue on Electronic Commerce, 13(1), 43-54. https://doi.org/10.1080/019722497129278 

  42. Y. S. Ku & S. M. Lee. (2001). A Study on the Effect of On - line Store Attribute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f Internet Fashion Product Shopp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6), 1100-1112. 

  43. K. Lancaster. (1990). The Economic of Product Variety: A Survey. Marketing Science, 9(3), 189-206. 

  44. B. S. Hong, E. J. Lee & H. Y. Ma. (2009). The Effect of Merchandis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s on the Shopping Values,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Female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1), 1828-1838. 

  45. K. H. Ahn, S. H Han & N. H. Chung & Y. K. Lee. (2012).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ustomer Trust, Satisfaction, and Loyalty in Social Commerce Context: Focusing on Social Commerce Providers.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and Technology, 30(1), 145-161. 

  46. C. J. Fombrum & C. V. Riel. (1997). The reputation Landscape. Corporate Reputation Review, 1(1), 5-13. https://doi.org/10.1057/palgrave.crr.1540008 

  47. C. M. Kim & K. H. Cho (2004). E-Loyalty Analyzing Model on the Internet Shopping Mall. Korean Management Review, 33(2), 573-599. 

  48. N. Nguyen & G. Leblanc. (2001).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reputation in customers' retention decisions in service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8, 227-236. https://doi.org/10.1016/S0969-6989(00)00029-1 

  49. H. J. Yong, T. W. Chung & J. W. Han. (2011). Effects of Sport Game Viewers Attitudes toward Virtual Advertising, Product, and Brand on a Corporate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0(6), 825-839. 

  50. S. J. Lee & S. Y. Shin. (2013).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Impulsive Purchases by Advertisements: Focused on Expressive Style and Message Strategy. Advertising Research, 36, 219-241. 

  51. S. L. Jarvenpa & P. A. Todd (1997). Consumer Reactions to Electronic Shopping on the World Wide Web.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1(2), 58-88. 

  52. D. W. Lee. (1997). Analyzing and Researching The Messages of Internet Homepage Advertisements: Focused on Expressive Style and Message Strategy. Advertising Research, 36, 219-241. 

  53. K. H. Park (2012). A Study on the Factory of Design Influencing Purchase Decision-making Factors at Social Commerce Sit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9), 101-110. 

  54. H. J. Moon (2013). A Study on Social Commerce App from the UX Design.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2(3), 35-46. 

  55. Q. L. Hua. (2012). A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f Web Interface Design on SNS Sites of Korea and China-Focused on Cyworld Sites-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56. M. J. Lee, S. J. Chung & Y. J. Jeon. (2012). A Study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purchase Fashion Goods Through Social Commerce.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4(2), 63-74. https://doi.org/10.1016/j.jbusres.2008.01.036 

  57. K. D. Kim, Y. M. Yu & J. L. Kim. (2013). Study on the Influence of Mobile Commerce Characteristics Perception on Mobile Shopping Intentions By.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3(6), 297-303. http://dx.doi.org/10.7236/JIIBC.2013.13.5.297 

  58. S. L. Jarvenpaa & N. Tractinsky. (1999). Consumer Trust in an Internet Store: A Cross-Cultural Validation.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5(2), 1-35. http://dx.doi.org/10.1111/j.1083-6101.1999.tb00337.x 

  59. S. T.Jeun, H. J. Lee & G. B. Choi. (2010). A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he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in Social Commerc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5), 743-752. http://dx.doi.org/10.5805/SFTI.2013.15.5.743 

  60. Y. K. Suh & G. H. Koh. (2006). The Case of Tourists to Jeju Island: Shopping Characteristics of Visi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0(6), 17-19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