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 대중의 코로나19에 대한 불안, 지식, 감염 가능성, 감염예방 가능성, 감염예방행위 수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xiety, Knowledge, Infection Possibility, Preventive Possibility and Preventive Behavior Level of COVID-19 in General Public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8, 2020년, pp.87 - 98  

정애리 (부천대학교 간호학과) ,  홍은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중의 불안, 지식, 감염 가능성, 감염예방 가능성, 감염예방행위 수행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20년 4월 6일부터 4월 10일까지 20~50대 성인 208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코로나19 관련 불안, 지식, 감염 가능성, 감염예방 가능성, 감염예방행위 수행도 수준을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불안 점수는 성별, 연령, 결혼여부, 동거가족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지식 점수는 연령, 결혼여부에 따라, 감염 가능성은 연령과 지역에 따라, 감염예방행위 수행도는 성별, 연령, 결혼여부, 동거가족 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감염예방 가능성의 경우 대상자 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개인과 지역사회감염병 예방을 위한 적절한 보건 정책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감염병 유행 시기별로 응답자의 반응을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지역 범위와 대상자 규모를 확대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xiety, knowledge, possibility of infection, possibility of prevention and performance level for infection prevention among the general public according to the spread of COVID-19. Data were collected from 208 adults in their 20s and 50s from April 6th to 10th i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성인 208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대한 불안, 지식, 감염 가능성, 감염예방 가능성, 감염예방행위 수행도를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일반 대중들의 불안, 지식, 감염 가능성, 감염예방 가능성, 감염예방행위 수행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유행하는 동안 이와 관련된 불안, 지식, 감염 가능성, 감염예방 가능성, 감염예방행위 수행도를 파악하고 대상자 특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일반 대중들의 불안, 지식, 감염 가능성, 감염예방 가능성, 감염예방행위 수행도 수준을 파악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연구자들은 연구윤리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였으며, 연구과정에서의 연구 윤리를 최대한 준수하기 위해 동의서에 연구자 소개, 연구의 목적과 방법, 예상되는 위험 및 이득, 자유의사에 의한 연구 참여 및 동의 철회, 비밀보장 등에 대해 명시하였으며, 자발적 참여 동의를 얻은 경우에 자료를 수집하였고, 소정의 상품권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무기명으로 처리하여 개인 정보나 응답내용은 완전히 비밀이 보장되도록 함으로써 윤리적 관점에서 연구 대상자의 보호에 충실하고자 했다.
  •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대중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코로나19로 인한 불안, 지식, 감염 가능성, 감염예방 가능성, 감염예방행위 수행도를 파악하고자 하며 향후 또 다른 신종 전염병 발생 시 대응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 12월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로 확대 지정된 대상은 무엇인가? 2000년대 이후 전염성 질환의 대륙 간 확산이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신종 전염병의 유행건수가 증가하고 있다[1].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 12월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개정 공포하고 그 대상을 인수공통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의료관련감염병, 해외유입감염병, 신종감염병으로 확대 지정하였다[2].
코로나바이러스-19의 특징은 무엇인가? 코로나19는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생긴 비말(침방울)이나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을 만진 뒤 눈, 코, 입을 만짐으로써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잠복기는 1~14일로 평균 4~7일이다. 주증상으로 발열, 권태감, 기침, 호흡곤란 및 폐렴 등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한 호흡기 감염증이 나타나며 가래, 인후통, 두통, 객혈과 오심, 설사 등의 증상도 있을 수 있다. 전세계 치명률은 약 3.4%수준이며 국가별, 연령별 치명률 수준은 매우 상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고령,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 기저질환을 가진 환자가 주로 중증, 사망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으며 철저한 예방 수칙으로 예방 가능하다[3].
코로나바이러스-19란 무엇인가? 코로나바이러스-19(이하 코로나19)란 SARS-CoV-2 감염에 의한 호흡기 증후군으로 초기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명명되다가 세계보건기구(WHO)가 2020년 2월 20일 COVID-19로 명칭을 변경한 이후로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코로나19(일구)’라는 한글 표현을 별도로 정하였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E. Buliva et al. (2017). Emerging and reemerging diseases i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Eastern Mediterranean Region―progress, challenges, and WHO initiatives. Frontiers in public health, 5, 276. DOI : 10.3389/fpubh.2017.00276 

  2. https://www.law.go.kr 

  3. https://ncov.mohw.go.kr/ 

  4. https://www.who.int/ 

  5. S. H. Choi, H. W. Kim, J. M. Kang, D. H. Kim & E. Y. Cho. (2019).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Coronavirus disease 2019 in Children. Pediatric Infection & Vaccine, 27. DOI : 10.3345/cep.2020.00535 

  6. H. S. Oh. (2020). Systemic Review of Social Contacts of Person to Person Spread of Infectio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21(2), 85-93. DOI : 10.5762/KAIS.2020.21.2.85 

  7. B. Lowe et al. (2008). Valid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creener (GAD-7) in the general population. Medical care, 266-274. DOI : 10.1097/mlr.0b013e318160d093 

  8. R. L. Spitzer, K. Kroenke, J. B. Williams & B. Lowe. (2006). A brief measure for assess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GAD-7.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6(10), 1092-1097. DOI : 10.1001/archinte.166.10.1092 

  9. J. G. Seo et al. (2014). Validation of th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7 in people with epilepsy: a MEPSY study. Epilepsy & Behavior, 35, 59-63. DOI : 10.1016/j.yebeh.2014.04.005 

  10. O. S. Kim, J. H. Oh & K. H. Lee. (2016). The Convergence Study on Anxiety, Knowledge, Infection Possibility, Preventive Possibility and Preventive Behavior Level of MER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3), 59-69. DOI : 10.15207/jkcs.2016.7.3.059 

  11. S. Y. Hwang. (2015).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in Their 40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2), 313-323. DOI : 10.5392/jkca.2015.15.02.313 

  12. H. Jeong et al. (2016). Mental health status of people isolated due to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Epidemiology and health, 38. DOI : 10.4178/epih.e2016048 

  13. H. J. Yang et al. (2015). Community mental health status six month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in Ansan, Korea. Epidemiology and health, 37. DOI : 10.4178/epih/e2015046 

  14. J. Y. Heo. (2020).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onavirus Disease 2019 in the Early Stage of Outbreak. Korean Journal of Medicine, 95(2), 68-74. DOI : 10.3904/kjm.2020.95.2.67 

  15. C. S. K. Tang & C. Y. Wong. (2004). Factors infl uencing the wearing of facemasks to prevent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among Chinese in Hong Kong. Preventive Medicine, 39, 1187-1193. DOI : 10.1016/j.ypmed.2004.04.032 

  16. S. R. Quah & L. Hin-Peng. (2004). Cri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during SARS outbreak, Singapore. Emerging Infectious Disease, 10, 364-368. DOI : 10.3201/eid1002.030418 

  17. J. H. Jones & M. Salathe. (2009). Early assessment of anxiety and behavioral response to novel swine-origin influenza A (H1N1). PLoS one, 4(12). DOI : 10.1371/journal.pone.0008032 

  18. A. Bish & S. Michie (2010). Demographic and attitudinal determinants of protective behaviours during a pandemic: a review.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5(4), 797-824. DOI : 10.1348/135910710x485826 

  19. K. Eastwood et al. (2009). Knowledge about pandemic influenza and compliance with containment measures among Australians. Bulletin World Health Organisation, 87, 588-594. DOI : 10.2471/blt.08.060772 

  20. W. Cao et al. (2020). The psychological impact of the COVID-19 epidemic on college students in China. Psychiatry research, 287, 112934. DOI : 10.1016/j.psychres.2020.112934 

  21. B. J. Cowling et al. (2010). Comparative epidemiology of pandemic and seasonal influenza A in household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2(23), 2175-2184. 

  22. S. H. Park. (2019).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s related to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in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3(1), 33-46. DOI : 10.5932/JKPHN.2019.33.1.33 

  23. M. J. Kim. (2017). The Convergence Study of Nursing Students'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ve Behaviors against ME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4), 149-157. DOI : 10.15207/JKCS.2017.8.4.149 

  24. K. M. Almutairi et al. (2015). Awareness, attitudes, and practices related to coronavirus pandemic among public in Saudi Arabia. Family & community health, 38(4), 332-340. DOI : 10.1097/fch.0000000000000082 

  25. C. H. Basch, G. C. Hillyer, Z. C. Meleo-Erwin, C. Jaime, J. Mohlman & C. E. Basch (2020). Preventive behaviors conveyed on YouTube to mitigate transmission of COVID-19: cross-sectional study. JMIR public health and surveillance, 6(2), e18807. DOI : 10.2196/18807 

  26. https://hrcopinion.co.kr/ 

  27. S. J. Chang & J. H. Park. (2018). Knowledge, Attitudes and Compliance Regarding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s for MERS among Staff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6), 334-344. DOI : 10.5762/KAIS.2018.19.6.334 

  28. H. M. Tork & F. A. Mersal. (2018).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Corona virus: Knowledge and attitude of Qassim University students, KSA. Global Adv Res J Med Med Sci, 7(4), 90-7. 

  29. J. H. Park, S. J. Chang & K. S. Kim. (2017). Correlation between the Preventive Behaviors on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and the Knowledge, Attitude, and Compliance of Medically Inclined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7(4), 341-351. DOI : 10.17135/jdhs.2017.17.4.341 

  30. J. S. Choi & N. Y. Yang. (2010). Perceived Knowledge, Attitude, and Compliance with Preventive Behavior on Influenza A (H1N1) by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3), 250-259. 

  31. K. H. Lee. (2017). Knowledge, health belief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on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32. M. S. Kwon & J. S. Yu. (2019). Factors Influencing the Practice of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30(4), 460-470. DOI : 10.12799/jkachn.2019.30.4.460 

  33. D. W. Lee & I. S. Kwon. (2009). Knowledge and Practice of Infection Prevention by Mothers of Young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5(3), 306-313. DOI : 10.4094/jkachn.2009.15.3.306 

  34. Y. E. Choi & E. S. Lee. (2019).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Infection Management Intention & Educational needs of New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among Nurses who unexperienced NRID(SARS & M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2), 721-731. DOI : 10.5762/KAIS.2019.20.2.721 

  35. J. S. Choi, J. S. Choi & S. M. Park. (2009). Relationship of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n an Influenza A (H1N1) Base-Zone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3), 85-9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