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강내 세균의 산생성도와 칫솔 관리법에 따른 칫솔 세균 오염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t Study on Microbial Contamination of Toothbrushes According to Intraoral Bacteria Acidogenicity and Toothbrush Car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8, 2020년, pp.223 - 228  

박영남 (김천대학교 치위생학과) ,  류재기 (김천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사용 중인 칫솔의 관리법과 구강내 세균의 산생성도에 따른 칫솔의 세균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후 올바른 칫솔 관리를 위한 교육자료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건강한 20대 성인 50명의 1개월이상 사용 중인 칫솔을 수거하여 칫솔의 세균수와 pH를 측정하였다. 하루 칫솔질의 횟수가 4회인 경우 pH는 4.97로 가장 높았고 세균수는 42.16(104×CFU/ml)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칫솔의 사용 교체 시기가 1개월인 경우 pH가 5.35로 가장 높았고 세균수는 19.80(104 × CFU/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욕실에 보관한 경우 pH는 4.78로 가장 낮았고 세균수는 149.46(104 × CFU/ml)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연구결과 칫솔의 세균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가정에서 오염된 칫솔을 간단하게 살균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칫솔질 교육을 할 때 올바른 칫솔 세척 방법과 보관법에 대하여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d the amount of bacteria in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toothbrush in use and the acidity of intraoral bacteria. Toothbrushes in use in more than one month of 50 healthy adults were collected and the number of bacteria and pH of the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안 등[13]은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칫솔의 오염 정도를 조사한 연구에서 칫솔의 청결한 세척 방법과 주기적인 칫솔 교체가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 중인 칫솔의 세균량을 측정하여 오염 정도를 파악하고 칫솔 관리 방법 및 사용 기간에 따라 칫솔의 세균량을 알아본 후 올바른 칫솔 관리를 위한 교육자료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사용 중인 칫솔의 관리법과 구강내 세균의 산생성도에 따른 칫솔의 세균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후 올바른 칫솔 관리를 위한 교육자료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건강한 20대 일반 성인 50명을 대상으로 1개월 이상 사용 중인 칫솔을 수거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으며 구강내 산생성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칫솔질 횟수, 칫솔 교체시기, 칫솔 보관장소에 따른 세균수와 pH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최근 코로나 19의 감염과 확산이 심각하게 진행이 되면서 사용 중인 칫솔은 보관하는 동안 여러 가지 환경으로부터 오염이 되어 칫솔질을 하면서 감염의 도구로서 매개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주의하여 관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 중인 칫솔의 세균량을 측정하여 오염 정도를 파악하고 칫솔 관리 방법 및 사용 기간에 따라 칫솔의 세균량을 비교하여 올바른 칫솔 관리를 위한 교육자료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면세균막이란 무엇인가? 치면세균막이란 치아 표면의 획득피막에 구강 내 세균이 부착한 후 군락을 형성하여 치면의 일부를 덮고 있는 막을 말한다[1]. 치면세균막을 제거하는 가장 일차적인 방법인 칫솔질은 치아 표면에서 세균과 음식물 잔사를 제거하고 치은을 자극하여 치아우식증이나 치주병을 예방할 수 있다[2].
본 논문에서 사용 중인 칫솔의 관리법과 구강내 세균의 산생성도에 따른 칫솔의 세균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1. 구강내 산생성 활성도에 따른 pH와 세균수의 차이는 Cariview test 결과 고위험군에서 pH는 4.90으로 더 낮았고 세균수는 140.0(104×CFU/ml)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하루에 칫솔질의 횟수에 따른 pH와 세균수의 차이는 하루 칫솔질의 횟수가 4회인 경우 pH는 4.97로 가장 높았고 세균수는 42.16(104×CFU/ml)으로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칫솔질의 사용 교체 시기에 따른 pH와 세균수의 차이는 칫솔의 사용 교체 시기가 1개월일 경우 pH가 5.35로 가장 높았고 세균수는 19.80(104×CFU/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칫솔 보관장소에 따른 pH와 세균수의 차이는 욕실에 보관한 경우 pH는 4.78로 가장 낮았고 세균수는 149.46 (104×CFU/ml)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칫솔의 적절한 보관 방법은 무엇인가? 칫솔질에 사용되는 칫솔은 관리 방법, 사용 빈도, 칫솔질 방법, 사용하는 습관에 따라 수명이 달라지는데 하루에 3회 정도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2-3개월간 사용하면 탄력이 많이 저하되므로 치면세균막 제거율이 많이 낮아지게 되고 칫솔모의 끝부분이 벌어져 세균의 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새로운 칫솔 교환이 요구된다. 또한 자주 사용하는 칫솔에는 세균이 다량 존재하므로 세균 증식을 줄이기 위한 칫솔의 적절한 보관 방법으로는 건조가 잘되고 깨끗한 곳에 보관하여야 하며 서로 접촉되지 않게 분리하여 보관하고, 살균/정균 효과가 있는 보관용기 사용도 권장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 I. Paik et al. (2011).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5th ed, Seoul : Komoonsa Publishing 

  2. H. K. Kang et al. (2007). Pariodontology, 3rd ed., Seoul : Komoonsa Publishing 

  3. K. H. Park, J. Y. Kim & J. B. Kim. (2002). Sterilizing effects of the ultraviolet ray toothbrush sterilizing de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6(1), 89-99. 

  4. J. S. Kim & J. B. Kim. (2015). Prevalence and Toxin Genes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from Toothbrush in Child Care Center.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30(3), 242-248. DOI : 10.13103/JFHS.2015.30.3.242 

  5. S. S. Taji & A. H. Rogers. (1998).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toothbrushes. Australian Dental Journal, 43(2), 128-130. DOI : 10.1111/j.1834-7819.1998.tb06101.x 

  6. E. Y. Komiyama, G. N. Back-Brito, I. Balducci & C. Y. Koga-Ito. (2010). Evaluation of alternative methods for the disinfection of toothbrushes. Braz Oral Res, 24(1), 28-33. 

  7. S. H. Ann, J. H. Sung & D. G. Kim. (1996). The measurement of toothbrush contamin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0(1), 121-135. 

  8. M. S. Chong & I. K. Moon. (2005). Contamination of isolated Microorganisms from the Toothbrushes according to Storage. The Journal of Korean Health & Fundamental Med Sci, 9(1), 44-50. 

  9. S. J. Kim & K. H. Lee. (1992). Contamination of child ren's toothbrushes by cariogenic bacteria. The Journal of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2(3), 1-20. 

  10. J. H. Oh. (2013). Micro-organism according to storage method of tooth-brush. Dankook University, Cheonan 

  11. J. B. Kim, Y. K. Jeong, Y. R. Seong , K. S. Cho & H. K. Seong. (1992). Bacteriological Contamination of Home Toothbrushes and Hygiene Improv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16(1), 147-155. 

  12. K. Kozai, T. Iwai & K. Miura. (1989). Residual conta mination of toothbrushes by microorganism, ASDC Dent Child, 56(3), 201-204. 

  13. S. H. Ahn, J. H. Seong & D. K. Kim. (1996). Comparison of Bioethical Perception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Health Students. Oral Biology Research, 20(1), 121-135. 

  14. N. O. Harris & F. Garcia-Godoy. (1999). Primary preventive dentistry. 5th ed. Stamford, Appleton and Lange, 7-15. 

  15. S. J. Hong, S. D. Lee & J. S. Bae. (1994). Reduction of plaque and gingival leeding by toothbrushing deucation and scal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Dental Health, 18, 434-439. 

  16. M. O. Lee. (2004). Bacteriological contamination of toothbrushes by dental plaque acidogenicity and related behaviors to toothbrush u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4(2), 255-263. 

  17. M. J. Cho & K. J. Min. (2010). Effect of Repeated Directing Tooth-brushing Education on Plaque Contro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6), 2088-2092. DOI : 10.5762/KAIS.2010.11.6.208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