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RAPAEL Smart Pegboard)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udiovisual Biofeedback(RAPAEL Smart Pegboard) on Cognitive Function of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9 no.3, 2020년, pp.77 - 89  

김민호 (유니버셜작업치료연구소) ,  박규용 (레봄병원) ,  이나정 (We작업치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라파엘 스마트 페그보드를 사용한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적용한 중재집단 10명, 자가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대조집단 10명으로 구분하여 총 2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중재 전·후의 인지기능 평가는 K-MoCA와 NCSE를 사용하였고, 중재집단의 중재 방법은 전통적 작업치료와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10주간, 주 3회, 30분씩, 총 30회기 제공하였으며, 대조집단에는 전통적 작업치료와 자가 활동 프로그램을 중재집단과 같은 기간 동안 제공하였다. 결과 : 첫째, 중재 전·후에 따른 집단 간 K-MoCA의 결과는 중재집단이 대조집단보다 시공간 및 집행기능, 주의력, 기억력, K-MoCA 전체 점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중재 전·후에 따른 집단 간 NCSE의 결과는 중재집단이 대조집단보다 주의력, 기억력, NCSE 전체 점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시공간과 관련된 영역과 주의력 및 기억력 향상에 더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해당 도구가 작업치료 임상 환경에서 뇌졸중 환자의 재활을 위한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라파엘 스마트 페그보드를 사용한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의 다양한 임상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udiovisual biofeedback training using RAPAEL Smart Pegboard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stroke patients. Methods : A total of 20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intervention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0 patients per gr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라파엘 스마트 페그보드를 사용한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적용한 중재집단과 자가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대조집단으로 나누어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중재 전·후의 인지기능 평가는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K-MoCA)와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검사 (NCSE)를 사용하였고, 중재집단의 중재 방법은 전통적 작업치료와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10주간, 주 3회, 30분씩, 총 30회기 제공하였으며, 대조집단에는 전통적 작업치료와 자가 활동 프로그램을 중재집단과 같은 기간 동안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기에 두 집단 모두 해당중재의 적용에 비마비측 상지 사용에 대한 부분은 제한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라파엘 스마트 페그보드를 사용한 시청각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를 중재집단과 대조집단으로 구분하여 진행한 결과, 중재 전·후에 따른 두 집단 내 인지기능의 변화는 시공간 및 집행기능, 주의력, 기억력, 지남력, 구성능력 항목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고, 두 집단간 인지기능 변화에 대한 비교는 시공간 및 집행기능, 주의력, 기억력 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대조집단의 대상자에게 작업치료가 배정된 시간 이외에 추가로 자가 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해당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수준에 맞춰 담당 작업치료사의 감독 하에 색깔별 페그 꽂는 과제, 나무 페그 옮기기 등의 페그 꽂기 관련 과제를 제공하였고, 콘 옮기기, 퍼즐 맞추기, 카드 짝 맞추기 등의 인지적 과제를 포함한 다양한 테이블 활동(table top activity) 중심의 과제 지향적 중재를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손상으로 인한 인지장애는 어느 영역에서 발생하는가? 뇌손상으로 인한 증상은 신체적인 장애가 가장 흔하지만, 최종적으로 사회로의 복귀에 주된 방해물은 인지장애가 될 수 있다(Ponsfold, Olver, & Curran, 1995). 인지장애는 주의력, 기억력, 이해력, 추론 및 판단력, 문제해결능력 등의 영역에서 발생하게 된다(Cicerone et al., 2000).
뇌졸중으로 인한 신경학적 장애에는 무엇이 있는가? 뇌졸중은 뇌에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의 손상으로 인한 질병으로 허혈성 뇌졸중은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며 출혈성 뇌졸중은 20%를 차지한다(Bartels, Duffy, & Beland, 2016). 뇌졸중이 발병하면 85%가 기능적 장애를 갖게 되는데, 신경학적 장애로는 감각, 운동, 지각, 인지, 언어, 삼킴장애 등의 다양한 장애가 나타나게 되고 보행, 의사소통, 일상생활활동, 사회로의 복귀, 정서적 문제,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기능상실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Jung, Cho, & Chae, 2011).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뇌에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의 손상으로 인한 질병으로 허혈성 뇌졸중은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며 출혈성 뇌졸중은 20%를 차지한다(Bartels, Duffy, & Beland, 2016). 뇌졸중이 발병하면 85%가 기능적 장애를 갖게 되는데, 신경학적 장애로는 감각, 운동, 지각, 인지, 언어, 삼킴장애 등의 다양한 장애가 나타나게 되고 보행, 의사소통, 일상생활활동, 사회로의 복귀, 정서적 문제,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기능상실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Jung, Cho, & Chae,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e, Y. S. (2001). The effects of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on pain reduce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2. Bang, Y. S. (2007). The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ccupational Therapy, 15(3), 49-61. 

  3. Bartels, M. N., Duffy, C. A., & Beland, H. E. (2016). Pathophysiology, Medical Management, and Acute Rehabilitation of Stroke Survivors. In Gillen, G. (Ed.), Stroke rehabilitation: A function-based approach (4th ed., pp. 2-45). St. Louis, Missouri: Elsevier. 

  4. Bazanova, O. M., Mernaya, E. M., & Shtark, M. B. (2009). Biofeedback in psychomotor training. Electrophysiological basis. Neuroscience and Behavioral Physiology, 39(5), 437-447. doi:10.1007/s11055-009-9157-z 

  5. Bonan, I. V., Yelnik, A. P., Colle, F. M., Michaud, C., Normand, E., Panigot, B., ... Vicaut, E.(2004). Reliance on visual information after stroke. Part II: Effectiveness of balance rehabilitation program with visual cue deprivation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2), 274-278. doi:10.1016/j.apmr.2003.06.016 

  6. Broadbent, D. E. (1958). The effects of noise on behaviour. In Broadnent, D. E. (Ed.),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1st ed., pp. 81-107). Oxford, UK: Pergamon. Retrieved from http://www.communicationcache.com/uploads/1/0/8/8/10887248/d_e._broadbent_-_perception_and_communication_1958.pdf 

  7. Carson, R. G., & Swinnen, S. P. (2002). Coordination and movement pathology: Model of structure and function. Acta Psychologica, 110(2-3), 357-364. doi:10.1016/s0001-6918(02)00042-2 

  8. Chae, G. S. (2015). The effects of a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oTras) on the attention and memory of patients with stroke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9. Cho, Y. J., & Kwon, J. S. (2019). The feasibility of audio visual biofeedback training on unilateral neglect of stroke: The pilot stud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8(1), 37-58. 

  10. Choi, W. J. (2011). The effect of the cognitive motor dual task using the auditory feedback on chronic stroke patients gait, balance and the inattention (Master's thesis). Sahmyook University, Seoul. 

  11. Cicerone, K. D., Dahlberg, C., Kalmar, K., Langenbahn, D. M., Malec, J. F., Bergquist, T. F., ... Morse, P. A. (2000). Evidenc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rchives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1(12), 1596-1615. doi:10.1053/apmr.2000.19240 

  12. Dault, M. C., de Haart, M., Geurts, A. C., Arts, I. M., & Nienhuis, B. (2003). Effects of visual center of pressure feedback on postural control in young and elderly healthy adults and in stroke patients. Human Movement Science, 22(3), 221-236. doi:10.1016/s0167-9457(03)00034-4 

  13. Dursun, N., Dursun, E., & Kilic, Z. (2001). Electromyographic biofeedback-controlled exercise versus conservative care for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rchives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2(12), 1692-1695. doi:10.1053/apmr.2001.26253 

  14. Jeong, W. M., Choi, H. S., & Park, K. J. (1999).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NCSE) in brain-injur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ccupational Therapy, 7(1), 1-16. 

  15. Jung, J. H., Cho, Y. N., & Chae, S. Y. (2011). The effect of task-oriented movement therapy on upper extremity,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5(3), 231-253. 

  16. Khallaf, M. E., Gabr, A. M., & Fayed, E. E. (2014). Effect of task specific exercises, gait training, and visual biofeedback on equinovarus gait among individuals with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Neurology Research International, 2014, 1-9. doi:10.1155/2014/693048 

  17. Kiernan, R. J., Mueller, J., Langston, J. W., & Van Dyke, C. (1987). Th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A brief but quantitative approach to cognitive assess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07(4), 481-485. doi:10.7326/0003-4819-107-4-481 

  18. Kim, H. T., & Lee, J. H. (2007). Application of biofeedback in psychological setting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007(1), 94-95. 

  19. Kim, J. H., & Oh, M. H. (2014). IT based EMG biofeedback training on the effects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9(1), 41-50. doi:10.13067/JKIECS.2014.9.1.41 

  20. Kim, J. Y., & Kim, D. K. (2017). The effect of visual biofeedback exercise on the recovery of balance in stroke patients.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15(2), 201-208. doi:10.21598/JKPNFA.2017.15.2.201 

  21. Kim, K. U., & Oh, H. W. (2019). The effects of digital sensory perceptual training on hand function and visual-motor integra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7(4), 141-150. doi:10.15268/ksim.2019.7.4.141 

  22. Kim, Y. J., Lee, S. J., & Lee, Y. M. (2010). The change of electroencephalogram according to bio-feedback training in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5(3), 313-322. 

  23. Kober, S. E., Schweiger, D., Witte, M., Reichert, J. L., Grieshofer, P., Neuper, C., & Wood, G. (2015). Specific effects of EEG based neurofeedback training on memory functions in post-stroke victims.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2(107), 1-13. doi:10.1186/s12984-015-0105-6 

  24. Lee, J. Y., Lee, D. W., Cho, S. J., Na, D. L., Jeon, H. J., Kim, S. K., ... Cho, M. J. (2008). Brief screening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outpatient clinic: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21(2), 104-110. doi:10.1177/0891988708316855 

  25. Luft, A. R., McCombe-Waller, S., Whitall, J., Forrester, L. W., Macko, R., Sorkin, J. D., ... Hanley, D. F. (2004). Repetitive bilateral arm training and motor cortex activation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2(15), 1853-1861. doi:10.1001/jama.292.15.1853 

  26. Mazza, V., Turatto, M., Rossi, M., & Umilta, C. (2007). How automaticare audiovisual links in exogenous spatial attention? Neuropsychologia, 45(3), 514-522. doi:10.1016/j.neuropsychologia.2006.02.010 

  27. McDonald, J. J., Teder-Salejarvi, W. A., & Hillyard, S. A. (2000). Involuntary orienting to sound improves visual perception. Nature, 407(6806), 906-908. doi:10.1038/35038085 

  28. Mousavi, S. Y., Low, R., & Sweller, J. (1995). Reducing cognitive load by mixing auditory and visual presentation mod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7(2), 319-334. doi:10.1037/0022-0663.87.2.319 

  29. Neofect. (2017). Raphael smart pegboard. Retrieved from https://www.neofect.com/kr/smart-pegboard 

  30. Park, J., Kim, B. R., & Kim, T. H. (2018). Effects of visual feedback and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n walking of stroke patients induced by treadmill walking training. Korean Research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5(2), 53-61. doi:10.12674/ptk.2018.25.2.053 

  31. Park, J. M. (2019a). Effects of bio-feedback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for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seo University, Busan. 

  32. Park, S. J. (2019b). Intervention research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33. Phipps, S. C. (2006).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perceptual dysfunction. In Pendleton, H. M., & Schultz-Krohn, W. (Eds.),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6th ed., pp. 573-588). St. Louis: Mosby Elsevier. 

  34. Ponsfold, J. L., Olver, J. H., & Curran, C. (1995). A profile of outcome: 2 year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9(1), 1-10. doi:10.3109/02699059509004565 

  35. Rizzo, A. A., Bowerly, T., Buckwalter, J. G., Klimchuk, D., Mitura, R., & Parsons, T. D. (2006). A virtual reality scenario for all seasons: The virtual classroom. CNS Spectrums, 11(1), 35-44. doi:10.1017/s1092852900024196 

  36. Sackley, C. M., Baguley, B. I., Gent, S., & Hodgson, P. (1992). The use of a balance performance monitor in the treatment of weight-bearing and weighttransference problems after stroke. Physiotherapy, 78(12), 907-913. doi:10.1016/S0031-9406(10)60498-1 

  37. Shin, Y. A. (2019). Effects of biofeedback training on the pharyngeal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38. Thaut, M. H., Leins, A. K., Rice, R. R., Argstatter, H., Kenyon, G. P., McIntosh, G. C., ... Fetter, M. (2007).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improves gait more than NDT/Bobath training in near-ambulatory patients early post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trial.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1(5), 455-459. doi:10.1177/1545968307300523 

  39. Yoo, C. M. (2018). The effect of it based e-link biofeedback training on visual perception of patients with acute stroke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40. Zijlstra, A., Mancini, M., Chiari, L., & Zijlstra, W. (2010). Biofeedback for training balance and mobility tasks in older population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7, 1-15. doi:10.1186/1743-0003-7-5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