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문건강관리사업 담당자의 공공부문 사례관리 연계협력 경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
Experiences of Public Visiting Nurses on the Linkage Cooperation of public case management: Focus Group Interview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8, 2020년, pp.160 - 169  

김형선 (부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공공 행정에서 서비스 전달 조직과 절차를 관리하고 재정을 지원하는 공공부문 사례관리 사업 중 방문건강관리 사업 실무자를 대상으로 타 사례관리 사업과의 연계협력 업무에 대한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광역시와 시군 소재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담당자 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자료 수집을 위해 사용한 인터뷰 질문들은 사전에 연구진간 논의를 거쳐 도출한 반구조화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방문건강관리 업무를 수행하면서 경험한 연계협력의 성공과 실패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기술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질적으로 분석되어 3개의 주제, 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공공부문 사례관리 사업 간 연계협력 업무안내서는 연계협력을 수행하는 데 있어 긍정적 성과요인이었지만, 방문건강관리 전문 인력의 불안정한 고용문제와 통합시스템의 부재는 연계협력의 장애요인이었으며, 성공적인 연계협력을 위해서는 인적 인프라 강화, 기능적 시스템 개선, 조직적 차원의 방안 마련 등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명확한 연계협력 표준 및 절차 수립, 방문간호 전문인력의 처우 개선, 사례관리 통합정보시스템 개발을 제안한다. 또한, 지역 간 편차가 큰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추후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inkage and cooperation experiences in public case-management services of visiting health care practitioner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people in charge of providing visiting healthcare services in public health centers. A semi-structur...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Creswell[10]에 따라 자료를 읽으면서 나타나는 중심 주제를 찾고, 이 주제를 근거로 다시 자료들을 재검토하면서 관련 소주제들을 발견하는 과정에서 중심개념을 도출하는 주제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모든 참여자의 면담 내용을 듣고 녹취하며 그것을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전체적 느낌과 의미를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전사된 자료를 여러 번 정독하면서 의미 있는 구절이나 문장을 찾아 표시하고 개념을 추출해 나갔다.
  • 사업 간 연계협력 성과 도모를 위해 실적 평가체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경우 보건소 내외 의뢰받은 건 및 의뢰한 건 모두 실적이 되는데, 동 복지팀의 경우에는 의뢰를 한 경우만 실적이 되고 의뢰를 받은 경우는 실적이 되지 않는 의뢰를 위한 의뢰체계임이 나타났다.
  • 이 연구는 공공 행정에서 서비스 전달 조직과 절차를 관리하고 재정을 지원하는 공공부문 사례관리 사업 중 방문건강관리 사업 실무자를 대상으로 FGI를 통해 보건사업과 복지사업 간 연계협력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공공부문 사례관리 사업 간 연계 협력 업무 사항에 대한 안내 지침서 배포는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 이 연구는 공공 행정에서 서비스 전달 조직과 절차를 관리하고 재정을 지원하는 공공부문 사례관리 사업 중 방문건강관리 사업 실무자를 대상으로 FGI를 통해 보건사업과 복지사업 간 연계협력의 성공과 실패요인에 대한 경험을 파악하여 향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공공부문 사례관리 사업은 통합사례관리, 자활사례관리,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취약계층 아동 통합서비스 지원(드림스타트), 의료급여사례관리, 방문건강관리, 중독관리통합지원, 정신건강사례관리가 포함되었다.
  • 이 연구는 공공부문 사례관리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방문건강관리사업과 타 사례관리 사업 간 연계협력의 성패요인을 확인하고 향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담당 실무자를 대상으로 FGI를 통해 사례관리 사업진행 내용과 개선점 등을 이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참여자의 기술을 통해 연계협력의 성패요인과 향후 제도적인 개선 시 고려해야 할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 연구는 공공부분 사례관리 연계협력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보건과 복지 8개 공공부문 사례관리사업 실무자 24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FGI[9] 과정에서 방문건강관리사업 실무자와의 인터뷰 내용을 추출하여 실시하였다. 이는 사례관리 부문 간 연계협력 업무를 시행함에 있어서 방문간호사 측면에서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 참여자는 두 개 광역시 소재 보건소 담당자 각 1인과 한 개 시군 소재 보건소 담당자 1인으로 총 3명이었다.
  • 이 연구는 보건 분야 사례관리 사업인 방문건강관리사업과 타 복지 분야 사례관리 사업 간의 연계협력 사항을 탐색하고자 한 것으로 방문건강관리 사업 실무 담당자가 복지 서비스 사례관리 분야와 연계협력 업무를 수행하면서 겪은 경험을 그들의 관점으로 기술하고 설명하기 위해 FGI 기법을 적용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 행정에서 서비스 전달 조직과 절차를 관리하고 재정을 지원하는 공공부문 사례관리 사업 중 방문건강관리 사업 실무자를 대상으로 FGI를 통해보건사업과 타 사례관리 사업 간 연계협력의 성공과 실패요인에 대한 경험을 파악하여 향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 그러나, 인터뷰 대상자가 3명으로 이들의 의제한적인 인터뷰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연구결과의 타당성에 한계가 있는 제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참여자의 소속 지역을 모두 달리하였으며, 방문간호 전문 인력 외에 방문건강관리사업 담당 주무관을 참여시켜 이러한 한계를 최소화시키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명확한 연계협력 기준 및 절차 마련과 방문간호 전문 인력의 처우 개선, 통합관리시스템 개선 방안이 이루어지기를 제안한다.
  •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성패는 다 직종 연계에 있으며[4], 특히 보건과 복지의 연계에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보건서비스와 복지서비스 간 원활한 연계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방문건강관리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복지 분야 공공부문 사례관리 사업과의 연계 협력에서의 성패 요인과 연계협력 실천 지침의 현장 적용 가능성, 그리고 어떠한 부분이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이하 FGI)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문건강관리 사업에서 연계협력 체계를 구축한 목적은 무엇인가? 방문건강관리 사업에서는 보건소 내 · 외 자원 연계를 통한 적절한 보건 · 복지서비스 제공 및 서비스 중복과 사각 해소를 목적으로 연계협력 체계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공공부분 사례관리 사업 간 연계협력 실태 확인 결과[2]에서 보듯이,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는 의료급여사례관리사업, 노인장기요양보험 등 보건서비스와의 연계는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복지서비스와의 연계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2019년 6월부터 실시된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그리고 2019년 6월부터 2년 간 전국 8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이 실시되었다. 선도사업의 주요 내용은 돌봄이 필요한 노인, 장애인, 정신질환자, 노숙인 등이 지역사회에서 계속 거주하는 데 필요한 보건의료, 복지, 장기요양, 주거, 생활지원 등의 서비스를 사람을 중심으로 연계·제공하는 것이다[4]. 그러나, 현재까지의 재가 서비스는 공급기관별·사업별로 단편적·분절적으로 제공되어 대상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가 연계·통합되지 못 하는 문제가 있었다[5].
FGI의 장점은 무엇인가? FGI는 토론과정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감정 및 신념을 단기간에 이끌어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특정 경험이나 주제에 대한 탐색을 심층적으로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연구방법이다[7]. 또한, 짧은 시간에 많은 집중된 자료들을 수집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사람들의 다양한 관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참여자들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주제에 대한 인식을 자극하여 자신들의 경험을 보다 명확히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8]. 이 연구는 방문건강관리 사업 실무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경험을 통해 단기간에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사업 진행 내용과 연계협력 부분의 개선점 등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FGI가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 C. Hokenstad & R. A. Ritvo, "Linking health care and social services: international perspectives", Sage publications, 1982. 

  2. S. Y. Min, "Service delivery system for the integration of public case management", Social Welfare Policy, vol.46, no.2, pp.143-173, 2019. DOI:http://dx.doi.org/10.15855/swp.2019.46.2.143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HW), "Korean-style Community Care made with experts and field participation". 2018.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4841 (accessed Dec., 20, 2019)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HW), "Community care leading project". 2019.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7345&SEARCHKEYTITLE&SEARCHVALUE%EC%BB%A4%EB%AE%A4%EB%8B%88%ED%8B%B0 (accessed Dec., 20, 2019)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HW), "Primary plan of Community Care". 2018.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6683&SEARCHKEYTITLE&SEARCHVALUE%EC%BB%A4%EB%AE%A4%EB%8B%88%ED%8B%B0 (accessed Dec., 20, 2019) 

  6. C. H. Kang, "Tools of Linkage for Integrating Health and Social Care: Commissioning of UK", Health and Social Welfare, vol.33, no.1, pp.417-450, 2013. DOI:http://dx.doi.org/10.15709/hswr.2013.33.1.417 

  7. S. J. Kim, H. J. Kim, K. J, Lee, S. O. Lee, "Focus group method", Hyunmoon publications, Seoul, 2000. 

  8. K. R. Shin, Y. J. Jang, Y. K. KIm, K. J. Lee, M. M. Choi, H. Y. Kim et al., "Focus group method". Hyunmoon publications, Seoul, 2004. 

  9. S. Y. Min, H. S. Kim, E. M. Seoung, K. H. Ha, "A Study on the monitoring for Linkage Cooperation of public case management",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ervice(SSIS), Seoul, 2019. 

  10. J. W. Cresswell,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Publications, London, 1998 

  11. Y. S. Lincoln, E. G. Guba,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Newbury Park, CA, 1985.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HW) &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KHPI), "2019 Manual for community based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Press., Seoul, 2019. 

  13. H. K. Nam, "A research on the health care and the demand for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for vulnerable children in comparison with non-vulnerable children in a reg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30, No.3, pp.556-569, 2016. DOI:http://dx.doi.org/10.5932/JKPHN.2016.30.3.556 

  14. In-Ha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IHUIACF). "The development of vulnerable classes health management services model on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Press., Seoul, 2016. 

  15. Jeju National University(JNU). "2012 Yearbook of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Sejong, 2013. 

  16. J. H. Kim, T. J. Lee, J. H. Lee, S. J. Shin, E. H. Lee, "A cost benefit analysis of individual home visiting health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1, No.3, pp.362-373, 2010. DOI:http://doi.org/10.12799/jkachn.2010.21.3.362 

  17. Visiting Nurse Association in Korea(VNAK), "Understanding and prospect of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 Seoul, 2013. 

  18. G. A. Lee, S. J. Yang, E. H. Woo, "Past, Present, and Future of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s based on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32, No.1, pp.5-18, 2018. DOI:http://dx.doi.org/10.5932/JKPHN.2018.32.1.5 

  19. S. N. Chang, "Develop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Visiting Progra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Sejong, 2014. 

  20.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EL), "Guidelines for transitioning non-regular workers to regular workers in the public sector", 2017. Available From: http://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7729 (accessed Dec., 20, 2019) 

  21. Y. R. Han, S. J. Yang, O. K. Ham, G. A. Lee, S. H. Kim, J. Y. Ha, "Community Care and visiting Nursing Services in Denmark, Swed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34, No.1, pp5-21, 2020. DOI:http://dx.doi.org/10.5932/JKPHN.2020.34.1.5 

  22. K. S. Lee, G. J. Sa, M. K. Han, Y. M. Park, "Community care Theory and policy", Korea Institute for Health & Welfare Policy, Seoul, 2019. 

  23. Y. S. Lee, "Trends of visiting medical and home health care services in the US and Singapore", HIRA Policy Trend, Vol.13, No.3, pp83-97, 2019. 

  24. Y. R. Han, "Community Care and Nurse Care Coordinator",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33, No.3, pp311 - 325, 2019. DOI:http://dx.doi.org/10.5932/JKPHN.2019.33.3.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