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살위기를 벗어난 여성독거노인의 회복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ecovery Proces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Suicide Crisi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8, 2020년, pp.304 - 314  

임종린 (양산시니어클럽) ,  김종성 (사하사랑채노인복지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독거노인이 자살위기에서 벗어난 경험과 회복과정을 연구하여 참여자들이 회복으로서의 인생의 본질적 의미와 구성요소가 무엇인지, 또한 변화된 생각과 인생에 대한 현상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료분석을 통해 4개의 구성요소와 8개의 하위구성요소, 16개의 의미단위 축약이 도출되었다.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시도와 회복 경험의 구성요소는 4개로 단절과 불통, 거듭되는 시련, 곤경 속의 형통의 길, 너그러운 포용으로 나타났다. 구성요소의 본질적인 주제는 참여자들의 삶에서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각각의 주제가 전체적 맥락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결과를 정리해보면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시도와 회복 경험의 본질적 의미는 역기능적인 사회구조와 환경의 결과물로 인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괴롭게 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적 대안으로 자살이라는 극단적 실행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으나, 자살실패를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인지된 내면의 회복요인들이 다시 살아갈 수 있는 긍정적 에너지가 되었다. 이러한 전환된 시각이 힘든 현실에 맞설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the suicide crisis and recovery process by elderly women living alone to identify the essential meaning and components of life as a life to live again. In addition, the recover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s well as the phenomenon of such changes in though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셋째, 관찰은 참여자 1인당 1회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2회기 이상의 관찰면담이 이루어졌고, 연구자 또는 참여자의 필요하다는 판단과 요청이 있을 시에 추가 관찰 및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장기간 관찰법을 적용하였다. 넷째, 동료 검토법으로 대학원에서 박사 수료 이상의 학위를 가진 사회복지사 중에서 질적 연구 경험이 있는 동료 3명을 선정하여 연구결과물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서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참여자들과 개별적으로 만나서 해당되는 참여자의 분석결과와 구성요소 분석에 당사자인 참여자의 의견을 재 반영하여 의미와 본질이 명확해지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 자살시도를 했던 여성독거노인의 경험과 회복에 관한 의미를 본질적인 탐구와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연구목적과 연구범위에 대해 본 연구의 한계점은 아래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시도를 경험한 원인과 행동유형을 알아보고, 회복하게 된 경험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자살을 시도했던 과정 속에서 파생되었던 구성의 의미와 회복하는 과정,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내면의 변화와 의식의 지향성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수량화된 자료를 바탕으로 현실에 대해 검증하려는 양적 연구방법 보다 언어적 표현으로 내재되어 있는 의미해석을 통해 현상을 이해하는 질적 연구방법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위기 상황에서의 자살 시도 경험과 그 이후의 삶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함으로써 연구 참여자들이 회복으로서의 삶에 대한 본질적 의미가 무엇인지, 또한 긍정적으로 변화된 생각의 본질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살의도의 배경, 가족 관계, 자살을 실행에 옮기기까지의 의식적 흐름을 여성독거노인의 삶에 대한 생애사를 중심으로 구술된 이야기에서 알아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위기 상황에서의 자살 시도 경험과 그 이후의 삶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함으로써 연구 참여자들이 회복으로서의 삶에 대한 본질적 의미가 무엇인지, 또한 긍정적으로 변화된 생각의 본질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살의도의 배경, 가족 관계, 자살을 실행에 옮기기까지의 의식적 흐름을 여성독거노인의 삶에 대한 생애사를 중심으로 구술된 이야기에서 알아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 면담시간은 고령의 참여자인 것을 고려하여 회기별로 약 50분 정도 진행되었으며, 현장 내에서 필요할 때마다 관찰 메모와 현장 스케치하여 연구 보조자료로 사용하였다. 참여자와 관련된 자료를 최대한 수집하였으며, 연구 질문에 영향이 미치는 가능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이러한 심층분석 및 연구에 적합한 현상학적연구는 자살위기에 처한 여성독거노인들의 자살시도 체험과 그 이후의 삶에 관한 경험을 살펴보는데 적절한 연구방법이다[12].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에서도 경험한 것을 본질 드러낼 수 있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연구로 질적연구를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65세 이상 노인일 것. 둘째, 부부세대가 아닌 독거세대 중 여성단독가구일 것. 셋째, 최소 1회 이상 자살시도를 경험해 본 적이 있을 것.
  • 둘째, 부부세대가 아닌 독거세대 중 여성단독가구일 것. 셋째, 최소 1회 이상 자살시도를 경험해 본 적이 있을 것. 넷째, 최소 5명의 참여자를 모집할 것.
  •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65세 이상 노인일 것. 둘째, 부부세대가 아닌 독거세대 중 여성단독가구일 것.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위기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에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생기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위기에 대한 최근의 연구동향은 남성보다는 여성이 자살에 대한 생각이 높게 나타났으며[3], 연령이 높아질수록 우울감 증가[4]와 함께 자살시도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에 대한 생각은 우울증으로 인한 삶에 대한 비관과 신체적 만성적인 질병으로 인한 삶의 만족도 하락이 삶에 대한 비관적 생각과 함께 자존감 하락으로 이어져 자살에 이르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6].
노인의 자살이 타 연령대와 비교하여 높은 자살률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급격한 고령화 추세에 따라 최근 들어 노인의 자살문제가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인구사회학적인 측면에서의 노인의 자살은 타 연령대와 비교하여 높은 자살률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노년기에 접어들수록 사회적 역할 감소 및 신체적·정신적 기능의 위축에 기반한다고 볼 수 있으며[1], 사회적 역할 감소는 우울증세가 커지고, 극단적인 방법으로 생을 마감하는 자살에 대한 생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2].
심층분석 및 연구에 적합한 현상학적연구로 경험했던 것의 본질을 드러낼 수 있는 연구 방법은 무엇인가? 이러한 심층분석 및 연구에 적합한 현상학적연구는 자살위기에 처한 여성독거노인들의 자살시도 체험과 그 이후의 삶에 관한 경험을 살펴보는데 적절한 연구방법이다[12].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에서도 경험한 것을 본질 드러낼 수 있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연구로 질적연구를 시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J. R. Lim, "Study on Senior Citizen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Role Recognition: Case Study on Senior Citizen College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 vol.19, no.4, pp. 1-31, 2017. 

  2. D. Mechanic, D. D. McAlpine, "Mental health and aging: a life-course perspective, Settersten, R. A., Angel, J. L., Handbook of Sociology of Aging" New York: Springer Nature , pp. 477-493, 2012. 

  3. M. J. Choi, D. H. Kim, K. W. Lee, J. S. Yi,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Risk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 vol. 54, no. 4, pp. 459, 2015. 

  4. B. K. Shin, S. J. Lee, "Factors Influencing the Length of Time That it took for Elderly to do Suicidal Ideation, Suicidal Plan and Suicidal Attempt after Retirement in Korea", Social Welfare Policy , vol. 43, no. 2, pp. 1-33, Jun. 2016. DOI: https://doi.org/10.15855/SWP.2016.43.2.1 

  5. M. Hawkins, A. Schaffer, C. Reis, M. Sinyor, N. Herrmann, K. L. Lanctot, "Suicide in males and female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nd comorbid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 vol. 197, pp. 88-93, 2016. DOI: https://doi.org/10.1016/j.jad.2016.02.061 

  6. J. S. Hur, S. H. You, "Determinants of depression among elderly pers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 vol. 13, pp. 7-35, 2002. 

  7. Y. J. Kim, "A Study on Experiences of Older Adults' Getting Back to Life and Rediscovering a 'Will to Live' Following Suicide Attempt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5, no. 1, pp. 127-146, 2013. 

  8. G. S. Lee, G. Choi,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Latter-aged Elderly Suicide Attemp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vol. 15, no. 7, pp. 244-254, Jul. 2015. DOI: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244 

  9. M. I. Kim, H. R. Shin, "Influence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on Suicidal Ideation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nd Preparation for Aging -", The Seoul Institute , pp. 185-201, 2013. 

  10. Y. D. Choe, S. Y. Shin, "Moderating Effect of Sense of Belonging in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Korea Academy of Care Management , vol., no. 13, pp. 155-180, 2014. 

  11. Y. S. Kim, W. Y. HA, "A Study of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Productive Leisure Activities on the Suicide Ideation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Living Alon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 vol. 35, no. 4, pp. 344-374, Dec. 2015. DOI: http://dx.doi.org/10.15709/hswr.2015.35.4.344 

  12. Y. C. Kim. S. O. Jung,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Methods V; Data Analysis, Acadezmypress, 2017. 

  13. L. Festinger,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pp. 291, 1957. 

  14. Y. H. Oh, "A Survey of Hurt and Forgiveness of Korean peopl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 vol. 20, no. 2, pp. 467-486, 2006. 

  15. K. H. Suh, S. S. Lee, S. A. Yang, "Influence of Resentment and Forgivenes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 vol. 17, no. 2, pp. 433-448, 2012. 

  16. M. E. McCullough, "Forgiveness an human strength: theory, measurement, and links to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 vol. 19, no. 1, pp. 43-55, 2000. DOI: http://dx.doi.org/10.1521/jscp.2000.19.1.43 

  17. E. L. Jr. Worthington, E. L., Jr. "Forgiving and Reconciling Finding Our Way Through Cultural Challenges" Illinois: IVP Books, 2003. 

  18. J. L. Ramsey, "Forgiveness and healing in later life" Generation , vol. 32, no. 2, pp. 51-54, 2008. https://www.jstor.org/stable/26555584 

  19. P. Yip, I. Chi, H. Chiu, K. C. Wai, Y. Conwell, E. Caine, "A prevalence study of suicide ideation among older adult in Hing Kong SAR"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 vol. 18, pp. 1056-1062, 2003. DOI: https://doi.org/10.1002/gps.1014 

  20. Awata. S, Seki. T, Koizumi. Y, Sato. S, Hozawa. A, Omori. K, Kuriyama. S, Arai. H, Nagatomi. R, Matsuoka. H, Tsuji. I,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in an elderly urban Japanese population: A community-based, cross-sectional study" Psychiatry & Clinical Neurosciences , vol. 59, no. 3, pp. 327-336, May. 2005. DOI: https://doi.org/10.1111/j.1440-1819.2005.01378 

  21. M. Y. Im, Research on suicide attempt experience by senior citizens -Through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lderly Welfare, Hanseo University, Seosan, Korea, pp. 3-4, 2010. 

  22. F. Geiser, k. Imbierowicz, R. Conrad, I. Wegener, R. Liedtke, "Turning against self and its relation to symptom distress,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erapy outcome: A replicated and enhanced study" Psychotherapy Research , vol. 15, no. 4, pp. 357-365, 2005. DOI: https://doi.org/10.1080/10503300500226241 

  23. Ministry of the Interio, resident registration demographics, http://www.mois.go.kr/frt/sub/a05/ageStat/screen.do 

  24. OECD, "OECD Health Statistics 2017; Frequently Requested Data", 2017. 

  25. S. Y. Song, "Current Conditions of Single-Household Female Elderly and Improvement Measures at Policy Level", Institute for Gender and Law , vol. 7, no. 2, pp. 33-72, 2015. DOI: https://doi.org/10.22791/ewhagl.2015.7.2.002 

  26. S. E. Lee, "Regular Exercise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llness-stress and Depressi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 vol., no.33, pp. 167-192, 2009. 

  27. H. S. Kim, "Effect of Pain, Nutritional Risk, Loneliness, Perceived Health Statu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vol. 8, no. 7, pp. 207-218, Jul. 2017.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7.8.7.207 

  28. C. Y. Koo, J. S. Kim, and J. O. Yu,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Elders' Suicidal Ideation: Focused on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 vol. 25, no. 1, pp. 24, 2014. DOI: http://dx.doi.org/10.12799/jkachn.2014.25.1.24 

  29. M. H. Jeong, S. H. Heo, "Study on the Effects of Suicide Loss Experience on Suicidal Ideation, Plan and Attempt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 vol.72, no.1, pp. 305-333, 2017. DOI: https://doi.org/10.21194/kjgsw.72.1.201703.305 

  30. S. I. RYU, Y. H. Park, "Factors Related to Suicide Ideation in Older Women Living Alon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32, no. 1, pp. 78-87, 2020. DOI: https://doi.org/10.7475/kjan.2020.32.1.78 

  31. A. Scheyett, J. DeLuca, C. Morgan, "Recovery in Severe Mental Illness", Social Work Research , vol. 37, no. 3, pp. 286-303, 2013. 

  32. A. B. Hatfield, H. H. P. Lefley, "Surviving Mental Illness: Stress, Coping and Adaptation", The Guilford Press, pp. 351-368, 1993. 

  33. Y. S. Lee, Y. S. Rhee, "A Study on the Construct of Recovery among Mentally Disabled People: Q Methodological Applicatio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 vol. 35, no. 3, pp. 485-514, 2015.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5.35.3.485 

  34. H. J. Chung,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covery Experience of the Mentally Disabled - Focusing on Empowerment Practice in a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 -", Crisisonomy , vol. 14, no. 2, pp. 33-55, 2018. DOI: http://dx.doi.org/10.14251/crisisonomy.2018.14.2.33 

  35. R. Stinchfield, K. C. Winters, A. Botzet, S. Jerstad, J. Breyer,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Gambling Treatment Outcome Monitoring System (GAMTOMS)",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 vol. 21, no. 2, pp. 174-184, 2007 

  36. N. Jacobson, L. Curtis, "Recovery as Policy in Mental Health Services: Strategies Emerging form the States",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 vol. 23, no. 4, pp. 333-341, 2000. DOI: https://doi.org/10.1037/h0095146 

  37. P. E. Deegan, "Recovery: The Lived Experience of Rehabilitation" Psychosocial Rehabilitation Journal , vol. 11, no. 4, pp. 11-19, 1988. DOI: https://doi.org/10.1037/h0099565 

  38. B. Robert, T. Ann, "Recovery Theory in Practice: Consumer and practitioner perspectives" Korea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 vol. 5, pp. 111-141, 2013. 

  39. M. Patton,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3rd ed.)"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pp. 598, 2002. 

  40. N. I. Lee, "phenomen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a horizon in applied phenomenology", HanGilSa, pp. 415, 2016. 

  41. D. E. Polkinghom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n R. S. Valle & S. Halling(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in psychology" New York: Plenum Press, pp. 41-60, 1989. 

  42. G. U. Yu, J. W. Jung, Y. S. Kim, H. P. Kim, "understanding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arkYeongSa, pp. 462, 2015. 

  43. J. S. Kwon, I. J. Chung,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actice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in Foster Care Center",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 vol., no. 43, pp. 1-36, Mar. 2014. DOI: http://dx.doi.org/10.16975/kjfsw.2014..43.001 

  44. S. B. Merriam,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California : Jossey-Bass, pp. 320, 20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