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aCaT 피부 각질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다정큼나무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세포 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an Ethyl Acetate Fraction of Raphiolepsis indica Against Oxidative Stress in HaCaT Keratinocyt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0 no.8, 2020년, pp.688 - 694  

양은주 (대구한의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김혜란 (대구한의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장경수 (부산가톨릭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장정현 (대구한의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에서 자생하는 식물인 다정큼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관목으로 다정큼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총페놀 함량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정큼나무 추출물에서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물을 이용하여 분획물을 제조하고, 5가지 분획물의 항산화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외부환경요인 및 자외선 등을 통해 산화적 스트레스가 많이 발생하는 피부각질세포에서의 항산화효과 및 세포보호효과를 확인하고자 사람 각질세포인 HaCaT세포를 이용하였다. 항산화능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통해 관찰하였고 HaCaT 세포보호효과는 세포에 과산화수소(H2O2)와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다정큼나무 잎 추출물 및 5가지 분획물 중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가장 낮은 라디칼 잔여량이 관찰되었고 H2O2에 의한 HaCaT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차단하여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이를 토대로 다정큼나무 잎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높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사람 각질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다정큼나무 잎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이용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손상을 억제하는 기능성 물질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 previous study, the total phenolic content in ethanol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that naturally grow on Jeju Island were analyzed with the extracts of Raphiolepsis indica leaf found to have the highest. The 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total flavonoid content, radical-scaveng...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러한 방어시스템에도 지속적인 외부 자극에 노출되면 과잉의 활성산소종이 발생하여 결국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이로 인해 DNA 손상, 세포막 변성 및 세포 죽음을 유발하여 피부 노화 및 질병을 유발한다[26].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사람 각질세포인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H2O2)를 처리한 다음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다정큼나무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H2O2는 외내적 요인에 의해 체내에 생성되고 세포막을 통과하여 금속이완과 반응하여 또 다른 활성산소종을 생성시켜 세포 손상을 증가시킨다[8].
  • 하지만, 각질세포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그 외 다양한 생리학적 효능 평가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정큼나무의 잎 추출물로 라디칼 소거능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고,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 및 각질세포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여 천연 항산화제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 77%의 세포 생존율이 관찰되어 세포독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Table 3). 따라서, 이후 HaCaT 세포에 처리하는 다정큼나무 추출물의 농도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0.2 mg/ml 이하의 농도로 선정하여 실험하고자 하였다.
  • 이 플라보노이드는 세포에서 NF-κB의 활성을 조절하여 항산화, 항염증, 항알러지 효과를 보이는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다[1, 27]. 본 연구에서도 다정큼나무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인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각각의 용매로 인해 추출된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각각 확인하여 비교하였다.
  • 한국의 경우에는 육지와 다른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제주에 특이적으로 7,800여종 이상의 식물이 자생하고 있으며, 이 식물들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17]. 현재까지 일부 효능들이 확인되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 앞서 제주 자생식물들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여 생리활성을 탐색하였다. 그 중 항산화 효능이 있는 페놀 함량을 확인한 결과 다정큼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의 페놀이 확인하였다[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azarolli, L. H., Zanatta, L., Alberton, E. H., Figueiredo, M. S., Folador, P., Damazio, R. G., Pizzolatti, M. G. and Silva, F. R. 2008. Flavonoids: prospective drug candidates. Mini Rev. Med. Chem. 8, 1429-1440. 

  2. Choi, M. H., Ryu, E. M., Oh, D. S. and Shin, H. J. 2012. Improvement of acne condition in skin care using Camellia japonica L. extracts. Kor. J. Aesthet. Cosmetol. 10, 661-672. 

  3. Debnath, T., Park, S. R., Kim, D. H., Jo, J. E. and Lim, B. O. 2013.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Inonotus obliquus and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s. Molecules 2013, 9293-9304. 

  4. Fan, L., Zhang, M. Y., Liu, Q. Z., Li, L. T., Song, Y., Wang, L. F., Zhang, S. L. and Wu, J. 2013. Transferability of newly developed pear SSR markers to other Rosaceae species. Plant Mol. Biol. Report 31, 1271-1282. 

  5. Fellegrini, N., Ke, R., Yang, M. and Rice-Evans, C. 1999.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 (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s Enzymol. 299, 379-389. 

  6. Fernando, C. D. and Soysa, P. 2014. Total phenolic, flavonoid contents, in-vitro antioxidant activities and hepatoprotective effect of aqueous leaf extract of Atalantia ceylanica.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4, 395. 

  7. Jo, H. J., Shin, Y. S., Park, G. N. and Chang, K. S. 2013. Inhibition of hepatitis C virus (HCV) genotype 2a RNA replication by extracts of medicinal herbs with anti-cholesterol effects. J. Med. Plant. Res. 7, 1089-1099. 

  8. Kammeyer, A. and Luiten, R. M. 2015. Oxidation events and skin aging. Ageing Res. Rev. 21, 16-29. 

  9. Kim, E. J., Choi, J. Y., Yu, M., Kim, M. Y., Lee, S. and Lee, B. 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10. Kim, H. J., Lee, K. J., Ma, K. H., Cho, Y. H., Lee, S., Lee, D. J. and Chung, J. W. 2015. Effect of tomato leaf extracts on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Kor. J. Int. Agric. 27, 529-535. 

  11. Kim, H. R., Park, G. N., Jung, B. K., Yoon, W. J., Jung, Y. H. and Chang, K. S. 2016. Antioxidative effects of Rhaphiolepis india and Quercus salicina from Jeju. J. Kor. Oil Chemists' Soc. 33, 41-50. 

  12. Lampe, J. W. 1999. Health effects of vegetables and fruit: assessing mechanisms of action in human experimental studies. Am. J. Clin. Nutr. 70, 475S-490S. 

  13. Lee, Y. J., Kim, D. B., Lee, J. S., Cho, J. H., Kim, B. K., Choi, H. S., Lee, B. Y. and Lee, O. H.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wild herbs mainly cultivated in Korea. Molecules 18, 12937-12950. 

  14. Lin, C. H., Chang, H. S., Lio, H. R., Chen, I. S. and Tsai, I. L. 2013. Triterpenoids from the roots of Rhaphiolepsis indica var. tashiroi and their anti-inflammatory activity. Int. J. Mol. Sci. 14, 8890-8898. 

  15. Lin, C. H., Chang, H. S., Lio, H. R., Ou, T. H., Chen, I. S. and Tsai, I. L. 2010. Anti-inflammatory biphenyls and dibenzofurans from Rhaphiolepsis indica. J. Nat. Prod. 73, 1628-1631. 

  16. Manayi, A., Khanavi, M., Saiednia, S., Azizi, E., Mahmoodpour, M. R., Vafi, F., Malmir, M., Siavashi, F. and Hadjiakhoondi, A. 2013. Biological activity and microscopic characterization of Lythrum salicaria L. Daru 21, 61. 

  17. Moon, J. Y., Yim, E. Y., Song, G., Lee, N. and Hyun, C. G. 2010. Screening of elastas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from Jeju Island plants. EurAsia J. BioSci. 4, 41-53. 

  18. Park, S. N. 1997.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 Korea 23, 75-132. 

  19. Rakhunde, P. B., Saher, S. and Ali, S. A. 2014. Neuroprotective effect of Feronia limonia on ischemia reperfusion induced brain injury in rats. Indian J. Pharmacol. 46, 617-621. 

  20. Salehi, B., Martorell, M., Arbiser, J. L., Sureda, A., Martins, N., Maurya, P. K., Sharifi-Rad, M., Kumar, P. and Sharifi-Rad, J. 2018. Antioxidants: positive or negative actors? Biomolecules 8, 124. 

  21. Seo, E. J., Kuete, V., Kadioglu, O., Krusche, B., Schroder, S., Greten, H. J., Arend, J., Lee, I. S. and Efferth, T. 2013. Antiangiogenic activity and pharmacogenomics of medicinal plants from traditional korean medicine.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 131306. 

  22. Shon, H. K., Lee, Y. S., Park, Y. H., Kim, M. J. and Lee, K. A.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ugija (Lycii fructus) extracts. Kor. J. Food Cookery Sci. 24, 905-911. 

  23. Tinggi, U. 2008. Selenium: its role as antioxidant in human health. 2008. Environ. Health Prev. Med. 13, 102-108. 

  24. Tobwal, S., Fan, W., Hines, C. J., Folk, W. R. and Ercal, N. 2012. Antioxidant potential of Sutherlandia frutescens and its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various cell cultures.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2, 271. 

  25. Ververidis, F., Trantas, E., Douglas, C., Vollmer, G., Kretzschmar, G. and Panopoulos, N. 2007. Biotechnology of flavonoids and other phenylpropanoid-derived natural products. Part I: Chemical diversity, impacts on plant biology and human health. Biotechnol. J. 2, 1214-1234. 

  26. Xuan, S. H., Kim, G. Y., Yu, J. Y., Kim, J. W., Yang, Y. R., Jeon, Y. H., Jeong, Y. J., Kim, A. R. and Park, S. N. 2016. Antioxidant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of Calendula officinalis flowers extracts in human skin cells. Appl. Chem. Eng. 27, 620-626. 

  27. Yamamoto, Y. and Gaynor, R. B. 2001. Therapeutic potential of inhibition of the NF- ${\kappa}B$ pathway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cancer. J. Clin. Investig. 107, 135-142. 

  28. Yang, H. G., Kim, H. J., Kim, H. S. and Park, S. N. 2013. Ethosome formulat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xtracts. Appl. Chem. Eng. 24, 190-1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