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과 다중지능의 관계 -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Creativity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Multiple Intelligence - Focusing on the Subject of Biology -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9 no.3, 2020년, pp.369 - 381  

김민주 (서울문현초등학교) ,  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and scientific creativity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focusing on the subject of biology. For this, 37 science-gifted fifth-graders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at an Office of Education conducted a multipl...

주제어

표/그림 (7)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성과 지능 간 관계에 대한 설명에서 많은 설득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창의성과 지능 간 관계에 대한 설명에서 많은 설득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은 식역이론(threshold theory)이다. Jauk et al.
과학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임채성(2014)은 창의성을 발휘하는 주체도 고려하여 학생 과학창의성(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을 학생 수준에서 과학적으로 새로우면서 유용한 것을 만들어내는 능력으로(little-c 창의성), 과학자 과학창의성(scientist‘s scientific creativity)을 과학계에서 새로우면서 유용한 것을 만들어내는 능력으로(Big-C 창의성)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수준에서의 과학창의성을 탐구하므로 Big-C 창의성과 구분되는 little-c 창의성의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Weisberg가 창의성을 정의하는 데 많은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이야기 한 이유는 무엇인가? 21세기 핵심 능력 중 하나인 창의성은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지만, 그 메커니즘이 아직까지 완전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Weisberg (1993)는 창의성 자체가 복합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창의성을 정의하는 데 많은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였다. 이렇듯 복잡해 보였던 창의성에 대한 정의는 창의적 산물은 어떤 특징을 갖는가에 초점을 맞춰, 새로우면서도 유용한 혹은 가치 있는 산물을 만들어내는 성향이나 능력(Mayer, 1999; Mumford, 2003; Sternberg, 1998)으로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김민주, 임채성(2019). 초등과학영재학생의 발표에 대한 인식 및 발표의 자발성과 과학창의성의 관계 분석. 초등과학교육, 38(3), 331-344. 

  2. 노명완, 이차숙(1995). 유아언어교육론. 서울: 동문사. 

  3. 류성림(2010). 초등 수학영재와 학부모의 다중지능에 관한 비교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24(3), 807-830. 

  4. 문용린(2003). 지능과 교육. 서울: 학지사. 

  5. 문용린, 김주현(2004).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교육가능성 탐색. 진로교육연구, 17(1), 1-19. 

  6. 문용린, 류숙희, 김현진, 김성봉(2001).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학연구, 1, 1-71. 

  7. 박미진, 서혜애, 김동화, 김지나, 남정희, 이상원, 김수진 (2013). 과학?수학 영재의 다중지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개인성향의 차이. 영재교육연구, 23(5), 697-713. 

  8. 박병기, 유경순(2000). 창의성과 지능의 관계구조. 교육심리연구, 14(2), 235-261. 

  9. 박종원(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10. 성진숙(2003).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 분석: 확산적 사고, 과학 지식, 내?외적 동기, 성격 특성 및 가정 환경. 열린교육연구, 11(1), 219-237. 

  11. 송성수(2013). 과학사의 사례를 활용한 과학자의 창의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다윈, 에디슨, 아인슈타인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2(2), 227-236. 

  12. 신숙희(1987). 어머니의 언어형태와 유아의 언어, 사고능력 및 창의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여상인, 허정순, 최선영(2010). 초?중등 수학?과학?정보 영재의 다중지능 비교. 국제과학영재학회지, 4(1), 1-8. 

  14. 윤경미, 유순화(2008). 과학영재, 인문사회영재, 일반 중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청소년학연구, 15(5), 287-313. 

  15. 이수현(2009).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다중지능과 과흥분성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유림(2015).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습득과 어휘 표현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어의미학, 49, 163-187. 

  17.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18. 조은부, 원정애, 백성혜(2006).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 학생의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07-316. 

  19. 진주현(2015). 초등수학영재의 다중지능과 수학적 능력구성 요소와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최인수(2000). 유아용 창의성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20(2), 139-166. 

  21. 홍성윤, 김유미(1998). 중다지능이론과 교수-학습 방법. 한국교육문제연구, (13), 167-188. 

  22. Baer, J. (2011). How divergent thinking tests mislead us: Are the Torrance Tests still relevant in the 21st century? The division 10 debate.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5(4), 309-313. 

  23. Gardner, H. E. (2008). Multiple intelligences: New horizons in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Basic Books. 

  24. Han, K. S. & Marvin, C. (2002). Multiple creativities? Investigating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46(2), 98-109. 

  25. Hargreaves, D. J. (1977). Sex roles in divergent think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47(1), 25-32. 

  26. Harrington, R. G. (1984). Effects of verbal self instruction on creative play in preschool aged children.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8(2), 143-144. 

  27.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3. 

  28. Jauk, E., Benedek, M., Dunst, B. & Neubauer, A. C.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ce and creativity: New support for the threshold hypothesis by means of empirical breakpoint detection. Intelligence, 41(4), 212-221. 

  29. Kim, J., Lim, N. & Kim, N. (2000). A study on development of modelling for field trips of biology learning. Biology Education, 28(2), 129-135. 

  30. Korfiatis, K. J. & Tunnicliffe, S. D. (2012). The living world in the curriculum: Ecology, an essential part of biology learning.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46(3), 125-127. 

  31. Mayer, R. E. (1999). Fifty years of creativity research.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Mumford, M. D. (2003). Where have we been, where are we going? Taking stock in creativity research.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5(2-3), 107-120. 

  33. Olsen, K. D. (2004). How education can lead the way to an integral society: A proven model for doing so already exists. World Futures, 60(4), 287-293. 

  34. Preckel, F., Holling, H. & Wiese, M. (2006). Relationship of intelligence and creativity i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An investigation of threshold theor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1), 159-170. 

  35. Runco, M. A. (2004). Everyone has creative potential. In R. J. Sternberg, E. L. Grigorenko & J. L. Singer (Eds),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pp. 21-3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6. Runco, M. A. & Acar, S. (2012). Divergent thinking as an indicator of creative potential.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4(1), 66-75. 

  37. Singer, D. G., Singer, J. L., D’Agnostino, H., Delong, R., D ’agostino, H. & Delong, R. (2009). Children’s pastimes and play in sixteen nations: Is free-play declining?. American Journal of Play, 1(3), 283-312. 

  38. Sternberg, R. J. (Ed) (1998). Handbook of human creativity.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Sternberg, R. J. & O'Hara, L. (1999). Creativity and intelligence.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251-272).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Torrance, E. (1963). Education and the creative potential. Minnesot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1. Treffinger, D. J., Young, G. C., Selby, E. C. & Shepardson, C. (2002). Assessing creativity: A guide for educators. Storrs, C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42. Weisberg, R. W. (1993). Creativity: Beyond the myth of genius. New York: WH Freeman. 

  43. Wilson, C. (2011). Effective approaches to connect with nature. Wellington: Department of Conserv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