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교수전략, 유형, 개념과의 연관성 분석 -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eaching Strategies, Types of Inquiry Activ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quiry Activities and Concepts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Focusing on Earth Science -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9 no.3, 2020년, pp.449 - 463  

임성만 (한국교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analysis teaching strategies, types of inquiry activ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concepts and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inquiry-based teaching strategies 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were experiment, simu...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4)는 관점에서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지구과학과 관련된 탐구 활동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이 과학적인 개념을 이해시키고, 과학적인 탐구 기능을 경험시키기 위해 어떤 교수전략을 사용하고 있으며, 개념과 탐구활동 간의 연관성은 무엇인지 조사․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과 결과는 앞으로 시대의 변천에 따라 새로운 교과서 개발 및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이러한 이유로 많은 탐구활동이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형실험이 많다. 모형실험을 말 그대로 실제 자연 현상을 모형화한 실험을 진행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자연 현상을 추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추리가 동반되는 탐구활동은 이번 연구에서 IA로 분류하였다.
  • 이 연구는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이 과학적인 개념을 이해시키고, 과학적인 탐구 기능을 경험시키기 위해 어떤 교수전략을 사용하고 있으며, 탐구활동 유형은 어떠한지, 그리고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의 과학 개념과 과학교과서의 탐구활동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기반 교수전략은 Experiment, Simulation, Demonstration, Field Study였다.
  • 즉,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개념을 습득하기 위해 탐구 활동은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것이며, 이 탐구활동은 학생들이 습득해야 할 과학 개념과 연관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번 연구에서는 과학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과학 개념과 탐구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보았다. 이 연관성이라는 것은 사실 학생들에게 과학 개념을 가르치기 위해 타당한 탐구 활동을 이용하였는지를 확인하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 더불어 우리나라의 과학교과서는 다른 나라 교과서에 비해 탐구활동이 강조되어 있으며, 탐구활동이 학습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임성만, 2018). 이러한 부분에서 이번 연구는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탐구활동 분석의 관점은 두 가지였다.
  • 이번 연구는 과학을 모방하고 단순하게 경험하는 것이 과학에 대한 이해를 보장해 주지는 않는다 (Sadler et al., 2010; Schwartz et al., 2004)는 관점에서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지구과학과 관련된 탐구 활동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이 과학적인 개념을 이해시키고, 과학적인 탐구 기능을 경험시키기 위해 어떤 교수전략을 사용하고 있으며, 개념과 탐구활동 간의 연관성은 무엇인지 조사․분석해 보고자 한다.
  • 이러한 학습 이해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다른 영역에 비해 지구과학 분야에서는 개념 이해를 돕고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탐구활동 구성이 더욱더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지구과학 분야의 탐구활동이 지구 과학 개념과 어떤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그 연관성이 학습자의 개념 이해에 도움을 주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 즉, 과학교과서를 개발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과학교육 과정에서 요구하는 과학 개념에 맞는 탐구 기반 교수전략을 고민하였는가?, 둘째, 학생들의 과학 개념 생성 및 습득을 위한 적절한 탐구활동 유형을 선택하였는가?, 셋째, 과학 개념과 탐구활동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탐구활동을 적절하게 구성하였는가? 앞으로 초등학교 현장에도 검정제도가 도입되면서 많은 과학교과서가 개발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앞서 논의한 내용은 많은 과학교과서의 질을 어느 정도 답보하기 위한 방안일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즉, 과학교과서를 개발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과학교육 과정에서 요구하는 과학 개념에 맞는 탐구 기반 교수전략을 고민하였는가?, 둘째, 학생들의 과학 개념 생성 및 습득을 위한 적절한 탐구활동 유형을 선택하였는가?, 셋째, 과학 개념과 탐구활동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탐구활동을 적절하게 구성하였는가? 앞으로 초등학교 현장에도 검정제도가 도입되면서 많은 과학교과서가 개발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앞서 논의한 내용은 많은 과학교과서의 질을 어느 정도 답보하기 위한 방안일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과서는 무엇을 고려하여 개발되는가? 그만큼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가 갖는 역할은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임성만, 2019). 실제 교과서는 학년의 수준을 고려함과 동시에 교사가 교과를 가르치는 데 필요한 내용과 자료의 부족을 느끼지 않도록 개발된다(Ball & Feiman-Nemser, 1988; Yager, 1996). 또한 교과서는 국가에서 제시하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으며, 여러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된다(Rillero, 2010).
교사들이 과학 학습에 있어 전통적으로 의존해 왔던 것은? 과학 학습에 있어서도 많은 자료와 교재가 있지만, 교사들은 전통적으로 과학교과서에 의존해 왔다(Roseman et al., 2001; Schwarz et al.
지구과학 분야의 학습자들이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오개념이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한편, 과학에서 지구과학 분야는 다른 분야에 비해 매우 긴 시간과 큰 공간을 다루고 있다. 더불어 지구과학과 관련된 실험들은 실험실 내에서 동일 실험 및 반복 실험이 다른 분야에 비해 불가능한 것이 많으며(임청환과 정진우, 1993), 다루고 있는 개념들이 추상적이고 직접 관측하기 어려운 것이 많다(김범기 등, 1996). 이러한 이유로 명전옥(2001) 이 주장한 것처럼 학습자들은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오개념이 많이 나타나는 영역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5-74호. 

  2. 교육부(2018). 초등학교 3, 4, 5, 6학년 과학교과서. 서울: (주)비상. 

  3. 김경순, 신은주, 한재영, 노태희(2006). 비유를 사용한 화학 개념 학습에서 유발되는 대응 오류와 개념 이해도의 관계. 대한화학회지, 50(6), 486-493. 

  4.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1996). 천문 개념 취도와 공간 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2), 216-225. 

  5. 김순식, 이용섭(2017). '계절 변화'에 대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3), 278-289. 

  6. 명전옥(2001).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 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2(5), 339-349. 

  7. 박종윤, 남정희, 유희선(2000).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 평가 수업전략이 중학교 과학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468-478. 

  8. 서동욱(2004). 야외 지질 학습장의 퇴적암과 지질 구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관찰 및 가설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86-594. 

  9. 송신철, 심규철(2018).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탐구활동 유형 분석. 생물교육, 46(1), 24-38. 

  10. 이창진, 홍석의(2003).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가상지질조사 웹 컨텐츠 개발: 제주도 송악산과 지삿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4(3), 172-180. 

  11. 임성만(2015). 우리나라 역대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지구과학' 영역의 중심개념과 탐구활동 분석 및 차기 교과서 개선 방안 모색. 초등과학교육, 34(3), 288-296. 

  12. 임성만(2018).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초등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개념 및 탐구활동 요소 비교 분석: 지질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1), 38-54. 

  13. 임성만(2019). 초등과학 교과서 지질 분야의 지역화 자료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지층과 화석' 단원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184-197. 

  14. 임청환, 정진우(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분야 내용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47-256. 

  15. 정수연, 장정호(2019). 2009 개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II 교과서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현장과학교육, 14(2), 160-174. 

  16. 한영욱, 샘재윤(2005). 초등학교 암석원의 실태분서 및 암석단원 지도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 모색. 부산교육대학교 논문집, 7(1), 59-78. 

  17. 허숙(2009). 국가교육과정 정책의 방향과 과제. 교육과정연구, 27(3), 1-13. 

  18. Almendingen, S. F., Klepaker, T. & Tveita, J. (2003). Tenke det, onske det, ville det med, men gjore det ... ?: en evaluering av natur-og miljofag etter Reform 97 [Thinking, desiring, wanting, but doing? An evaluation of the school subject science and environmental subjects after Reform 97]. Retrived July 15, 2020, from https:// nordopen.nord.no/nord-xmlui/handle/11250/145676 

  19. Anderson, R. D. (2002). Reforming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says about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cher Education, 13(1), 1-12. 

  20. Ball, D. L. & Feiman-Nemser, S. (1988). Using textbooks and teacher’s guides: A dilemma for beginning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Curriculum Inquiry, 18(4), 401-423. 

  21. Bell, R. L., Smetana, L. & Binns, I. (20050. Simplifying inquiry instruction. The Science Teacher, 72(7), 30-33. 

  22. Caliskan, O. (2011). Virtual field trips in education of earth and environment sciences.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5, 3239-3243. 

  23. Chiappetta, E. & Fillman, D. (2007). Analysis of five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used in the United States for inclusion of the nature of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5), 1847-1868. 

  24.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25. Colaizzi, P. E.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existential phenomen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6. Constantinou, C. P. Tsivitanidou, O. E. & Rybska, E. (2018). What Is Inquiry-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 O. E. Tsivitanidou et al. (Ed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quiry-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1-23). Contributions from Science Education Research 5. 

  27. DiGiuseppe, M. (2014). Representing nature of science in a science textbook: Exploring author-editor?publisher intera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7), 1061-1082. 

  28. Duschl, R. & Smith, M. (2001). "Earth science", Brophy, J. (Ed), Subject-specific instructional methods and activities (Advances in Research on Teaching, Vol. 8) (pp. 269-290).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Bingley. 

  29. Hofstein A. & Lunetta V. N. (2004). The laboratory in science education: Foundation for the 21st century. Science Education, 88(1), 28-54. 

  30. Huberman, A. M. & Miles,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1. Hubisz, J. (2003). Middle-school texts don't make the grade. Physics Today, 56(5), 50-54. 

  32. Kesidou, S. & Roseman, J. E. (2002). How well do middle school science programs measure up? Findings from Project 2061s curriculum review.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522-549. 

  33. Kusnick, J. (2002). Growing pebbles and conceptual prisms-Understanding the sources of student misconceptions about rock formation.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0(1), 31-39. 

  34. Leite, L. (1999). Heat and temperature: An analysis of how these concepts are dealt with in textbooks.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2(1), 75-88. 

  35. Linn, M. C., Davis, E. A. & Eylon, B. (2004). The scaffolded knowledge integration framework for instruction. In M. C. Linn, E. A. Davis & P. Bell (Eds), Internet environments for science education (pp. 47-72).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6. Marzano, R. (2007). The art and science of teaching: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effective instruction. Alexsandria, VA: Th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7. Mullis, I. V., Martin, M. O., Foy, P. & Arora, A. (2012).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38. Orgill, M. K. & Bodner, G. M. (2004). Locks and keys: How analogies are used and perceived in biochemistry class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RST, Vancouver, BC. 

  39. Ramasundaram, V., Grunwald, S., Mageot, A. & Comerford, N. B. (2005).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al virtual laboratory. Computer and Education, 45(1), 21-34. 

  40. Rillero, P. (2010). The rise and fall of science education: A content analysis of Science in elementary reading textbooks of the 19th century.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Journal, 110(5), 277-286. 

  41. Rivard, L. P. (1994). A review of writing to learning science: Implication for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969-983. 

  42. Roseman, J. E., Kulm, G. & Shuttleworth, S. (2001). Putting textbooks to the test. ENC Focus, 8(3), 56-59. 

  43. Sadler, T. D., Burgin, S., Mckinney, L. & Ponjuan, L. (2010). Learning Science through Research Apprenticeships: A Critical Reviewof the Literatu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3), 235-256. 

  44. Schwartz, R. S., Lederman, N. G. & Crawford, B. A.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4), 610-645. 

  45. Schwarz, C. V., Gunckel, K. L., Smith, E. L., Covitt, B. A., Bae, M., Enfield, M. & Tsurusaki, B. K. (2008). Help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learn to use curriculum materials foreffective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92(2), 345-377. 

  46. Shamsudin, N. M., Abdullah, N. & Yaamat, N. (2013). Strategies of teaching science using an inquiry based science education(IBSE) by novice chemistry teacher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90, 583-592. 

  47. Stern, L. & Roseman, J. E. (2004). Can middle-school science textbooks help students learn important ideas? Findings from project 2061s curriculum evaluation study: Life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6), 538-568. 

  48. Stoffels, N. T. (2005). "There is a worksheet to be followed": A case study of a science teacher's use of learning support texts for practical work. African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9(2), 147-157. 

  49. Suarez, M. L.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and student achievement.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 Mississiphi, USA. 

  50. Thomas, W. J. (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 based learning. San Farael, CA: Autodes Foundation. 

  51. Wickman, P. O. (2004), The practical epistemologies of the classroom: A study of laboratory work. Science Education, 88(3), 325-344. 

  52. Wier, B., Cain, B. J. & Fredricks, K. (2000). "Living inside the earth", Children's preconceptions about how we addressed them.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Conference of the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Orlando, FL. 

  53. Yager, R. E. (1996).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in science education.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