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전문간호 인력과 공급의 적정성
Home Health Nurses and the Adequacy of their Supplie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7 no.2, 2020년, pp.137 - 145  

백희정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raining system and current status of home health nurses and to examine ways to retain sufficient number of advanced practice nurses (APNs) in the home health nursing field.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adequacy of the supply of home health nurse by rev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가정간호사업의 변모 과정에서 가정간호제도의 발전은 인력의 수요와 공급의 적정성과 맞물려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에서 먼저 시작되어 효과가 입증되었고, 현재도 확대와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가정간호제도가 우리나라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인력이 어떻게, 얼마나 양성되었는지 살펴보았고, 인력공급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 그러나 인력 공급이 원활치 않아 사회적 입원문제의 해결이 요원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가정간호 인력양성 제도 및 현황을 파악하고, 적정 인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가정간호사업의 공식적인 시작은 언제인가? 우리나라 가정간호사업의 공식적인 시작은 1994년 정부에서 실시한 1차 시범사업으로, 의료수요의 증가에 따른 병상부족 현상의 완화,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 장기입원환자의 조기퇴원, 국민의료비 절감이 목적이었다. 이어 2차 병원중심 가정간호 시범사업을 마치고 2000년 1월, 의료법을 개정하여 본격적으로 가정간호사업을 시작하였다[1].
업무분야별 간호사 자격 기준에 가정간호사가 추가된 것으로 마련된 것은? 의료법 개정과 더불어 의료법시행규칙에 가정간호의 범위, 가정간호 인력 및 가정간호 실시 의료기관의 최소 인력에 대한 내용이 신설되고, 가정간호 수가가 고시됨으로써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3]. 가정간호 서비스 대상자는 의료기관 환자 중 가정에서 입원대체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담당의사 또는 한의사가 판단한 자로 하였다.
가정간호사업의 목적은? 우리나라 가정간호사업의 공식적인 시작은 1994년 정부에서 실시한 1차 시범사업으로, 의료수요의 증가에 따른 병상부족 현상의 완화,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 장기입원환자의 조기퇴원, 국민의료비 절감이 목적이었다. 이어 2차 병원중심 가정간호 시범사업을 마치고 2000년 1월, 의료법을 개정하여 본격적으로 가정간호사업을 시작하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anual of hospital-based home health nursing.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May. 

  2. Home Health Nursing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20-year history and perspectives on home health care. Seoul: HN Science, 2014. 

  3. Press Release. To visit the home and provide nursing service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1 February 1. 

  4. National Association for Home Care and Hospice. Definition of home care [Internet].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Home Care and Hospice; 2016. [cited 2016 May 1]. Available from: http://www.nahc.org 

  5. Alliance for Home Health Quality and Innovation. What is home health care [Internet]. Washington DC: Alliance for Home Health Quality and Innovation; 2020 [cited 2020 June 5]. Available from: https://www.ahhqi.org 

  6. Korean Homehealthcare Nurses Association. The Association [Internet]. Seoul: Korean Homehealthcare Nurses Association; 2020 [cited 2020 July 7]. Available from: http://www.hcna.or.kr/sub2/2_8.php 

  7.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9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 annual repor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20 January. 

  8. Kim ES, Ko IS, Cho WJ, Jang HS, Rhyu SJ, Kim HY, et al. A study on the impact assessment of hospital-based home health care and the planning of community-based home health care. Seou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2002 March. 

  9. Shin SY. Nursing home residents are eligible for home care nursing service [Internet]. Law Times; 2014 [cited 2020 July 27]. Available from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86010 

  10. Kim MI. Home health care and visiting nursing. The Korean Nurse. 1991;3(2):6-12. 

  11. Kim MI. Perspectives for home health care nursing research.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1998;2(1):14-25. 

  12.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Public notice on advanced practice nurse educational cours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7 [cited 2020 August 1].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13.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edical service act article 78 (nurse practitioner).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0 [cited 2020 August 1].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14. Song CR. Home care services: crisis and perspective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09;6(1):55-65. 

  15. Jang HS, Yoo SJ, Hwang JI, Jin YR. Demand and supply planning for the advanced practice nurses. Seou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4 April. 

  16. Ko JY, Yoon JY. Analysis of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 utilization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 data from 2008 to 2017.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9;26(1):36-50. https://doi.org/10.22705/jkashcn.2019.26.1.36 

  17. Jang HS, Jin YR, Kim JE, Hong EJ, Yoo JS. The role and function of home healthcare based on the public health centers, hospitals and long-term care insurance. Seou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7 May. 

  18. Cho KH, Kang HR, Jung HJ, Park IT, Chon HN, Kwon JE.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patient-oriented medical-care service system.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alth Research Policy Institute; 2019 December. 

  19.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Enforcement rule of the medical service act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0 [cited 2020 August 1].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20.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Number of medical personnel by provider type [Internet]. Dajeon: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0 [cited 2020 August 1]. Available from http://kosis.kr 

  21. Home Care Coalition. Definition of home care. 1998;5:20-31. Cited by Park JH, Yun SY, Lin MJ, Park SA, Whang NM, Heo JS. Discussion on expansion and establishment of home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2;32(6):855-866. http://dx.doi.org/10.4040/jkan.2002.32.6.855 

  22.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Long-term care act article 23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9 [cited 2020 August 1].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23.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olicy wiki: community car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8 [cited 2020 Jun 30]. http://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6645 

  24. Oh YH. Prospect for the supply and demand of health and medical personnel and policy tasks. Journal of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2006;35(4):18-30. 

  25.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Health and medical personnel support act article 23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9 [cited 2020 August 1].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26. Shin YS, Yoon KJ, Kim SE, Lee NK, Lim JW, Lee JH, et al. Health and medical personnel.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Welfare; 2018 December. 

  27. Kim NY, Kim JH, Kim HY, Lim CS, Chon MK, Choi SJ.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the advanced practice nurse. In: Editors. 2019 Annual report. Nurses Association; 2019. p. 203-24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