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유명인 모델의 광고효과 예측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Advertising Effects of Celebrity Models using Big data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8, 2020년, pp.99 - 106  

김유나 (서울예술대학교 광고창작과) ,  한상필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에 기반을 둔 유명인과 브랜드의 이미지 유사도가 광고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결정변수가 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광고효과 예측모형을 생성하고 빅데이터 분석기법인 기계학습 방법을 통해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SNS상의 키워드 네트워크 구조에 기반하여 유명인-브랜드 이미지 유사도를 정량화하고, 학습 데이터를 통해 이미지 유사도를 독립변수로, 광고효과 데이터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모형을 반복 실시하여 광고효과 예측모형을 생성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예측모형의 정확도를 판단하기 위해 예측 데이터에서 얻은 광고효과 예측값과 비교 기준으로서의 서베이값을 비교한 결과, 타당도를 판단하는 기준치인 75%의 분류 정확도를 보였으므로 본 광고효과 예측 모델링타당성은 확보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유명인-브랜드 이미지 유사성 구조를 소셜 네트워크 구조로 설명하고 그 효과를 기계학습을 통한 예측 모델링으로 검증하여 빅데이터 기반 모델링 연구에 새로운 방법론적 대안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image similarity between celebrities and brands on social network service be a determinant to predict advertising effectiveness. To this end, an advertising effect prediction model for celebrity endorsed advertising was created and its validity was v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맥락에서 SNS상에서 생성되는 소비자 여론 역시 수많은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되는 경향을 보이므로 네트워크 분석으로 그 의미에 접근해 볼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수집한 유명인 모델의 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의 키워드를 연상의 기본 단위로 여기고, 연상 네트워크 이론에 근거하여 유명인-브랜드 간 이미지 유사도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명인 모델의 개체로서의 이미지를 ‘일반인으로서의 이미지’로 규정하고, 유명인으로서의 사회적 위상에 따라 형성되는 이미지를 ‘유명인으로서의 이미지’로 규정하며, 서사적 구조로 드러나는 유명인의 행동을 ‘사건’으로 규정하여 그 실체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최근 주목받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유명인과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담론으로 유명인 모델의 이미지 실체를 파악하고, 둘째, 유명인-브랜드 이미지 유사도 연구를 통해 복합체로서의 유명인 모델에 대한 이미지 구조를 새롭게 정립하며, 셋째, SNS 상의 키워드 구조를 연상 네트워크 구조로 접근해 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유명인과 브랜드의 이미지 유사도 산출 식을 도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명인-브랜드 이미지 유사도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광고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지, 유명인 모델에 대한 광고효과 예측모형을 생성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유명인 이미지를 복합체적인 관점으로 접근하여, 유명인-브랜드 이미지 유사성을 소셜미디어 내의 키워드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산출한 후, 이미지 유사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유명인의 광고효과 예측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해당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빅데이터에 근거하여 유명인 모델과 브랜드의 이미지 유사도를 산출하고, 이러한 이미지 유사도에 근거하여 유명인 모델의 광고효과 예측모형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 절차에 따라 6가지 모듈(빅데이터 수집 모듈→ 빅데이터 전처리 모듈→ 빅데이터 통합 적재 모듈→ 이미지 유사도 산출 모듈→ 광고효과 학습 모듈→ 광고효과 예측 모듈)로 빅데이터 분석을 실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최근 주목받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유명인과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담론으로 유명인 모델의 이미지 실체를 파악하고, 둘째, 유명인-브랜드 이미지 유사도 연구를 통해 복합체로서의 유명인 모델에 대한 이미지 구조를 새롭게 정립하며, 셋째, SNS 상의 키워드 구조를 연상 네트워크 구조로 접근해 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유명인과 브랜드의 이미지 유사도 산출 식을 도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명인-브랜드 이미지 유사도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광고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지, 유명인 모델에 대한 광고효과 예측모형을 생성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고 모델은 광고에 있어서 어떤 요인인가? 광고 모델은 광고효과를 좌우하는 핵심 구성 요인이면서 광고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요소이다[1].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유명인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의 적합성을 주요 연구주제로 다루었으나[2], 실제로 유명인 모델과 브랜드의 이미지 적합성에 대한 실체가 무엇인지, 어느 정도로 적합해야 하는지, 그리고 이미지 적합성을 고려하여 유명인을 선정했을 때 실제로 광고효과를 담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근거들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유명인(celebrity) 모델은 무엇인가? 유명인(celebrity) 모델은 일반적으로 특정 분야에서의 성공을 기반으로 대중들에게 이름을 널리 알린 인물을 의미한다[3]. 유명인 모델에는 가상의 인물도 모두 포함되는데, 최근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상에서 막대한 팔로워(follower)를 보유하면서 트렌드를 이끌고 유명세를 얻고 있는 인플루언서(influencer)도 유명인 모델에 속한다고 하겠다.
유명인 모델이 가진 이미지와 모델이 광고하는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기존 연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유명인 모델이 가진 이미지와 모델이 광고하는 브랜드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높을수록 광고효과가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4].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브랜드 이미지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사전에 형성해 놓은 이미지 셋(set)을 설문 조사를 통해 평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측정에 한계를 갖는다[5]. 또한, 오늘날같이 SNS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한 쌍방향 네트워크 시대에는 고정된 ‘표상으로서의 이미지’ 외에 서사적 맥락을 고려한 ‘복합체로서의 이미지’로 유명인 모델과 브랜드 이미지를 확장해서 보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W. S. Kyeong. (2014. July). Mode's double appearances and advertising effects, KAA Special Report, July+August, 10-13. 

  2. C. Amos, G. Holms & D. Strutton. (2008).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elebrity endorser effects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27(2), 209-234. 

  3. H. H. Friedman & L. Friedman. (1979). Endorser effectiveness by product typ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9(5), 63-71. 

  4. I. Y. Nam. (2002). The degree of match-up and celebrity endorser's advertising effectiveness : considering various product typ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16(1), 171-199. 

  5. C. R. Knott & M. St. James. (2004). An alternate approach to developing a total celebrity endorser rating model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ternational Transactions in Operational Research, 11, 87-95. 

  6. J. D. Roedder, L. Barbara, K. Kim & A. B. Mong. (2006). Brand concept maps: a methodology for identifying brand association network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3(November), 549-563. 

  7. J. R. Anderson & G. H. Bower. (1980). Human Associative Memory: A Brief Edition. Hillsdale, N.J.: L. Erlbaum Associates. 

  8. D. A. Aaker. (1996). Building strong brands. New York: The Free Press. 

  9. K. L. Keller, S. Brian & T. Alice. (2002). Three Questions You Need to Ask About Your Brand, Harvard Business Review, September, 81-86. 

  10. K. H. Choi & J. A. Yoo. (2015). A reviews on the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1), 77-83. DOI : 10.15207/JKCS.2015.6.1.077 

  11. M. J. Sirgy. (1982). Self-image/product image congruity and advertising strategy. Development in Marketing Science, 5(February), 129-13. 

  12. A. Labrinidis & H. Jagadish. (2012).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with big data. Proceedings of the LDB Endowment, 5(12), 2032-2033. 

  13. H. W. Byeon. (2015). The factors of participating in a smoking cessation program using integrated method of decision tree and neural network algorith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2), 25-30. DOI : 10.15207/JKCS.2015.6.2.025 

  14. M. Che, S. Mao & Y. Liu. (2014). Big Data: ASurvey. The journal Mobile Networks and Applications, 19, 171-209. 

  15. P. Russom. (2011). Big data analytics. TDWI best practices report [Online], fourth quarter. https://vivomente.com/wp-content/uploads/2016/04/big-data-analytics-white-paper.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