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의 난임 간호 교육 요구도 조사
Educational Needs of the Infertility Care among Nurses Caring Infertility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8, 2020년, pp.131 - 138  

박점미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의 난임 간호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5개의 난임 전문 병원과 1개 보건소에서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 194명이었다. 자료는 난임 질환과 증상에 대한 정보, 난임 대상자의 일상 생활에 대한 정보 제공, 난임 대상자의 지지와 상담 내용을 포함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난임 질환과 증상에 대한 정보 요구도의 평균 점수는 3.52점이었고, 난임 대상자의 일상 생활에 대한 정보 제공 교육 요구도는 평균 3.36점이었으며 난임 대상자의 지지와 상담에 대한 교육 요구도는 평균 3.32점이었다. 각 하부 영역중에서는 '난임 치료 과정과 중재', '운동', '배우자와의 지지 체계 형성'이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들의 교육 요구도 항목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난임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교육을 하기 위해서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는 난임 간호 교육에 대한 분명한 개념인식과 목적을 가지고 그들의 신체적, 심리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략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rses' educational needs for the infertility care. Methods: The 194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nurses in charge of infertility health services in 5 infertility hospitals and 1 public health center.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선 난임 환자 간호의 주체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난임 간호와 관련한 교육 요구도 파악 및 전략을 모색하고,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에게 필요한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초석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난임 의료 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난임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난임 치료 및 증상에 대한 정보 제공 영역에서는 ‘난임 치료 시술 절차 및 검사’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일상 생활에 대한 정보 제공 영역에서는 ‘운동량’이 가장 높았다.
  • 본 연구는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난임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의 난임 간호 교육 요구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 대상자들은 첫 번째로 난임 치료 및 증상에 대한 정보 제공 영역에서 ‘난임 치료 시술 절차 및 검사’ 대한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진국의 난임률은 어떠한가? 저출산 요인의 하나로 거론되는 난임은 피임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1년간 아이를 낳기 위한 정상적인 부부 관계를 지속하였음에도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2]. 선진국의 난임률을 비교해 보았을 때 영국 8.6%은 독일 8.0%, 미국 6.7% 인데 반하여 우리나라의 난임율은 13.2%로 1.
난임은 무엇인가? 10명 이하로 감소된 상태로 OECD 회원국 중에서도 최하위의 저출산 국가에 속해 있다[1]. 저출산 요인의 하나로 거론되는 난임은 피임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1년간 아이를 낳기 위한 정상적인 부부 관계를 지속하였음에도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2]. 선진국의 난임률을 비교해 보았을 때 영국 8.
난임 관련 상담 및 간호에 관하여 해외의 경우 초창기에는 어떻게 진행되었었는가? 해외의 경우, 초창기에는 난임 관련 정보를 난임 여성들에게 교육하는 중재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었다[9,10]. 국내에서도 난임 치료의 국가 지원 사업의 확대에 따라 난임 치료 지원 사업의 근거 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11], 의료진들이 난임 환자들에 대한 새로운 사업 및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적 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tatistics Korea. (2018). 2017 Birth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8 [cited 2018 Dec 1].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28 

  2. N. F. Woods, E. Olshansky & M. A. Draye. (1991). Infertility: Women's experiences. Health Care for International, 12, 179-190. 

  3. S. H. Kang & D. G. Kim. (2018). The role of insurance in the low fertility. Aging Review, 20, 11-14. 

  4. M. O. Kim. (2016). Relationship between infertili-ty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based on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exual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2), 140-151. 

  5. A. Martinez Pampliega, S. Cormenzana, S. Mar-tin S & L. Navarro. (2019). Marital functioning and treatment outcome in couples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5(2), 338-347. 

  6. H. S. Lee, S. J. Boo, J. A. Ahn & J. E. Song. (2020). Effects of uncertainty and spousal support on infertility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6(1), 72-83. DOI: 10.4069/kjwhn.2020.03.15 

  7. J. Boivin & G. Sofia. (2015). Evolution of psy-chology and counseling in infertility. Fertility and Sterility, 104(2), 251-259. DOI: 10.1016/j.fertnstert.2015.05.035 

  8. N. M. Hwang. (2013).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women infertilit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61-187. 

  9. B. H. Kwan. Luk & A. Y. Loke. (2016). A review of supportive interventions targeting individuals or couples undergoing infertility treatmen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42(6), 515-533. DOI: 10.1080/0092623X.2015.1074133 

  10. E. Blyth. (2012). Guidelines for infertility coun-selling in different countries: Is there an emerging trend?. Human Reproduction, 27(7), 2046-2057. DOI:10.1093/humrep/des112 

  11. N. M. Hwang, J. H. Hwang & J. E. Kim. (2010). Evaluation of the national supporting program for infertility couples and future policy directions in Korea.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2. N. M. Hwang. (2011).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economic burden and demands of infertile women. Health.Welfare Issue & Focus, 74, 1-8. 

  13. N. M. Hwang, H. W. Shin, I. S. Jang, J. S. Park & H. N. Kim.(2012). Reimbursement system of intrauterine insemination treatment and future policy directions in Korea.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4. J. Lim & J. H. Lee. (2014). Direction and support level of the fertility welfare policy in South Korea. Journal of Population Aging, 7(2), 115-141. DOI:10.1007/s12062-014-9098-3 

  15. H. T. Allan. (2013). The anxiety of infertility: the role of the nurses in the fertility clinic. Human Fertility, 16(1), 17-21. 

  16. J. Denton, J. Monach & A. Pacey.(2013). Infertility and assisted reproduction: counselling and psychosocial aspects. Human Fertility, 16(1), 1. DOI:10.3109/14647273.2013.781335 

  17. S. M. Mourad et al. (2010). Determinants of patients'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with fertility care. Fertility and Sterility, 94(4), 1254-1260. DOI:10.1016/j.fertnstert.2009.07.990 

  18. A. A. Dembinska. (2016).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in women undergoing infertility treatment. Health Psychology Report, 4(2), 146-158. DOI: 10.5114/hpr.2016.56617 

  19. J. A. Cohen. (1992).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12(1), 155-159. 

  20. I. S. Ahn & D. I. Kim. (2017). The study of infertility stress of female participating in Korean medicine pilot program for subfertility. Journal of Korean Obstetric Gynecology, 30(1), 56-67. DOI;10.15204/jkobgy.2017.30.1.056 

  21. S. Valsangkar, T. Bodhare, S. Bele & S. Sai. (2011). An evaluation of the effect of infertility on marital, sexual satisfaction indic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Journal of Human Reproductive Sciences, 4(2), 80-85. DOI:10.4103/0974-1208.86088 

  22. M. O. Kim. (2016). Marital Intimacy, sex communication, and sexual satisfaction of infertile women.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11(1), 175-183. DOI: 10.21097/ksw.2016.02.11.1.175 

  23. B. D. Peterson, C. R. Newton & K. H. Rosen. (2003). Examining congruence between partners' perceived infertility-related stress and its relation-ship to marital adjustment and depression in infertile couples. Family Process, 42(1), 59-70. DOI:10.1111/j.1545-5300.2003.00059.x 

  24. J. H. Kim, H. J. Park, H. S. Shin & S. K. Han.(2018). Actor and partner effect of self efficacy, marital adjustment, and family support on yangsaeng in infertile coupl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4(1), 44-51. DOI:10.14370/jewnr.2018.24.1.44 

  25. S. M. Matthiesen, Y. Frederiksen, H. J. Ingerslev & R. Zachariae. (2011). Stress, distress and outcom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a meta-analysis. Human Reproduction, 26(10), 2763-2776. DOI:10.1093/humrep/der246 

  26. D. A. Gerrity. (2001). Five medical treatment stages of infertility: Implications for counselors. The Family Journal, 9(2), 140-1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