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출산 경험에 따른 임산부의 구강건강지식도와 실천도의 관련성
The relations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 in pregnant women according to childbirth experienc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8, 2020년, pp.279 - 285  

안권숙 (초당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임산부의 출산 경험에 따른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 및 실천도를 확인하고, 구강건강관리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대전광역시 소재 산부인과에 내원 중인 임산부를 대상으로 2019년 3월 2일부터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WIN(ver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지식도와 실천도는 출산 경험에 따라 t-test를 실시하였고,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지식도는 전신건강행위 문항에서 '출산 무경험인 임부'가 '출산 경험이 있는 임산부'보다 높게 나타났다.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육수준, 임신 전 구강검진 및 치료 경험, 임신으로 인한 구강상태 변화 경험,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 지식도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6.9%이었다. 따라서 임산부의 구강보건교육 대상 범위 확대와 실천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e of oral health care in pregnant women.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203 pregnant women who visited the OBGY office located in Daejeon, for the period March 2~30, 2019. In the knowledge of systemic heal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출산 경험에 따른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 및 실천도를 파악해보고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의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산부인과에 내원 중인 임산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3월 2일부터 30일까지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임산부의 출산 경험에 따른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 및 실천도를 확인해보고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의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구강환경에 대한 위생관리로 제어 가능한 구강건강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모자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는 최[10], 박 등[14], 이 등[15]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에 실천도를 높일 수 있는 참여형, 양방향성인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을 제작을 제안한다.
  • 임신 중의 적절한 음식 섭취는 생명활동과 건강한 감정 유지, 발육 중인 태아에 필요한 영양 제공, 산모의 구강조직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 분만 후 문제점을 최소화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16]. 임산부의 식이조절문항에서 지식도보다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과 출산은 여성에게 어떤 변화를 안겨주는가? 임신과 출산은 여성의 생애에서 신체적, 정신적 변화와 함께 주위 환경 등에 큰 변화가 발생한다. 신체적 변화 중 구강 내 변화로는 구토를 수반하는 입덧 등으로 인한 치아구개면 탈회와 법랑질 산 부식 등의 발생, 타액의 pH저하로 치아우식증의 발생, 식생활 변화와 간식 섭취, 구강위생관리의 소홀로 치면세균막 부착으로 인한 치은염 유발률 증가, 내분비 호르몬 변화로 치은염이 치주염으로 악화될 수 있으며, 구강점막에 구내염 등이 잘 유발되고, 임신성 치은비대 또는 임신성 종양이 발생할 수 있다[4].
신생아를 위한 국가 정책의 뒷받침으로 어떤 법이 있는가? 출산된 신생아가 건강한 삶을 영위하며 살기 위해 국가 정책의 뒷받침과 모성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모자보건법은 모성 및 영유아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건전한 자녀의 출산과 양육을 도모함으로써 국민보건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며, 제 4조 (모성 등의 의무)에서 “첫째, 모성은 임신ㆍ분만ㆍ수유 및 생식과 관련하여 자신의 건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관심을 가지고 그 건강관리에 노력하여야 한다. 둘째, 영유아의 친권자ㆍ후견인이나 그밖에 영유아를 보호하고 있는 자(이하 “보호자”라 한다)는 육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지고 영유아의 건강을 유지ㆍ증진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노력하여야 한다.”[3]고 명시하여 모성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모자구강보건은 모성인구와 아동인구를 대상으로 하는데 모성은 좁은 의미로 임신과 수유기 등의 여성을 뜻한다.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실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어떤 것들이 나타나는가?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육수준, 임신 전 구강검진 및 치료경험, 임신으로 인한 구강상태 변화 경험,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 지식도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높은 임산부, 임신 전 구강검진 및 치료경험이 있는 임산부, 임신으로 인한 구강상태 변화를 경험하지 않은 임산부,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지식도가 높은 임산부가 구강건강관리 실천도가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N. Park, R. N. Park & H. K. Park. (2020). Characteristics of Childlessness by marriage period. Daejeon : Statistics Korea. 

  2. Statistics korea. (2019). Projected Population. Daejeon : Statistics Korea. 

  3.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09). Mother and child health act, article 4(Obligation of mothers, etc.). Sejong :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4. B. H. Yu. (2007). An introduction to dental hygiene, Seoul : Yonsei university press. pp. 551-555. 

  5. Y. M. Kang & Y. S. Cho. (2016). Impact of mother's oral health literacy on preschool children's oral health status and behavior. J Dent Hyg Sci, 16(1), 26-36. 

  6. E. J. Kim. (2012). Preschool children's oral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their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7. C. S. Park, K. H. Lee, O. J. Ju, J. Y. Lee & S. J. kim. (2004). A study on level of dental hygiene recognition of pregnant women. J. Korean Soc, Hygienic Sciences, 10(2), 71-82. 

  8. Y. M. Jung. (2013). Statistical report (marriage and childbirth of men and women in Seoul), e-Seoul statistic. Seoul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ttp://opengov.seoul.go.kr/node/2557093 

  9.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2018). The first delivery, second birth Review performance. KOSIS(Online).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_LEE_56&conn_pathI2 

  10. J. M. Choi. (2005). A Study on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Pregnant women about the Oral Health Care.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1. J. Y. Seol & Y. H. Lee. (2016).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and Childbirth on Oral Diseases in Korean Woman. J Korean Society of Oral Health Science, 4(2), 114-125. 

  12. Y. K. Han & J. S. Yu. (2010). A Survey of Recognition on Oral Health in Women with Experience of Childbirth in Some Are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12(1), 47-54. 

  13. K. Y. Lee. (2009). A study on the oral health care of pregnant women in a region. J Korean Acad Dental Hygiene Education, 9(1), 1-14. 

  14. Y. N. Park & C. S. Shim. (2008).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pregnant women about oral health care. J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8(3), 53-64. 

  15. S. O. Lee & H. K. Kang. (2011). Effect of Pregnant Women's Oral Health Awareness and Practice According to Planned Dental Care Experience before Pregnancy. J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3(3), 1267-1277. 

  16. S. H. Kim et al. (2007). Translation of clinical practice of the dental hygienist. Seoul : Daehannarae publishing. 

  17. M. H. Sung & M. J. Ha. (2012).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 of Awareness of Dental Hygiene and Practice of Dental Hygiene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8(2), 53-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