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평창-정선 일대 "행매층"의 분포와 층서적 의의
Distribution and Stratigraphical Significance of the Haengmae Formation in Pyeongchang and Jeongseon areas, South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3 no.4, 2020년, pp.383 - 395  

김남수 (연세대학교) ,  최성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송윤구 (연세대학교) ,  박채원 (연세대학교) ,  최위찬 (에스씨 컨템포라리) ,  이기욱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오창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행매층은 실루리아기 회동리층과 오르도비스기 정선층(정선석회암)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행매층의 층서적 위치는 회동리층의 존재와 시층서적 논란을 해결하는데 결정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2011년 이후부터 행매층 존재와 함께 암층서 단위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란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룡동-평안리 사이 지역에 대한 정밀 지질조사를 통하여 행매층 분포와 지질구조 특성을 규명하고, 생층서와 절대연령 결과를 대비하여 행매층의 암층서 및 시층서적 의의를 정의하였다. 행매층을 대표하는 암석은 괴상의 황색-황갈색 함력 탄산염암으로 사암과 같은 입상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노두 표면이 매우 거칠고 기공이 많이 발달하고 있다. 구성광물의 조성, 함량 및 미세조직 특징을 근거로 볼 때, 행매층의 특성은 역질의 쇄설암으로, 역은 돌로마이트이며 기질은 자형 및 반자형의 돌로마이트와 원마도 및 분급이 좋은 미사질의 석영이 주구성광물로 이루어져있다. 행매층은 조사지역인 정선군 정선읍 용탄리(비룡동)에서 평창군 미탄면 평안리까지 측방으로 연속하여 잘 발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분포하고 있다. 행매층의 층리, 태위 및 층후는 비룡동-행매동 사이 지역에서는 회동리층과 거의 비슷하게 발달하나, 행매동 남서쪽에서는 등사습곡과 충상단층에 의하여 외견상 불규칙한 분포양상을 보인다. 즉 비룡동-행매동 사이에서는 340°±10°/15°의 태위를 유지하면서 200 m 층후로 발달하지만, 평안리 백암 일대에서는 동-서 1.5 km, 남-북 2.5 km에 달하는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행매층 내 쇄설성 저어콘 U-Pb 연령은 470-450 Ma 범위를 갖고 있어 행매층의 최대 퇴적시기는 후기 오르도비스기를 지시한다. 또한, 행매층을 구성하는 함력 탄산염암은 쇄설성 퇴적암이므로, 행매층에서 분류된 중기 오르도비스기 코노돈트 화석군은 재퇴적된 이지성을 의미한다. 이는 행매층의 지질시대가 중기 오르도스기 이후 임을 지시한다. 본 연구 결과, 행매층은 전단대일 뿐이며, 정선석회암의 일부이고, 정선석회암과 동일한 시기를 갖는다는 부정적 학설은 타당성을 잃었으며, 행매층은 국제층서위원회(ICS)에서 제시한 층서기준에 적합하게 잘 정의된 암층서 단위임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ratigraphical position of the Haengmae Formation can provide clues towards solving the hot issue on the Silurian formation, also known as Hoedongri Formation. Since the 2010s,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denying the Haengmae Formation as a lithostratigraphic unit. This study aimed to clari...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행매층에 대하여 제기된 문제점과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들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행매층 실체를 규명하고 암층서 단위로 존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정 여부를 논하였다. 이를 위해 Cheong et al.
  • 이 절에서는 정선석회암, 행매층, 회동리층의 대표적 암상을 기술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 주제인 행매층 암상의 육안 관찰과 행매층 분포 양상에 대해서 상세 기술하였다. 행매층의 분포가 불규칙하여 독립단위의 지층이 될 수 없음을 제시(Woo and Ju, 2016)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매층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 행매층은 실루리아기 회동리층과 오르도비스기 정선층(정선석회암)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행매층의 층서적 위치는 회동리층의 존재와 시층서적 논란을 해결하는데 결정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2011년 이후부터 행매층 존재와 함께 암층서 단위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란이 있어왔다.
괴상의 황색-황갈색 함력 탄산염암의 특징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룡동-평안리 사이 지역에 대한 정밀 지질조사를 통하여 행매층 분포와 지질구조 특성을 규명하고, 생층서와 절대연령 결과를 대비하여 행매층의 암층서 및 시층서적 의의를 정의하였다. 행매층을 대표하는 암석은 괴상의 황색-황갈색 함력 탄산염암으로 사암과 같은 입상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노두 표면이 매우 거칠고 기공이 많이 발달하고 있다. 구성광물의 조성, 함량 및 미세조직 특징을 근거로 볼 때, 행매층의 특성은 역질의 쇄설암으로, 역은 돌로마이트이며 기질은 자형 및 반자형의 돌로마이트와 원마도 및 분급이 좋은 미사질의 석영이 주구성광물로 이루어져있다.
태백산분지의 구성 중, 두위봉형 조선누층군과 정선형 조선누층군의 차이는? , 1942; Kobayashi, 1966). 두위봉형 조선누층군에서는 다양한 화석들이 산출되어 타지역에 비해 층서가 잘 정립되어 있는 편이다. 그러나 정선지역을 중심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는 석회암은 정선형 조선누층군으로 화석 산출이 매우 드물어 층서대비가 어려운 곳이다. Che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eong, C.H., Lee, H.Y., Kog, I.S., Lee, J. D. (1979) A study on stratigraphy and sedimentological environments of the Lower Paleozoic Sequences in South Korea (chiefly in Jeongseon area). Jour. Nat. Acad. Sci. T.O.K. Nat. Sci. Ser. v.18, p.125-159. 

  2. Choi, D.K. (1998) The Yongwol Group (Cambrian- Ordovician) redefined: a proposal for the stratigraphic nomenclature of the Choson Supergroup. Geosciences Journal, v.2, p.220-234. 

  3. Choi, S-J. (1980) A study on Biostratigraphy and Micropaleontology of the Hoedongri and Haengmae formation in Pyeonganri Area, Pyeongchang-Gun, Gangweon-Do. M.Sc. Theis, Yonsei Universy, 65p. 

  4. Geological Investigation Corps of Taebaeksan Region (GICT) and Geolgogical Society of Korea (GSK) (1962) Geological Atlas of Taebaegsan Region. 17 tabs. 

  5. GSSP Table - Paleozoic Era, Geolologic timescale Foundation. https://timescalefoundation.org/gssp/index.php?parentid77. 

  6. Hisakoshi, S. (1943) Geologic of Seizen district, Kogendo, Tyosen. Jour. Sco. Japan, v.50, p.269-277. 

  7. Hong, J.W., Chae, S., Jung, S-R., Ree, J-H. (2011) Reexamination of Silurian Hoedong-ri Formation in Taebaeksan Basin : Outcrop feature and microstructure. Abstract, The Annual Meeting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p.30. 

  8. Jang, Y. (2017) Structural style of the Phanerozoic polyphase orogenic belt in the western Taebaeksan Zone, Okcheon Belt, Korea: Insight from multidisciplinary analysis. Ph.D Thesis, Yonsei University, 220p. 

  9. Kobayashi, T., Yosimura, I., Iwaya, Y., Hukasawa, T. (1942) The Yokusen geosyncline in the Chosen period-brief notes on the geologic history of the Yokusen orogenic zone. Proceedings of the Imperial Academy Tokyo, v.18, p.579-584. 

  10. Kobayashi, T. (1966) Stratigraphy of the Chosen Group in Korea and South Manchria and its relation to the Cambro-Ordovician formations of other areas, Sect. A. The Chosen Group of South Korea. Jour. Fac. Sci. Univ. Tokyo. Sec. 2, v.16, p.73. 

  11. Lee, B.S. (2019) Upper Ordovician (Sandbian) conodonts from the Hoedongri Formation of western Jeongseon, Korea. Geosciences Journal, v.23, p.695-705. 

  12. Lee, B.S. (2020) Conodonts from the 'Lower Limestone" and Haengmae Formation in western Jeongseon, Korea and their implication for lithostratigraphic correlation. Geosciences Journal, v.24, p.113-120. 

  13. Lee, H.Y. (1976) Conodonts from the Maggol and the Jeongseon Formation (Ordovician), Kangweon-Do, South Korea. Jour. Geol. Soc. Korea, v.12, p.151-182. 

  14. Lee, H.Y. (1983) Conodont Biostratigraphy of the Hoedongri Formation (Silurian) in the Western Jeongseon Area, Kangweondo, South Korea. Jour. Nat. Sci. Res. Ins. v.12, 77-99. 

  15. Park, C., Kim, N., Song, Y. (2019) Mineralogical and micro-textural characteristics of Haengmae Formation. Abstract, 2019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 Technology of Korea,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p.236. 

  16. Park, C., Kim, N., Choi, S.-J., Song, Y. (2020) Mg-Phengite in carbonate rock syngenetically formed from hydrothermal fluid: Micro-textural evidence and mineral chemistry. Minerals, v.10, 668. 

  17. Ree. J-H. and Lee, S. (2012) Early Paleozoic carbonate rocks in the northwestern Jeongseon area: Any stratigraphic meaning of the Jeongseon, Haengmae and Hoedongri Formations?. Abstract, The Annual Meeting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p.89. 

  18. Ree, J-H. (2017) Deformation History and Tectonic evolution of the early Paleozoic Joseon Supergroup in Jeongseon area. Korea University Research Management System.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05116. 

  19. Son, C.M., and Cheong, J.K. (1976) On the geologic structure of Pyeongchang area. Jour. Nat. Acad. Sci. R.O.K., Nat. Sci. Ser. 16, p.221-245. 

  20. Woo, K.S, and Ju, S.O. (2016) Stratigraphic and sedimentological meaning the Haengmae Formation in Yongtan Group, Joseon Supergroup, Korea. Abstract, The Annual Meeting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p.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