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층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치매태도 및 치매예방행위 차이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Dementia Policy Perception, Dementia Knowledge, Dementia Attitude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3, 2020년, pp.125 - 133  

최희정 (위덕대학교 간호학과) ,  김지숙 (위덕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년층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치매태도 및 치매예방행위 차이분석을 위한 것이다. D시와 G시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4세까지 중년층 21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가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치매정책인식 정도는 75.42±8.52, 치매지식은 8.71±1.90, 치매태도는 28.55±5.10, 치매예방행위는 27.04±3.35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치매지식은 성별, 질환 수, 치매정보 원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치매태도는 성별, 나이, 학력, 가족 중 치매, 치매가족 동거, 직업상태, 조기검진, 치매정보 원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치매예방행위는 치매가족 동거, 조기검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매예방행위의 세부항목 순위는 '당신은 담배를 피우십니까?(역문항)'가 가장 높았고, '당신은 평상시 혈압이나 당뇨관리 등 질환관리를 하십니까?'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층의 치매정책인식을 높이고 올바른 치매지식, 긍정적 치매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치매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인지활동, 사회활동, 올바른 식생활 습관, 건강관리 등을 형성 및 유지할 수 있는 맞춤형 치매예방행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dementia policy perception, dementia knowledge, dementia attitude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of middle-aged. The subjects were 217 middle-aged in their 40 to 64 years old who lived in D and G cities. The mean sore of were demen...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노인인구의 증가, 의학 발달, 사회경제적 수준 향상 등 시대적 변화가 많았고[7], 중년층의 성별, 나이, 학력, 질환 수, 치매가족 동거 여부 등 다양한 일반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에 따른 개개인의 치매경험은 다를 것이다. 따라서 중년층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치매태도, 치매예방행위의 차이분석을 통하여 국가적 치매정책인식을 높이고 올바른 치매지식과 긍정적인 치매태도를 확립할 수 있는 사회적 제도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 맞춤형 치매예방행위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는 노인 연령을 만 65세로 규정하고 있어[15], 40세∼64세를 중년층으로 하여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고,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년층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인 식, 치매지식, 치매태도 및 치매예방행위 차이분석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중년층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치매태도, 치매예방행위 차이분석을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층의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치매 태도 및 치매예방행위 차이분석을 통하여 중년층의 국가적 치매정책인식을 높이고 올바른 치매지식 및 긍정적 태도, 치매예방행위 실천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층 시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중년층은 전반적인 신체적 기능쇠퇴로 노화를 실감하게 되고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은 시기로[1], 중년기 건강관리는 노년기의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최근 65세 미만 대상자 중 치매 환자가 증가 추세를 보여 치매의 주요 관심 대상이 노인으로 제한되지 않고 중년층까지 확대되었다[2].
중년층의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치매 태도 및 치매예방행위 차이분석한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연구결과 대상자의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치매 예방행위는 평균이상으로 치매인식·지식·예방행위가 다소 높았으나 치매태도는 평균이하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 인식 차이는 없었고, 치매지식은 성별, 질환 수, 치매정보 원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치매태도는 성별, 나이, 학력, 가족 중 치매, 치매가족 동거, 직업상태, 조기검진, 치매정보 원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 또한 치매예방행위는 치매가족 동거, 조기검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치매예방행위의 세부항목 순위는 담배를 피우십니까가 가장 높았고, 혈압이나 당뇨 관리를 하십니까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치매란 무엇인가? 최근 65세 미만 대상자 중 치매 환자가 증가 추세를 보여 치매의 주요 관심 대상이 노인으로 제한되지 않고 중년층까지 확대되었다[2]. 치매는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독립적 능력이 예측할 수 없는 수준으로 감소되는 인지 장애로서, 완치나 치유가 될 수 없다. 장기간에 걸친 악화로 인해 기본적인 일상생활까지 돌봄자에게 의존하게 되어 가정적, 사회적으로 의존도가 매우 높은 질환이다[3]. 이로 인해 가족 및 사회전반에 걸쳐 신체적, 심리적 및 경제적으로 복합적인 사회 문제를 야기 시켜 가족과 함께 국가적 책임도 필요로 하는 질환이다[3]. 이러한 치매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는 1차∼3차에 걸쳐 국가차원의 치매관리대책과 노인 장기요양보험 제도까지 수립하고 치매의 특성을 고려하여 인력, 서비스 내용 등을 전문화시켜 실행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eo YS, A Study on Middle Aged Men and Women's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Social Welfare Review, 15, 35-51, 2010.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vailable from: https://www.nhis.or.kr/bbs7/boards/B0163/15111 [cited 2015 September 23] 

  3. Kim JA, Ko JK, Moon SN, Dementia Knowledge and Related Factors in Middle-aged Adults.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18(2), 293-303, 2006. 

  4. Lee YJ, A Srudy on the Dementia Attitude and Depression of Residents in a Community.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Dementia, 13(1), 43-49, 2019. 

  5. Kim HJ, Jung DY, A Study of Cognitive Impairment,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Dementia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5(3), 731-749, 2015. 

  6. Yong MH, Kim EJ, Yang YA, A Study on the Knowledg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rsons for Dementia. Korean Aging Friendlly Industry Association, 2(2), 41-50, 2010. 

  7. Moon JH, Cho IJ,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Dementia among Middle-aged Peopl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Research, 18(1), 407-433, 2017. 

  8. Park MJ, Oh DN, Moon HK, A Study on Dementia Related Attitudes of the Middle Aged and Their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8(4), 653-663, 2018. http://dx.doi.org/10.5392/JKCA.2018.18.04.653 

  9. Sun Woo HM,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on dementia among community older adul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14. 

  10. Reema T, Adepu R, Sabin T, Impact of clinical pharmacist intervention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kap)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y & Pharmaceutical Science, 2(4), 54-57, 2010. 

  11.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Annual Report 2018. Available from: https://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183 [cited 2019 February 01] 

  12.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Dementia Dictionary. Available from: https://www.nid.or.kr/info/diction_list3.aspx?gubun0302 [cited 2017 January 01] 

  13. Lee JH, Lee EH,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Behaviors for the Promotion of Dementia Prevention.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0(3), 89-117, 2016. 

  14. Lee EJ, Jo MK, A Study on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and Depression of Residents in a Communit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3(2), 180-189, 2017. http://dx.doi.org/10.14370/jewnr.2017.23.2.180 

  15. Jung DU, Kim HJ, Baek SJ, Lee YH, Lee Ek, etc, Aging and Health. Seoul: Hyeonmunsa, p3. 2020. 

  16. Kwon BI,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toward the aged with dementia in Chung Cheong Buk - Do.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2008. 

  17. Oh MJ, The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dementia in Korean soc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002. 

  18. Han JS,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recognition and attitude about dement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2004. 

  19. Kang HK, Knowledge and attitude od dementia - For some professional soldier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10.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BOARD_ID140&BOARD_FLAG00&CONT_SEQ45452&page1 [cited 2008 September 19] 

  21. Cho HO, The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citizen about dement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999. 

  22. Lee YW, Woo SM, Kim OR, Lee SY, Im HB, Relationships between Dementia Knowledge, Attitude, Self-Efficacy, and Preventive Behavior among Low Income Middle-Aged Women.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21(6), 617-627, 2009. 

  23. Lee SE, Casado, BL, Attitudes toward community services use in Dementia care among Korean Americans. Clinical Gerontologist, 34(4), 271-286, 2011.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ementia management system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 AR_MENU_ID13&MENU_ID1310&CONT_SE Q350065 [cited 2019 July 08] 

  25. Park AY, A Study of Knowledge about Dementia, Empathy and Attitudes toward Dementia in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 389-397, 2018. http://dx.doi.org/10.14400/JDC.2018.16.1.389 

  26. Jo IJ, Lifestyle behaviors for the prevention of Alzheimer's disease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0(2), 455-468, 2019. http://dx.doi.org/10.22143/HSS21.10.2.33 

  27. Lee YH,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for Dementia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Middle and Old-aged peo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11. 

  28. Kang CM, Kim JS, Jeong JH,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Caregiving by Caregivers for Elders with Dementia. Journal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7(3), 193-201, 2016. http://dx.doi.org/10.12799/jkachn.2016.27.3.19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