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aba bean 가루 및 녹말의 열역학적 특성과 물리화학적 특성
Thermal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aba bean (Vicia faba L.) flour and starch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4, 2020년, pp.409 - 414  

김희윤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식품생명공학과) ,  최요한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식품생명공학과) ,  조은정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식품생명공학과) ,  백무열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식품생명공학과) ,  최현욱 (전주대학교 바이오기능성식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중에 분쇄된 상태로 판매되는 CFBF와 faba bean 원물을 직접 분쇄하여 제조한 FBF, 그리고 분쇄한 faba bean 가루에서 알칼리 추출법으로 추출한 FBS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FBS의 녹말 입자는 타원형에 표면에 갈라짐이 있으며 CFBF와 FBF는 일정하지 않은 크기의 입자를 보였다. FBS는 상대적으로 낮은 용해도와 겉보기 점도를 보여주었다. CFBF와 FBF는 호화 특성을 나타내지 못한 반면 FBS는 비교적 낮은 trough와 높은 setback값의 호화 특성을 보여주어 차이를 나타냈다. FBS의 호화 엔탈피는 12.9 J/g으로 CFBF와 FBF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상대결정화도에서도 역시 FSB가 CFBF와 FBF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CFBF와 FBF는 여러 실험들의 결과에서 서로 크게 차이 나지 않고 비슷한 경향의 특성을 확인하였으나 FBS는 CFBF, FBF와는 크게 다른 물리화학적 특징들을 보였다. 이는 서로 다른 단백질 함량 때문이라 판단된다. FBS는 녹말 추출을 위하여 NaOH 용액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제거하여 단백질 함량이 CFBF, FBF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낮고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 중 녹말의 변화가 있으며 CFBF와 FBF의 단백질은 녹말과 수분의 반응에 관여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끼쳤다고 판단되었다. 한국에서는 faba bean 가루와 녹말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지 않은데 이 연구의 결과는 식품산업에 faba bean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physiochemical property analysis using commercial faba bean flour (CFBF), faba bean flour (FBF), and faba bean starch (FBS). We observed that the FBS granules were elliptical and cracked on the surface. Moreover, FB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olubility and apparent v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이 옥수수나 쌀, 밀, 타로(taro), 강두(cowpea) 등 다양한 식물 소재의 가루와 녹말의 이화학 성질에 대해 진행되었으나 faba bean 가루와 faba bean 녹말의 이화학적 특성 차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Aboubakar 등 2008; Adebooye와 Singh 2008; Blazek과 Copeland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식품 소재로서 faba bean 가루와 녹말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열역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식품산업에서 faba bean 가루와 녹말의 이용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이란? 콩은 Fabaceae 또는 Leguminosae과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으로 콩과 식물은 18,000종 이상이 있으며, 그 중 사람이 이용하는 것은 극히 일부이다. Faba bean (Broad bean, Vicia faba L.
faba bean이 전 세계 콩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은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인 두류 작물로 전세계적으로 자생하지만 주로 중국과 이집트, 에티오피아와 중앙아시아 등지에서 재배되며 사료로 사용되거나 볶음이나 튀김, 고물로 만들어 먹는다. 또한 faba bean은 중앙아시아 등지에서 중요한 단백질 생산 원료로 사용되며 전세계 콩 생산량의 7.6%를 차지한다(FAO, 2001). 잠두중독증(Favism)은 사람에게 급성 용혈성 빈혈을 일으키는 유전에 따른 질병이며 주로 지중해 연안 지역과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등에서 보고되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 지역에서는 많이 나타나지 않는다.
발아한 Faba bean은 비만 유도 쥐에게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가? 또한 faba bean에 함유된 LDOPA는 파킨슨병에 효능을 가진 물질로, Rabey 등(1993)에 따르면 faba bean의 섭취가 혈중 L-DOPA 농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며, 이는 경증 파킨슨병 환자들에게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AlMasri (2015)에 따르면 발아한 faba bean은 비만 유도 쥐에게 항비만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boubakar YN, Njintang JS, Mbofung CMF. Physicochemical, therm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six varieties of taro (Colocasia esculenta L. Schott) flours and starches. J. Food Eng. 86: 294-305 (2008) 

  2. Adebooye OC, Singh V.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flours and starches of two cowpea varieties (Vigna unguiculata (L.) Walp). Innov. Food Sci. Emerg. 9: 92-100 (2008). 

  3. Al-Masri SA. Effect of cooked and germinated bean (Vicia Faba) on obesity in rats. J. Anim. Plant Sci. 25: 977-983 (2015) 

  4. Ambigaipalan P, Hoover R, Donner E, Liu Q, Jaiswal S, Chibbar R, Nantanga KKM, Seetharaman K. Structure of faba bean, black bean and pinto bean starches at different levels of granule organization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od Res. Int. 44: 2962-2974 (2011) 

  5. Blazek J, Copeland L. Pasting and swell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and starch in relation to amylose content. Carbohyd. Polym. 71: 380-387 (2008) 

  6. Chung HJ, Liu Q, Hoover R. Impact of annealing and heat-moisture treatment on rapidly digestible, slowly digestible and resistant starch levels in native and gelatinized corn, pea and lentil starches. Carbohyd. Polym. 75: 436-447 (2009) 

  7. FAO Statistical.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of the United Nations. (2001). http://www.fao.org 

  8. Gujska E, Reinhard WD, Khan K.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ield pea, pinto and navy bean starches. J. Food Sci. 59: 634-636 (1994) 

  9. Han XZ, Hamaker BR. Location of starch granule-associated proteins revealed by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J. Cereal Sci. 35: 109-116 (2002) 

  10. Hoover R, Manuel H. The effect of heat-moisture treatment on the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rmal maize, waxy maize, dull waxy maize and amylomaize V starches. J. Cereal Sci. 23: 153-162 (1996a) 

  11. Hoover R, Manuel H. Effect of heat-moisture treatment on the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egume starches. Int. Food Res. J. 29: 731-750 (1996b) 

  12. Israkarn K, Nakornpanom N, Hongsprabhasa P.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and proteins in alkali-treated mungbean and cassava starch granules. Carbohyd. Polym. 105: 34-40 (2014) 

  13. Iturriaga L, Lopez B, Aon M. Therm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even argentine rice flours and starches. Food Res. Int. 37: 439-447 (2004) 

  14. Jayakody L, Hoover R. The effect of lintnerization on cereal starch granules. Int. Food Res. J. 35: 665-680 (2002) 

  15. Li JY, Yeh AI. Functions of starch in formation of starch/meat composite during heating. J. Texture Stud. 33: 341-366 (2002) 

  16. Lin JY, Ling KH. Studies on favism. I. Isolation of an active principle from faba beans (Vicia faba). J. Formos. Med. Assoc. 61: 484-9 (1962) 

  17. Lim ST, Lee JH, Shin DH, Lim HS. Comparison of protein extraction solutions for rice starch isolation and effects of residual protein content on starch pasting properties. Starch-Starke. 51: 120-125 (1999) 

  18. Martin M, Fitzgerald MA. Proteins in rice grains influence cooking properties. J. Cereal Sci. 36: 285-294 (2002) 

  19. Morrison W. R., Laignelet, B. An improved colorimetric procedure for determining apparent and total amylose in cereal and other starches. J. Cereal Sci. 1: 9-20 (1983) 

  20. Nara S, Komiya T.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satured state and crystallinity by the diffraction method for moistened potato starch. Starch-Starke 35: 407-410 (1983) 

  21. Rabey JM, Vered Y, Shabtai H, Graff E, Harsat A, Korczyn AD. Broad bean (Vicia faba) consumption and Parkinson's disease. Adv. Neurobiol. 60: 681-684 (1993) 

  22. Tan Y, Corke H. Factor analysi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63 rice varieties. J. Sci. Food Agr. 82: 745-752 (2002) 

  23. Yanez-Farias GA, Moreno-Valencia JG, Falcon-Villa MR, Barron-Hoyos JM.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starches from dry beans (Phaseolus vulgaris) and chickpeas (Cicer arietinum), grown in Sonora, Mexico. Starch-Starke 49: 341-345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