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옹호간호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nurses' advocacy for people with disability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6 no.3, 2020년, pp.269 - 280  

전지영 (경북대학교병원) ,  최현경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Clinical nurses are the ideal health care providers to advocate for vulnerable and underserved populations such as people with disability.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factors influencing nursing advocacy for people with disability among clinical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국외의 연구와 비교하면 국내의 간호학 분야에서 옹호와 관련된 연구는 부진하며, 옹호간호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더욱 부족한 실정이다(Cho, 2013).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상자 옹호 이론을 기틀로 하고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에 대한 간호사의 옹호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개인적·관계적·조직적 요인에 따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장애인에 대한 옹호간호의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옹호간호 수행을 돕고, 옹호간호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B시와 D시에 위치한 세 개의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옹호간호의 영향 요인을 조사하고, 간호사의 옹호간호 수행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임상간호사의 옹호간호는 5점 만점에 평균 3.
  • 본 연구는 Cho (2006)의 간호대상자 옹호 이론을 토대로 하여 장애인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옹호간호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문헌고찰을 통해 해당 요인들을 개인적·관계적·조직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개인적 요인 중 인권감수성이 높을수록, 관계적 요인 중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심미적 간호역량이 높을수록, 마지막으로 조직적 요인인 간호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임상간호사의 옹호간호 수준이 높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 본 연구는 장애인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옹호간호 영향요인을 개인적·관계적·조직적 요인에 따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장애인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옹호간호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간호사의 옹호간호 수행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태도 중 낙관주의-인권, 심미적 간호역량 중 환자지향성이 임상간호사의 장애인에 대한 옹호간호의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상자 옹호 이론을 기틀로 하고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에 대한 간호사의 옹호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개인적·관계적·조직적 요인에 따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장애인에 대한 옹호간호의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옹호간호 수행을 돕고, 옹호간호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Cho (2006)의 간호대상자 옹호 이론을 토대로 하여 장애인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옹호간호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문헌고찰을 통해 해당 요인들을 개인적·관계적·조직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개인적 요인 중 인권감수성이 높을수록, 관계적 요인 중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심미적 간호역량이 높을수록, 마지막으로 조직적 요인인 간호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임상간호사의 옹호간호 수준이 높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즉, 이러한 개인적·관계적·조직적 요인들이 임상간호사가 옹호간호를 수행할 때의 행동, 근무환경에서 옹호간호를 수행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결과, 옹호간호에 대한 외부의 지원과 관련된 임상간호사의 인식도를 높이며, 옹호간호를 수행할 때 개인의 지식과 내적 경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 개인적 요인 중 인권감수성이 높을수록, 관계적 요인 중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심미적 간호역량이 높을수록, 마지막으로 조직적 요인인 간호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임상간호사의 옹호간호 수준이 높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즉, 이러한 개인적·관계적·조직적 요인들이 임상간호사가 옹호간호를 수행할 때의 행동, 근무환경에서 옹호간호를 수행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결과, 옹호간호에 대한 외부의 지원과 관련된 임상간호사의 인식도를 높이며, 옹호간호를 수행할 때 개인의 지식과 내적 경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Figure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환경에서 대상자 옹호는 무엇인가? 그 결과 환자의 알권리나 환자권리 주장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환자권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간호사의 옹호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Cho, 2013). 의료환경에서 대상자 옹호는 대상자의 권리 및 관심과 가치를 보호, 대변, 보존하는 과정으로 ‘대상자의 자율성 보호’, ‘대상자를 대신하여 행동’, ‘의료제공에서 사회정의 옹호’의 3가지 핵심 속성을 포함한다(Bu & Jezewski, 2007). 이러한 옹호간호는 장애인, 노인, 여성과 어린이, 정신질환자 등을 포함하는 취약한 대상자에게 가장 우선적으로 행해져야 한다(Cho, 2006).
옹호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적, 관계적, 조직적 요인이 있는데, 각각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또한 옹호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적, 관계적, 조직적 요인이 있다(Cho, 2006). 먼저 개인적 요인을 살펴보면, Chung, Lim과 Ko (2017)는 정신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이 옹호태도 및 옹호개입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개인적 요인인 간호사의 인권감수성이 옹호간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된다. 다음으로 관계적 요인을 살펴보면, 옹호를 간호의 철학적 관점에서 보는 학자들은 간호사와 대상자의 관계수립이 옹호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Cho, 2006). 태도란 개인이 관계를 갖는 대상에 대한 반응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으로(Allport, 1935), 임상간호사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임상간호사가 관계를 갖는 장애인에 대한 반응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장애인들의 효율적인 치료와 재활을 위해서는 의료인들의 태도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Kim et al., 2010). 그러므로 장애인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는 옹호간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되는 관계적 요인이다. 또한 Eklund, Wilde-Larsson, Petzäll과 Sandin-Bojö (2014)의 연구에서 간호사의 간호역량이 옹호태도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간호역량은 과학적·윤리적·인격적·심미적 간호역량군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심미적 간호역량은 대상자와 의미있는 상호관계를 통하여 공감을 불러일으켜 간호 행위로 표현되는 간호역량을 의미한다(Jang, 2000). 그러므로 심미적 간호역량 역시 옹호간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되는 관계적 요인이다. 마지막으로 조직적 요인을 살펴보면, 간호사가 대상자의 인권을 존중하기 위한 간호활동인 대상자 옹호를 수행하는 전체적인 과정에 간호사가 속한 조직의 특성이 영향요인으로 확인된다(Cho, 2006). 간호근무환경은 간호사가 간호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의 조직적인 특성으로 정의되는데(Lake, 2002), Eklund 등(2014)의 연구에서도 조직적 요인인 간호사의 근무지 분위기가 옹호태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근무환경은 옹호간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되는 조직적 요인이다.
장애인들이 의료환경에서 가장 취약한 대상자들 중 하나로 언급되는 이유는? 이러한 옹호간호는 장애인, 노인, 여성과 어린이, 정신질환자 등을 포함하는 취약한 대상자에게 가장 우선적으로 행해져야 한다(Cho, 2006). 장애인들은 의료환경에서 가장 취약한 대상자들 중 하나로 언급되는데, 이는 대부분의 장애인들이 건강상태가 좋지 않아 광범위한 건강관리가 필요하지만(WHO, 2018) 의료환경에서는 소외되어 부적절하거나 불충분한 치료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애인들은 이차 질환과 합병증으로 인한 조기 사망에 더 큰 취약성을 경험하게 된다(WHO,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baszadeh, A., Borhani, F., & Motamed-Jahromi, M. (2013). Nurses’ attitudes towards nursing advocacy in the southeast part of Iran. Journal of Applied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Sciences, 3(9), 88-93. 

  2.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Law No. 16733, Article 25 (2019). Retrieved from http://www.law.go.kr/%EB%B2%95%EB%A0%B9/%EC%9E%A5%EC%95%A0%EC%9D%B8%EB%B3%B5%EC%A7%80%EB%B2%95 

  3. Allport, G. W. (1935). Attitudes. In C. Murchinson (Ed.), A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pp. 798-844). Worcester, MA: Clark University Press. 

  4. Antonak, R. F. (1982).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analysis of the scale of attitudes toward disabled persons. Journal of Applied Rehabilitation Counseling, 13(2), 22-29. https://doi.org/10.1891/0047-2220.13.2.22 

  5. Bu, X., & Jezewski, M. A. (2007). Developing a mid-range theory of patient advocacy through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7(1), 101-110.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6.04096.x 

  6. Cho, E. H., Choi, M. N., Kim, E. Y., Yoo, I. Y., & Lee, N. J. (2011).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3), 325-332. https://doi.org/10.4040/jkan.2011.41.3.325 

  7. Cho, K. C. (1996). Concept development of client advocacy using the hybrid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8. Cho, K. C. (2006). Nursing client advocacy as a prescriptive theory. Journal of Nursing Query, 15(1), 72-87. 

  9. Cho, K. C. (2013). Review on the theory of nursing client advocacy and its applications in child healthcare.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3), 149-158. https://doi.org/10.4094/chnr.2013.19.3.149 

  10. Chung, M. S., Lim, K. C., & Ko, J. I. (2017). Human rights sensitivity, advocacy attitudes, and advocacy interventions for mentally disabled people in psychiatric nurses and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3(3), 309-318. https://doi.org/10.5977/jkasne.2017.23.3.309 

  11. Eklund, A. J., Wilde-Larsson, B., Petzall, K., & Sandin-Bojo, A. (2014). Individual and organisational factors influencing registered nurses' attitudes towards patient advocacy in Swedish community health care of elder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8(3), 486-495. https://doi.org/10.1111/scs.12073 

  12. Ekvall, G. (1996). Organizational climate for creativity and innovation.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5(1), 105-123. https://doi.org/10.1080/13594329608414845 

  13. Hanks, R. G. (2010).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instrument to measure protective nursing advocacy. Nursing Ethics, 17(2), 255-267. https://doi.org/10.1177/0969733009352070 

  14. Jang, K. S. (2000).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5. Jones, M., & Smith, P. (2014). Population-focused nursing: Advocacy for vulnerable populations in an RN-BSN program. Public Health Nursing, 31(5), 463-471. https://doi.org/10.1111/phn.12114 

  16. Jun, H. S. (2019). Concept analysis of patient righ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1(1), 89-99. https://doi.org/10.7475/kjan.2019.31.1.89 

  17. Kim, J. I., & Lee, T. W. (2016). The influence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2(2), 109-117. 

  18. Kim, K. S., Park, Y. H., Lee, B. S., & Kim, J. Y. (2010). Comparison of the attitudes toward and contact with disabled person among health care professionals, lay persons, and disabled person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3(1), 13. 

  19. Kim, Y. H., Kim, H. L., Kim, Y. R., Lim, J. H., & Hyun, M. S. (2012). The effects of a rights advocacy program for mentally ill person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9(1), 16-23. 

  20. Krahn, G. L., Walker, D. K., & Correa-De-Araujo, R. (2015).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an unrecognized health disparity popula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5(S2), S198-S206. https://doi.org/10.2105/ajph.2014.302182 

  21. Lake, E. T. (2002).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5(3), 176-188. https://doi.org/10.1002/nur.10032 

  22. Lee, K. H., & Chong, S. W. (2013). A study on the status and necess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nursing college. 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 8(1), 111-140. https://doi.org/10.29175/klrea.8.1.201304.111 

  23. Lee, M. J. (2002). A study of factors related to clinical competency in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Disability status statistical information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5.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2002). Developing indicators of psychological scale for human rights sensitivity. Seoul: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26. Negarandeh, R., Oskouie, F., Ahmadi, F., Nikravesh, M., & Hallberg, I. R. (2006). Patient advocacy: Barriers and facilitators. BMC Nursing, 5(1), 3. https://doi.org/10.1186/1472-6955-5-3 

  27. Park, K. O., & Kim, J. K. (2013). A study on experience of transition from new clinical nurse to competent step.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594-605.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594 

  28. Shin, E. K., & Lee, H. N. (2011). Validation of the scale of attitudes towards disabled person (SADP and ATDP-O)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3(1), 267-289. https://doi.org/10.20970/kasw.2011.63.1.011 

  29. Water, T., Ford, K., Spence, D., & Rasmussen, S. (2016). Patient advocacy by nurses-past, present and future. Contemporary Nurse, 52(6), 696-709. https://doi.org/10.1080/10376178.2016.1235981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Fact sheets/Disability and health. Retrieved from http://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disability-and-health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