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간호대학생의 그릿 측정도구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Grit Scale for Korean nursing students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6 no.3, 2020년, pp.322 - 331  

송효숙 (대전보건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임소희 (경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rit (Grit-K) scale for nursing students in Korea.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77 nursing students. Their grit was verified by using self-reports and the results of a qu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릿의 간편 도구는 특히 성인집단과 대학생에게서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척도로 발표되었고, Duckworth와 Quinn (2009)의 그릿 간편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국내의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할 때 타당도와 신뢰도가 적합한지에 대하여 점검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Duckworth와 Quinn (2009)의 그릿 간편 측정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어판 그릿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의 그릿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릿이란 어떤 성격적 특성을 일컫는가? 그릿은 장기적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인내와 열정으로서, 역경이나 실패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목표를 이루기 위해 계속 하여 열심히 노력하는 성격 특성이다(Duckworth, Peterson, Matthews, & Kelly, 2007). Duckworth 등에 의해서 2007년 처음 소개된 그릿은 개인의 강점을 통한 성장과 발달에 근거를 하는 긍정심리학에서 기초를 두고 있으며, 최근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의 제반 영역뿐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관심을 가지게 되는 개념이 되었다(Lim, 2017).
간호대학생의 그릿은 어떤 변인으로 작용 가능한가? 즉, 그릿은 자신의 타고난 능력이 아닌 본인의 노력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성인기를 진입하고 있는 대학생에게의 그릿은 성인기의 성공적인 적응을 예측하는 비인지적 요인이다(Slick & Lee, 2014). 특히 간호대학생의 그릿은 학업적응과 장기적인 성취를 위한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Jeong & Jung, 2018; Lee & Park, 2018). 간호대학생은 미래의 간호사로 이미 진로가 결정되어있고 간호핵심역량을 도달하기 위하여 엄격한 교육과정, 많은 양의 학업과 임상실습으로 인하여 계속되는 노력과 열정이 필요하다.
간호학과에서 휴학 및 자퇴하는 학생들의 수가 증가하는 이유로 무엇이 보고되는가? 특히 간호대학생의 그릿은 학업적응과 장기적인 성취를 위한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Jeong & Jung, 2018; Lee & Park, 2018). 간호대학생은 미래의 간호사로 이미 진로가 결정되어있고 간호핵심역량을 도달하기 위하여 엄격한 교육과정, 많은 양의 학업과 임상실습으로 인하여 계속되는 노력과 열정이 필요하다. 간호학은 인간의 생명과 관련된 학문으로 간호학생들은 전공 교과목을 배우는데 이론과 실습을 함께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으로 학업에 대한 긴장감이 발생하고, 특히 국가고시 합격이라는 목표를 행한 일련의 과정 등이 많은 간호대학생들에게 어려운 과정이라 보고되고 있다(Chung, 2009; Park, Bae, & Jung, 2002). 이러한 문제로 많은 학생들이 간호학과를 본인이 직접 선택하여 입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휴학 및 자퇴하는 학생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a, J. E. (1997). A study for development of general self-efficacy. Psychological Research, 34, 19-31. 

  2. Chapman, D. W., & Carter, J. F. (1979). Translation procedures for the cross cultural use of measurement instruments.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3), 71-76. https://doi.org/10.3102/01623737001003071 

  3. Chung, M. S. (2009). The relations of self-esteem, practical performance, and practic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8(1), 60-68. 

  4. Crede, M., Tynan, M. C., & Harms, P. D. (2017). Much ado about grit: A meta-analytic synthesis of the grit litera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3(3), 492-511. https://doi.org/10.1037/pspp0000102 

  5. Datu, J. A. D., Valdez, J. P. M., & King, R. B. (2016). Perseverance counts but consistency does not! Validating the short grit scale in a collectivist setting. Current Psychology, 35(1), 121-130. https://doi.org/10.1007/s12144-015-9374-2 

  6. Datu, J. A. D., Yuen, M., & Chen, G. (2017). Grit and determination: A review of literature with implications for theory and research. Journal of Psychologists and Counsellors in Schools, 27(2), 168-176. 

  7. Duckworth, A. L., Kirby, T. A., Tsukayama, E., Berstein, H., & Ericsson, K. A. (2011). Deliberate practice spells success why grittier competitors triumph at the national spelling bee.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2(2), 174-181. https://doi.org/10.1177/1948550610385872 

  8.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https://doi.org/10.1037/0022-3514.92.6.1087 

  9. Duckworth, A. L., & Quinn, P. D.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https://doi.org/10.1080/00223890802634290 

  10. Eskreis-Winkler, L., Duckworth, A. L., Shulman, E. P., & Beal, S. (2014). The grit effect: Predicting retention in the military, the workplace, school and marriage. Frontiers in Psychology, 5(36), 1-12. https://doi.org/10.3389/fpsyg.2014.00036 

  11. Gere, J., & MacDonald, G. (2013). Assessing relationship quality across cultures: An examination of measurement equivalence. Personal Relationships, 20(3), 422-442. https://doi.org/10.1111/pere.12001 

  12. Han, S. S., & Lee, S. C. (2018). Using the SPSS/Amos nursing and health statistics analysis. Seoul: Hannarae publishing. 

  13. Horan, P. M., DiStefano, C., & Motl, R. W. (2003). Wording effects in self-esteem scales : Methodological artifact or response sty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0(3), 435-455. https://doi.org/10.1207/S15328007SEM1003_6 

  14. Jang, M. J., & Lee, E. N. (2015).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RQ-K (Korean version of the assault response questionnaire) for emergency department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4), 544-553. http://doi.org/10.4040/jkan.2015.45.4.544 

  15. Jeong, E., & Jung, M. R. (2018).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student on gri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9), 309-317. https://doi.org/10.14400/JDC.2018.16.9.309 

  16. Kim, J. E., Lee, S. R., & Yang, S. J. (2018).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grit: Examining multidimensional clustering of grit.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24(20), 131-151. https://doi.org/10.20406/kjcs.2018.5.24.2.131 

  17. Lee, J. Y. (2017). The role of self-regulatory efficacy and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 difficult anagram task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Lee, S. J., & Park, J. Y. (2018). The effects of grit and stress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2), 269-276. https://doi.org/10.14400/JDC.2018.16.2.269 

  19. Lim, H. H. (2018).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cademic grit scale for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0. Lim, H. J.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grit's factor structure and its validity. Asian Journal of Education, 18(2), 169-192. https://doi.org/10.15753/aje.2017.06.18.2.169 

  21. Maddi, S. R., Matthews, M. D., Kelly, D. R., Villarreal, B., & White, M. (2012). The role of hardiness and grit in predict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of USMA cadets. Military Psychology, 24(1), 19-28. https://doi.org/10.1080/08995605.2012.639672 

  22. Muenks, K. M., Wigfield, A., Yang, J., & O'Neal, C. (2016, April). The factor structure of grit in two age groups and its relations with self-regulation and engagemen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Washington, DC. 

  23.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4, March 24). Education and social progress project research. Retrieved from https://www.oecd.org/education/ceri/educati onandsocialprogressprojectresearch.htm 

  24. Park, H. S., Bae, Y. J., & Jung, S. Y. (2002). A study on self-esteem, self-efficacy, coping methods, and the academic and job-seeking str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4), 621-631. 

  25. Schunk, D. H., & Ertmer, P. A. (2000). Self-regulation and academic learning: Self-efficacy enhancing interventions. New York: Academic Press. 

  26. Shechtman, N., DeBarger, A. H., Dornsife, C., Rosier, S., & Yarnall, L. (2013). Promoting grit, tenacity, and perseverance: Critical factors for success in the 21st century.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Education. 

  27. Slick, S. N., & Lee, C. S. (2014). The relative levels of gri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otential dropping-out and university adjustment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8), 61-66. https://doi.org/10.14400/JDC.2014.12.8.61 

  28. Wolters, C. A., & Hussain, M. (2015). Investigating grit and its relations with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Metacognition and Learning, 10(3), 293-311. https://doi.org/10.1007/s11409-014-9128-9 

  29. Yoshitsu, J., & Nishikawa, K. (2013). Development of the Japanese grit scale. Japanese Journal of Research on Emotion, 20, 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