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흡연자의 금연 중재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mong Female Smokers: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4 no.2, 2020년, pp.263 - 276  

김다혜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최유현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함옥경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임보애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김나경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aper systematically reviewed the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SC) intervention among female smokers. Methods: A systematic search was performed targeting articles published on eight electronic databases, from January 1, 2010, to February 25, 2020. Nine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sy...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주차에는 유산소 운동 후 20∼25분의 전신 저항 운동을 추가하여 10가지의 다른 운동기구 기반 저항 운동 각각을 8∼10번 반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여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금연 중재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여성 흡연자를 위한 금연 중재 개발이 더욱더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성 흡연자는 전체 흡연자 중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금연 중재 시 크게 관심받지 못하는 소수자들을 대상으로 한 문헌들을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국내외 여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금연 중재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종합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외 여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금연 중재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된 문헌은 국외의 문헌이었으며 RCT였다.
  • 본 연구는 여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금연중재를 시행한 국내외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여성 흡연자의 금연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중재방법을 규명함으로써 추후 여성 흡연자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여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금연 중재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중재 방법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총 9개의 문헌이 선택되었고 이들의 정성적 합성을 통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여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금연 중재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여성 흡연자를 위한 금연 중재 개발이 더욱더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성 흡연자는 전체 흡연자 중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금연 중재 시 크게 관심받지 못하는 소수자들을 대상으로 한 문헌들을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의 여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금연중재를 시행한 국내외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여성 흡연자의 금연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를 제언하고 금연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 흡연에 대한 실상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여성의 흡연율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흡연으로 인한 건강문제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 여성 흡연자를 바라보는 시각이 비판적이어서(Kim, 2001) 자신이 흡연자임을 드러내려고 하지 않아 여성 흡연에 대한 실상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Evans & Furst, 2016). 국내 보건소에서 전국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금연상담의 경우 6개월 금연성공률은 31∼35% 정도이다.
여성 흡연문제가 남성에 비해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흡연은 여성에게 있어 골밀도 감소, 불임, 임신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임산부에게는 저체중아 출산, 출생아에게는 기형이나 발달장애와 같은 매우 심각한 건강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Manaf & Shamsuddin, 2008; Jang & Han, 2016). 하지만 여성 흡연율이 남성보다 더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흡연문제는 남성에 비해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Perkins & Scott, 2008).
여성 흡연자에게 흡연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흡연은 여성에게 있어 골밀도 감소, 불임, 임신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임산부에게는 저체중아 출산, 출생아에게는 기형이나 발달장애와 같은 매우 심각한 건강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Manaf & Shamsuddin, 2008; Jang & Han, 2016). 하지만 여성 흡연율이 남성보다 더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흡연문제는 남성에 비해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Perkins & Scott,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ush, T., Lovejoy, J. C., Deprey, M., & Carpenter, K. M. (2016). The effect of tobacco cessation on weight gain, obesity, and diabetes risk. Obesity, 24(9), 1834-1841. http://dx.doi.org/10.1002/oby.21582 

  2. Evans, D. N., & Furst, R. T. (2016). Stigma and outdoor smoking breaks: Self-perceptions of outdoor smokers in Manhattan. Social Theory & Health, 14(3), 275-292. http://dx.doi.org/10.1057/sth.2015.33 

  3. Ham, O. K., Kim, B. J., & Lee, Y. A. (2008).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ccording to socioeconomic factors among low-income midlife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2(1), 27-38. 

  4. Jang, H. Y., & Han, S. Y. (2016). Factors affecting smoking cessation intention of female workers: Using community health survey, 2014.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4), 352-361. http://dx.doi.org/10.5807/kjohn.2016.25.4.352 

  5. Jeong, J. H., Jeon, E. J., Lee, J. H., Han, J. Y., Kim, Y. S., & Won, Y. S., et al. (2010).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moking experience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3), 1-12. 

  6. Jung-Choi, K. H., Khang, Y. H., & Cho, H. J. (2012). Hidden female smokers in Asia: A comparison of self-reported with cotinine-verified smoking prevalence rates in representative national data from an Asian population. Tobacco Control, 21(6), 536-542. http://dx.doi.org/10.1136/tobaccocontrol-2011-050012 

  7. Kim, J. D., Seo, J. H., Shin, Y. J., & Kim, C. Y. (2013).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behavior of low-income peopl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1), 577-602. http://dx.doi.org/10.15709/hswr.2013.33.1.577 

  8. Kim, J. S., Kang, S. J., Kim, D. J., Choi, I. Y., & Choi, B. S. (2018). Success factors of new enrollees at smoking cessation clinics in the nationwide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based on gender difference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4(1), 17-30. 

  9. Kim, K. S. (2001). A study into pattern of smoking behaviors of female student smok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5(1), 1-12. 

  1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Korea health statistics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3). Retrieved May 20, 2020,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 

  11. Korean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5). Consultation manual for smoking cessation clinic in health center 2015. Retrieved July 24, 2020, from https://www.khealth.or.kr/kps/publish/view?menuIdMENU00888&page_noB2017003&board_idx8511 

  12. Lee, J. S., Kang, S. M., Kim, H. J., Lee, K. Y., Cho, B. L., & Goh, E. R. (2009). Long-term maintenance of smoking cessation and related factors of relaps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0(3), 203-209. http://dx.doi.org/10.4082/kjfm.2009.30.3.203 

  13. Lemmens, V., Oenema, A., Knut, I. K., & Brug, J.(2008). Effectiveness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s among adults: A systematic review of reviews. European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17(6), 535-544. http://dx.doi.org/10.1097/CEJ.0b013e3282f75e48 

  14. Manaf, R. A., & Shamsuddin, K. (2008). Smoking among young urban Malaysian women and its risk factors. Asia-Pacific Journal of Public Health, 20(3), 204-213. http://dx.doi.org/10.1177/1010539508316973 

  15.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 Altman, D. G., & Prisma Group.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PLoS med, 6(7), e1000097. 

  16. Moon, S. (2016). Types of smoking statuse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Korean wagework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3), 495-511. http://dx.doi.org/10.5932/JKPHN.2016.30.3.495 

  17. Park, K. O., & Lee, K. W. (2005). Descriptive literature review on the evaluation of the youth smoking prevention program effectivenes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6(1), 35-48. 

  18. Perkins, K. A., & Scott, J. (2008). Sex differences in long-term smoking cessation rates due to nicotine patch. Nicotine & Tobacco Research, 10(7), 1245-1250. http://dx.doi.org/10.1080/14622200802097506 

  19. Seo, M. K. (2011). Women's smoking behavior:Factors and policy op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72, 59-67. 

  20. Statistics Korea. (2019). Korean social trends 2019. Retrieved May 22, 2020, from http://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37 

  21. Torchalla, I., Okoli, C. T., Bottorff, J. L., Qu, A., Poole, N., & Greaves, L. (2012). Smoking cessation programs targeted to women: A systematic review. Women & Health, 52(1), 32-54. http://dx.doi.org/10.1080/03630242.2011.637611 

  22. Varol, Y. (2016). The effectivenes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in a workplace with high risk. Tuberkuloz ve Toraks, 64(2), 144-151. http://dx.doi.org/10.5578/tt.22112 

  23.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Empower women: Facing the challenge of tobacco use in Europe. Retrieved July 24, 2020, from http://www.euro.who.int/__data/assets/pdf_file/0019/271162/EmpowerWomenFacingChallengeTobaccoUse1.pdf?ua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