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공원의 물리적 환경요소 평가 - 서울시를 대상으로 -
The Evaluation of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in Urban Parks for Healthy City - Focus on Seoul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8 no.4, 2020년, pp.29 - 40  

채진해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김원주 (서울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공원 평가하기 위해 물리적 환경 요소를 해외사례와 선행연구를 통해 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정량적·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지는 서울시에 조성된 근린공원을 지역적 분배를 고려하여 서대문독립공원, 홍릉근린공원, 고척근린공원, 신림근린공원, 청담근린공원, 개포근린공원, 숭인근린공원 7개이다. 평가 지표는 정량적 지표 (공원의 배후지역 환경, 공원 특성, 공원 시설물 3가지 분류에 따른 12가지 요소), 정성적 지표(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활동성, 어메니티 5가지 분류에 따른 14가지 요소)를 선정하였다. 지표 선정방법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선정하였으며, 물리적 환경 인식 요소의 평가방법은 전문가와 조사원이 현장관찰을 통해 3점 척도(상·중·하)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건강증진을 위한 지표는 운동시설이나 산책로 뿐 아니라, 휴식공간, 여가 및 문화시설, 접근성, 청결, 식수대 등 건강 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주요한 지표임을 알았다. 둘째, 정량적인 지표로는 요건을 갖추고 있다 할지라도 정성적인 평가에서는 실제 구현시키거나,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많아 공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물리적 환경요소에 대한 정성적 평가 결과 유형별, 공원별 점수차가 나타났는데,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시설, 체력단련시설 등 활동성보다는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과 같은 간접적 지표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COVID-19 등으로 공원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공원의 서비스 증진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기적으로 정량적·정성적 지표를 평가하여 공원의 서비스를 증진시키고, 직접적 요인 뿐 아니라 간접적·보안적인 지표들에 대한 서비스 고려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s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health promotion in urban parks by indicators that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overseas cases and previous studies. To evenly distribute the areas to be evaluated by region, Seodaemun Independence Park, Hongneu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용자들에게 건강증진을 위한 공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실질적이고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공원의 물리적 환경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현장 관찰조사를 통해 평가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서울시 공원만족도 평가에 의하면 방문 편리성, 이용 편리성, 이용 안전성, 운영 및 관리, 조경 및 환경 5개 분야로 32개 항목이며, 조경시설에 대한 이용의 만족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건강도시 관련 연구와 건강증진을 위한 공원 연구, 서울시 공원현황 자료를 바탕으로 도출된 지표 중에서 활용도가 높고 공원 내에서 적용 가능한 지표들을 도출하려고 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시의 공원이 대체로 재정비가 필요한 이유는? 서울시의 공원은 조성된 지 30년 이상 된 공원의 비율이 높아서 대체로 재정비가 필요하다. 2019년 현재 공원 2,859개소 중 884개소가 1990년 이전에 조성된 공원으로 약 30.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공원의 물리적 환경요소 평가 결과는 어떠한가? 지표 선정방법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선정하였으며, 물리적 환경 인식 요소의 평가방법은 전문가와 조사원이 현장관찰을 통해 3점 척도(상·중·하)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건강증진을 위한 지표는 운동시설이나 산책로 뿐 아니라, 휴식공간, 여가 및 문화시설, 접근성, 청결, 식수대 등 건강 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주요한 지표임을 알았다. 둘째, 정량적인 지표로는 요건을 갖추고 있다 할지라도 정성적인 평가에서는 실제 구현시키거나,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많아 공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물리적 환경요소에 대한 정성적 평가 결과 유형별, 공원별 점수차가 나타났는데,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시설, 체력단련시설 등 활동성보다는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과 같은 간접적 지표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COVID-19 등으로 공원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공원의 서비스 증진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
공원 내에서의 건강증진 활동의 장점은? 도시공원은 시민건강증진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미래 도시에서 건강증진을 위한 물리적 공간 조성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공원 관리는 중요한 모델이 될 것이다. 걷기를 포함한 공원 내에서의 건강증진 활동은 사회적, 정신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신체적 건강증진에 큰 효과를 준다. 국제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행정연맹에서 작성한 도시공원의 유익에 대한 보고서에서는 도시공원 이용과 건강증진 효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IFPRA, 2013)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k, S. K. and K. H. Park(2014). Associ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3): 1-12. 

  2. IFPRA(2013) Benefits of Urban Parks: A Systematic Review. Copenhagen & Alnarp. 

  3. Jang, C. K., S. G. Jung and W. S. Lee(2016)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perception on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Focused on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Daegu city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5): 68-80. 

  4. Kim, M. H., D. H. Oh and Y. H. Hwang(2012) Factors influencing urban park average length of stay.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6(6): 275-289. 

  5. Kim, Y. H. and E. Y. Seong(2013) Policy Measures for Creating Healthy Neighborhood Environment. Auri. 

  6. Kim, Y. I. and J. G. Kim(2011) Citizen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for urban parks and greens: A case study of Anyang city, Bucheon city and Uijeongbu city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1): 157-170. 

  7. Lee, K. H. and S. K. Kim(2011) The development of healthy cities indicators for urban regeneration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through experts’ assessment - Focused on architects & urban planners’ survey.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2(5): 137-150. 

  8. Lee, M. H., H. S. Song, M. Y. Jang, M. J. Cho and M. S. Choi(2014) Planning process and organization of the healthy city in New York city - Focusing on the active design guideline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9(4): 17-36. 

  9. Lee, S. H. (2008)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Indicators for Healthy-Cities Plan.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0. Lee, W. S., K. H. Park, E. J. Kim and T. H. Kim(2015) The correlates of neighborhood-based physical environment on park us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Focused on Uichang and Seongsan in Changwon city.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50(6): 71-88. 

  11. Moon, H. S. and S. B. Kim(2009)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green spaces in Daegu city as the place for physical activities improving health.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18(11): 1199- 1206. 

  12. Nam, E. W. (2007) Review and prospective of the heathy citi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4(2): 123-134. 

  13. NYC(2010) Active Design Guidelines: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Design. City of New York. 

  14. Park, J. K., R. H. Lim, Y. B. Ji and H. J. Shin(2001) An analysis of form and an extent of satisfaction for the people using park(by Mansuck Park in Suwon City). Korean Journal of Lesure, Recreation & Park 21: 129-152. 

  15. Park, K. H., W. S. Lee, T. H. Kim and E. J. Kim(2014) Effect of satisfaction in neighborhood park environments o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The case of Seongsan-gu and Uichang-gu in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3): 64-75. 

  16. Park, S. B., S. H. Kim, J. C. Nam, Y. J. Gang, K. C. Lee and S. K. Kim(1999) Establishment of development indicators for park based on post-use evaluation of urban parks- Case of Amnam Park in Busan. Research Report of Dong-A University's Institute of Environmental Problem Studies 22(2): 119-131. 

  17. Park, Y. E., W. S. Lee, S. G. Jung and K. H. Park(2015)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erception in neighborhood park on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Focusing on 8 neighborhood parks in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1): 54-68. 

  18. Seoul(2010) The Survey of Park Satisfiction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9. Yoo, S. H. (2016) Application of qualitative multi-methods for urban health research on perceived environments: The case of built environment and physical activity. Seoul Stud 17(1): 147-161. 

  20. http://healthyactivebydesign.com.au/about-healthy-active-design(Healthy by Design) 

  21. http://porturbanism.com/(City Loop Park) 

  22. https://www.sportengland.org/(England Active Desig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