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지방식이에서 일반식이로의 전환이 유방암의 성장 및 전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hanges from high-fat diet to normal diet on breast cancer growth and metastasi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4, 2020년, pp.369 - 380  

박성화 (중앙대학교 체육교육과) ,  정인경 (중앙대학교 체육교육과) ,  김정현 (중앙대학교 체육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일반식이로의 식이 제한이 고지방식이로 촉진된 유방암의 성장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을 알아보았다. 8주간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후 유방암을 유방 조직에 이식하거나 꼬리 정맥으로 통해 전이시켰으며, 암 생성 및 전이 후 HFC군은 고지방식이를, DR군은 일반식이로 전환시켜 사육하였다. 본 연구 결과, 원발성 유방암의 경우, HFC군과 DR군의 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간과 비장, 신장 주변의 지방세포의 무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DR군이 HFC군에 비해 유방암의 개시를 지연시켰으며, 유방암의 성장과 무게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일반식이로의 전환에 의한 유방암 성장 억제는 세포 분열 억제와 세포사멸을 조절하는 인자의 발현 감소에 의한 caspase-3의 활성 촉진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이 제한은 폐로 전이된 유방암의 수를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본 실험 결과, 일반식이로의 제한은 고지방식이로 촉진된 유방암의 성장과 전이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유방암 세포의 성장 억제와 사멸 유도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방암의 성장이나전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총 섭취 열량을 조절하고, 지방의 섭취량을 줄이는 균형 잡힌 식이를 섭취하도록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t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that breast tumor incidence, growth, and metastasis are stimulated by high-fat diet but reduced by caloric restriction. However, few studies have elucidated the effects of dietary change from a high-fat diet after breast cancer initiation. Therefore, in t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식이 제한의 시점이나 고지방식이 이후 식이 제한으로의 전환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생성 시점에 식이를 고지방식이에서 일반식이의 전환이 유방암의 생성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는 무엇인가? 1990년 이후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는 악성종양으로 해마다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발생하는 암의 종류도 생활 패턴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변화되고 있다 [1,2]. 최근 연구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 서구 사회에서 많이 발생하는 암인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의 발병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으며 [3], 특히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들에게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암으로 보고되었다 [3].
국내에서 발생하는 암의 종류는 최근 어떻게 바뀌고 있는가? 1990년 이후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는 악성종양으로 해마다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발생하는 암의 종류도 생활 패턴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변화되고 있다 [1,2]. 최근 연구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 서구 사회에서 많이 발생하는 암인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의 발병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으며 [3], 특히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들에게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암으로 보고되었다 [3]. 서구 사회의 경우, 유방암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40대 이하의 여성이 전체 환자의 55.
발생하는 암의 종류가 변화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1990년 이후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는 악성종양으로 해마다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발생하는 암의 종류도 생활 패턴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변화되고 있다 [1,2]. 최근 연구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 서구 사회에서 많이 발생하는 암인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의 발병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으며 [3], 특히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들에게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암으로 보고되었다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Statistics Korea.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source Page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20 [cited 2020 Jan 29].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 &vwcdMT_ZTITLE &parmTabIdM_01_01. 

  2. National Cancer Center.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Resource Page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20 [cited 2018 Feb 20].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 

  3. National Cancer Center. National Cancer Center &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20 [cited 2019 Dec 23]. Available from: https://ncc.re.kr/cancerStatsView.ncc?bbsnum498&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4. Nkondjock A, Ghadirian P. Risk factors and risk reduction of breast cancer. Med Sci (Paris) 2005; 21(2): 175-180. 

  5. Morris PG, Hudis CA, Giri D, Morrow M, Falcone DJ, Zhou XK, et al. Inflammation and increased aromatase expression occur in the breast tissue of obese women with breast cancer. Cancer Prev Res (Phila) 2011; 4(7): 1021-1029. 

  6. Prado CM, Baracos VE, McCargar LJ, Reiman T, Mourtzakis M, Tonkin K, et al. Sarcopenia as a determinant of chemotherapy toxicity and time to tumor progression in metastatic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apecitabine treatment. Clin Cancer Res 2009; 15(8): 2920-2926. 

  7. Schapira DV, Clark RA, Wolff PA, Jarrett AR, Kumar NB, Aziz NM. Visceral obesity and breast cancer risk. Cancer 1994; 74(2): 632-639. 

  8. Thune I, Brenn T, Lund E, Gaard M. Physical activity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N Engl J Med 1997; 336(18): 1269-1275. 

  9. Picon-Ruiz M, Morata-Tarifa C, Valle-Goffin JJ, Friedman ER, Slingerland JM. Obesity and adverse breast cancer risk and outcome: mechanistic insights and strategies for intervention. CA Cancer J Clin 2017; 67(5): 378-397. 

  10. Seo JS, Park HA, Kang JH, Kim KW, Cho YG, Hur YI, et al. Obesity and obesity-related lifestyles of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J Health Promot 2014; 14(3): 93-102. 

  11. Rooney M, Wald A. Interventions for the management of weight and body composition change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Clin J Oncol Nurs 2007; 11(1): 41-52. 

  12. Bhardwaj P, Du B, Zhou XK, Sue E, Harbus MD, Falcone DJ, et al. Caloric restriction reverses obesity-induced mammary gland inflammation in mice. Cancer Prev Res (Phila) 2013; 6(4): 282-289. 

  13. Sundaram S, Yan L. Time-restricted feeding mitigates high-fat diet-enhanced mammary tumorigenesis in MMTV-PyMT mice. Nutr Res 2018; 59: 72-79. 

  14. Kim EJ, Choi MR, Park H, Kim M, Hong JE, Lee JY, et al. Dietary fat increases solid tumor growth and metastasis of 4T1 murine mammary carcinoma cells and mortality in obesity-resistant BALB/c mice. Breast Cancer Res 2011; 13(4): R78. 

  15. Selvakumar P, Badgeley A, Murphy P, Anwar H, Sharma U, Lawrence K, et al. Flavonoids and other polyphenols act as epigenetic modifiers in breast cancer. Nutrients 2020; 12(3): 761. 

  16. Demark-Wahnefried W, Rogers LQ, Gibson JT, Harada S, Fruge AD, Oster RA, et al. Randomized trial of weight loss in primary breast cancer: impact on body composition, circulating biomarkers and tumor characteristics. Int J Cancer 2020; 146(10): 2784-2796. 

  17. Faustino-Rocha A, Oliveira PA, Pinho-Oliveira J, Teixeira-Guedes C, Soares-Maia R, da Costa RG, et al. Estimation of rat mammary tumor volume using caliper and ultrasonography measurements. Lab Anim (NY) 2013; 42(6): 217-224. 

  18. LeRoith D, Novosyadlyy R, Gallagher EJ, Lann D, Vijayakumar A, Yakar S. Obesity and type 2 diabetes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cancer and a worse prognosis; epidemiological and mechanistic evidence. Exp Clin Endocrinol Diabetes 2008; 116 Suppl 1: S4-S6. 

  19. Peyrat JP, Bonneterre J, Hecquet B, Vennin P, Louchez MM, Fournier C, et al. Plasma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concentrations in human breast cancer. Eur J Cancer 1993; 29A(4): 492-497. 

  20. Wu W, Ma J, Shao N, Shi Y, Liu R, Li W, et al. Co-targeting IGF-1R and autophagy enhances the effects of cell growth suppression and apoptosis induced by the IGF-1R inhibitor NVP-AEW541 in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PLoS One 2017; 12(1): e0169229. 

  21. Porter HA, Perry A, Kingsley C, Tran NL, Keegan AD. IRS1 is highly expressed in localized breast tumors and regulates the sensitivity of breast cancer cells to chemotherapy, while IRS2 is highly expressed in invasive breast tumors. Cancer Lett 2013; 338(2): 239-248. 

  22. Gerard C, Brown KA. Obesity and breast cancer - role of estrogens and the molecular underpinnings of aromatase regulation in breast adipose tissue. Mol Cell Endocrinol 2018; 466: 15-30. 

  23. Kim KJ. Changes of IL-6 and TNF- ${\alpha}$ production by macrophages and monocytes after restricted diet and exercise training intervention in diet-induced obese mice. Exer Sci 2010; 19(2): 115-130. 

  24. Cleary MP, Grande JP, Maihle NJ. Effect of high fat diet on body weight and mammary tumor latency in MMTV-TGF-alpha mic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4; 28(8): 956-962. 

  25. Zhu Z, Haegele AD, Thompson HJ. Effect of caloric restriction on pre-malignant and malignant stages of mammary carcinogenesis. Carcinogenesis 1997; 18(5): 1007-1012. 

  26. Brown KA, McInnes KJ, Hunger NI, Oakhill JS, Steinberg GR, Simpson ER. Subcellular localization of cyclic AMP-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regulated transcription coactivator 2 provides a link between obesity and breast cancer in postmenopausal women. Cancer Res 2009; 69(13): 5392-5399. 

  27. Cleary MP, Hu X, Grossmann ME, Juneja SC, Dogan S, Grande JP, et al. Prevention of mammary tumorigenesis by intermittent caloric restriction: does caloric intake during refeeding modulate the response? Exp Biol Med (Maywood) 2007; 232(1): 70-80. 

  28. Rogozina OP, Bonorden MJ, Seppanen CN, Grande JP, Cleary MP. Effect of chronic and intermittent calorie restriction on serum adiponectin and leptin and mammary tumorigenesis. Cancer Prev Res (Phila) 2011; 4(4): 568-581. 

  29. Rogozina OP, Nkhata KJ, Nagle EJ, Grande JP, Cleary MP. The protective effect of intermittent calorie restriction on mammary tumorigenesis is not compromised by consumption of a high fat diet during refeeding. Breast Cancer Res Treat 2013; 138(2): 395-406. 

  30. Cleary MP, Grossmann ME. The manner in which calories are restricted impacts mammary tumor cancer prevention. J Carcinog 2011; 10(1): 21. 

  31. Friedenreich CM, Woolcott CG, McTiernan A, Ballard-Barbash R, Brant RF, Stanczyk FZ, et al. Alberta physical activity and breast cancer prevention trial: sex hormone changes in a year-long exercise intervention among postmenopausal women. J Clin Oncol 2010; 28(9): 1458-1466. 

  32. Baracos VE, Martin L, Korc M, Guttridge DC, Fearon KC. Cancer-associated cachexia. Nat Rev Dis Primers 2018; 4(1): 17105. 

  33. Du J, Chen GG, Vlantis AC, Chan PK, Tsang RK, van Hasselt CA. Resistance to apoptosis of HPV 16-infected laryngeal cancer cells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Bak and increased Bcl-2 expression. Cancer Lett 2004; 205(1): 81-88. 

  34. Barisic K, Petrik J, Rumora L. Biochemistry of apoptotic cell death. Acta Pharm 2003; 53(3): 151-164. 

  35. Antonsson B, Martinou JC. The Bcl-2 protein family. Exp Cell Res 2000; 256(1): 50-57. 

  36. Schreiber V, Dantzer F, Ame JC, de Murcia G. Poly(ADP-ribose): novel functions for an old molecule. Nat Rev Mol Cell Biol 2006; 7(7): 517-528. 

  37. Escrich R, Costa I, Moreno M, Cubedo M, Vela E, Escrich E, et al. A high-corn-oil diet strongly stimulates mammary carcinogenesis, while a high-extra-virgin-olive-oil diet has a weak effect, through changes in metabolism, immune system function and proliferation/apoptosis pathways. J Nutr Biochem 2019; 64: 218-227. 

  38. Yan L, Sundaram S, Mehus AA, Picklo MJ. Time-restricted feeding attenuates high-fat diet-enhanced spontaneous metastasis of Lewis lung carcinoma in mice. Anticancer Res 2019; 39(4): 1739-17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