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 중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중과제의 혼란수준이 만성 발목불안정성 성인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nfusion Level of Dual-Tasks Using a Smartphone on the Gait of Subjec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While Walking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5 no.3, 2020년, pp.99 - 108  

최우성 (대전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최종덕 (대전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confusion level in performing dual tasks using smartphones while walking in subjec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METHODS: Twenty subjects with CAI and 20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patial, temporal, spatial-temporal,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구에서는 역수 계산의 이중과제를 부여하여 만성 발목 불안정성 대상자의 보행 능력을 평가하여 관련성을 제시하였다[7] 그러나 실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중과제의 혼란수준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없었으며, 정상인과의 비교 연구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발목 관절의 불안정성을 가진 성인과 정상인에게 실생활에서 자주 겪을 수 있는 스마트폰 사용을 이중과제로 선정하고, 혼란수준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혼란수준이 만성발목불안정성 대상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정상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비교,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만성 발목 불안정성 대상자 그룹에서 혼란수준이 높아질수록 보행 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질 것이라고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만성 발목불안정성 대상자 20명, 정상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중과제를 제공하여, 이중과제의 혼란수준이 보행의 시간적, 공간적, 시-공간적, 변동성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두 그룹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만성 발목 불안정성 대상자의 재손상의 위험을 막고, 예방적 차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군 모두 혼란수준에 따른 그룹 내 보행의 시간적, 공간적, 시-공간적, 변동성 변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발목불안정성그룹과 정상인 그룹을 동일한 여러 수준의 이중과제 상황에 노출시켜 보행 변수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중과제 혼란수준에 따라 총 4가지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만성 발목 불안정성 대상자와 정상인 대조군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중과제의 혼란수준에 따라 보행 변수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만성 발목 불안정성 대상자가 정상인과 비교하여 보행의 시간적, 공간적, 시공간적 변수에 대하여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발목 관절의 불안정성을 가진 성인과 정상인에게 실생활에서 자주 겪을 수 있는 스마트폰 사용을 이중과제로 선정하고, 혼란수준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혼란수준이 만성발목불안정성 대상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정상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비교,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만성 발목 불안정성 대상자 그룹에서 혼란수준이 높아질수록 보행 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질 것이라고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Fong DT, Hong Y, Chan LK, et al. Systematic review on ankle injury and ankle sprain in sports. Sports Med. 2007;37(1):73-94. 

  2. Abe Y, Sugaya T, Sakamoto M. The postural contro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a history of ankle sprain during single-leg standing. J Phys Ther Sci, 2014;26(6):885-8. 

  3. Hertel J. Functional anatomy, pathomechanics, and pathophysiology of lateral ankle instability. J Athl Train. 2002;37(4):364-75. 

  4. Gribble PA, Bleakley CM, Caulfield BM, Docherty CL, Fourchet F, Fong DT-P et al. Evidence review for the 2016 International Ankle Consortium consensus statement on the prevalence, impact and long-term consequences of lateral ankle sprain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6;50(24):1496-505. 

  5. Hertel J. Sensorimotor Deficits with Ankle Sprains and Chronic Ankle Instability. Clin Sports Med 2008;27(3):353-70. 

  6. Monaghan K, Delahunt E, Caulfield B. Ankle function during gait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compared to controls. Clin Biomech. 2006;21(2):168-74. 

  7. Springer S, Gottlieb U. Effects of dual-task and walking speed on gait variability in people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a cross-sectional study. BMC Musculoskelet Disord. 2017;18(1)316. 

  8. Pellecchia GL. Dual-task training reduces impact of cognitive task on postural sway. J Mot Behav. 2005;37(3):239-46. 

  9. Hyong IH, The effects on dynamic balance of dual-tasking using smartphone functions. J Phys Ther Sci, 2015;27(2):527-9. 

  10. Jun DS. Effects of the Elderly Computer/Internet Competence on Life Satisfaction. KJLGAS. 2019;29(3):389-409. 

  11. Kang SC, Lee SW, Shim JI. A Study on Patterns and Distraction of Smart Devices Usages While Walking.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2016;23(2):27-39. 

  12. Nasar JL, Troyer D. Pedestrian injuries due to mobile phone use in public places. Accid Anal Prev. 2013;57:91-5. 

  13. Nyska M, Shabat S, Simkin A, et al. Dynamic force distribution during level walking under the feet of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Br J Sports Med. 2003;37(6):495-7. 

  14. Rosen AB, Than NT, Smith WZ, et al. Attention is associated with postural control in those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Gait Posture. 2017;54:34-8 

  15. Gribble PA, Delahunt E, Bleakley CM, et al. Selection criteria for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in controlled research: a position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ankle consortium. J Athl Train. 2014;49(1):121-7. 

  16. Docherty CL, Gansneder BM, Arnold BL.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the ankle instability instrument. J Athl Train. 2006;41(2):154-8. 

  17. Heo SM. Reliability & validity of CAI assessment questionary - korea version. Master's Degree. Yonsei University. 2015. 

  18. Bilney B, Morris M, Webster K. Concurrent related validity of the GAITRite(R) walkway system for quantification of the spatial and temporal parameters of gait. Gait Posture. 2003;17(1):68-74. 

  19. Menz HB, Latt MD, Tiedemann A, et al. Reliability of the GAITRite(R) walkway system for the quantification of temporo-spatial parameters of gait in young and older people. Gait Posture. 2004;20(1):20-5. 

  20. Suresh K, An overview of randomization techniques: an unbiased assessment of outcome in clinical research. J Hum Reprod Sci. 2011;4(1):8. 

  21. Kim CY, Jeong HW, Kim HD. Effects of smart phone use on the gait parameters when healthy young subjects negotiated an obstacle. JKAIS. 2015;16(1):471-9. 

  22. Martin CL, Philips BA, Kilpatrick TJ, et al. Gait and balance impairment in early multiple sclerosis in the absence of clinical disability. Mult Scler. 2006;12(5):620-8. 

  23. Drewes LK, Mckeon P, Paolini G, et al. Altered ankle kinematics and shank-rear-foot coupling in those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 Sport Rehabil. 2009 2009;18(3):375-88. 

  24. Andersson G, Yardley L, Luxon L. A dual-task study of interference between mental activity and control of balance. The Am J Otol. 1998;19:63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