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성인 및 노인의 식이보충제 복용에 따른 비타민 및 무기질 영양상태 평가: 2017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of Vitamins and Minerals According to Consumption of Dietary Supplements in Korean Adults and the Elderly: Report Based on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5 no.4, 2020년, pp.329 - 339  

김지명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식품영양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intake of vitamins and minerals from dietary supplements (DSs) in Korean adults and elderly. Methods: Data for this study was generated from the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 analyzed 4,204 individual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식이보충제 섭취 조사는 조사 1일전 섭취한 식이보충제를 24시간 회상법의 일환으로 조사한 것으로 평상시 보충제 섭취량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최근 1년 동안 2주 이상 지속적으로 식이보충제 복용 여부를 묻는 질문과 함께 판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정보를 고려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최근의 대규모 횡단 연구조사를 통해 얻어진 식이보충제의 섭취량을 반영하여 우리나라 성인 및 노인의 비타민 및 무기질 영양섭취상태 및 영양소 섭취 부족 및 과잉섭취와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라는 면에서 매우 의미 있다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식이보충제 섭취 여부에 따른 우리나라 성인 및 노인의 비타민 및 무기질의 영양섭취상태를 비교하고, 식이보충제 섭취와 영양소 부족 및 과잉 섭취비율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식이보충제가 우리나라 성인 및 노인의 비타민 및 무기질 섭취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Yoon 둥[12]의 결과는 식이보충제를 통해 섭취하는 영양소의 양을 제시하였으나, 유의성 검증을 위한 통계적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의미한 결과인지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식이보충제 섭취가 높은 성인 및 노인의 식이보충제 섭취에 의한 영양소섭취 상태 평가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영양섭취 부족 및 과잉섭취 비율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함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식이보충제 섭취 여부에 따른 우리나라 성인 및 노인의 비타민 및 무기질의 영양섭취상태를 비교하고, 식이보충제 섭취와 영양소 부족 및 과잉 섭취비율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식이보충제가 우리나라 성인 및 노인의 비타민 및 무기질 섭취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식이보충제를 통한 영양소 섭취조사항목은 칼슘, 인, 철,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니아신, 비타민 C 8가지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이보충제의 섭취량을 포함한 비타민 및 무기질의 총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하여 식이섭취량 및 식이보충제 섭취량을 포함한 비타민 및 무기질 총 섭취량 각각의 평균필요량(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미만섭취비율과 상한섭취량(tolerable upper intake level, UL) 초과섭취비율을 계산하였다.
  • 특히 성인 및 노인은 식이보충제 섭취율이 높아, 이들이 섭취하는 비타민 및 무기질 양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나 정확한 섭취량 등 우리나라 성인 및 노인의 식이보충제를 포함한 총 섭취량에 대한 자료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이보충제 이용률이 높은 성인 및 노인을 대상으로 식이보충제 섭취 여부에 따른 비타민 및 무기질의 영양섭취상태를 비교하고, 식이보충제 섭취와 영양소 부족 및 과잉 섭취비율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식이보충제가 우리나라 성인 및 노인의 비타민 및 무기질 섭취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이보충제와 관련해 어떤 요인이 연구되었는가? 식이보충제와 관련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보충제 복용 여부, 보충제 종류, 복용 횟수 및 양 등 복용 실태에 대한 식이보충제 섭취현황[5, 6], 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 생활습관 요인[7, 8, 9]에 대해 연구되어져 왔다. 식이보충제를 섭취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이보충제를 통한 영양소 섭취량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건강기능식품이란 무엇인가? 건강기능식품이란 우리나라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1]. 국내에 유통되는 식이보충제의 시장도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규모는 무려 1.
식이보충제에 대한 본 연구와 2005년도 국민 건강영양조사의 자료가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Lee & Song[7]의 2005년도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에서는 식이보충제 복용 유무에 따라 복용자에서 비복용자보다 섭취량이 많은 경향은 보였으나, 에너지를 제외한 각 영양소 섭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10년 이상의 조사시기의 차이, 식이 보충제 섭취율의 변화, 경제적 성장에 따른 식생활 및 사회 요인의 변화, 건강에 대한 관심 등의 차이에서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Lee 등[14]은 영양교육경험, 식생활지침인지, 영양성분표시 사용 중 하나 이상의 식행동을 가진 경우, 하나도 실천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식이보충제 섭취확률이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unctional food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cited 2020 Aug 20].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8 Food and Drug Statistical Yearbook.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8. 

  3. Burnett AJ, Livingstone KM, Woods JL, McNaughton SA. Dietary supplement use among Australian adults: findings from the 2011-2012 nation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survey. Nutrients 2017; 9(11): 1248-1259.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Cheongju: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5. Yoo YJ, Hong WS, Choi YS. The experience of nutrient supplement use among adults in the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Nutr 2001; 30(2): 357-363. 

  6. Kim SY, You JS, Chang KJ.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dietary habit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J Nutr Health 2013; 46(2): 166-176. 

  7. Lee YO, Song 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festyle factors, and nutrient intake by taking vitamin/mineral supplements. Korean J Food Culture 2010; 25(4): 480-486. 

  8. Kim YJ, Mun JA, Min HS. Supplement dose and health-related life style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er among Korean middle-aged.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3): 303-314. 

  9. Lee HS, Han JH, Kim SH. Prevalence of vitamin . mineral supplement us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adolescents. J Nutr Health 2013; 46(6): 552-559. 

  10. Kang M, Kim DW, Lee H, Lee YJ, Jung HJ, Paik HY et al. The nutrition contribution of dietary supplements on total nutrient intak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Eur J Clin Nutr 2015; 70(2): 257-261. 

  11. Song S, Youn J, Lee YJ, Kang M, Hyun T, Song Y et al. Dietary supplement use among cancer survivors and the general population: a nation-wide cross-sectional study. BMC cancer 2017; 17(1): 891-902. 

  12. Yoon L, Yang J, Kweon S, Oh K. Dietary supplement intake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5. Public Health Wkly Rep 2018; 11(7): 188-192. 

  13. Willett W. Nutritional epidemiology. 3r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4. Lee YJ, Kang M, Paik HY, Song YJ. Use of dietary supplements and determinants of taking dietary supplements by gender in the Korean population: using the 4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7; 22(4): 347-355. 

  15. Dickinson A, Mackay D. Health habits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dietary supplement users: a review. Nutr J 2014; 13(1): 14-21. 

  16. Lee HH, Park HA, Kang JH, Kang JH, Kim KW, Cho YG et al. What types of dietary supplements are used in Korea?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05. Korean J Fam Med 2009; 30(12): 934-943. 

  17. Faria AM, Gomes-Santos AC, Goncalves JL, Moreira TG, Medeiros SR, Dourado LP et al. Food components and the immune system: from tonic agents to allergens. Front Immunol 2013; 4: 102-117. 

  18. Joo NS, Dawson-Hughes B, Kim YS, Oh K, Yeum KJ. Impact of calcium and vitamin D insufficiencies on serum parathyroid hormone and bone mineral density: analysis of the fourth and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2009 and KNHANES V-1, 2010). J Bone Miner Res 2013; 28(4): 764-770.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0. Han H, Segal AM, Seifter JL, Dwyer JT. Nutritional management of kidney stones (Nepholithiasis). Clin Nutr Res 2015; 4(3): 137-152. 

  21. Sebastian RS, Cleveland LE, Goldman J, Moshfegh A. Older adults who use vitamin/mineral supplements differ from nonusers in nutrient intake adequacy and dietary attitudes. J Am Diet Assoc 2007; 107(8): 1322-133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