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노버블 기법을 이용한 화장품 내 유효물질의 피부투과성 증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kin permeability enhancement of active substances in cosmetics using nanobubble techniqu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4, 2020년, pp.1041 - 1051  

이성주 (안양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이순홍 (안양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박승일 ((주)씨앤비코스메틱)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본과 유럽에서 시작된 미세버블과 나노버블의 기술은 여러 응용분야에서 적용 가능하고 그 효과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서 많은 연구자 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 전문가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나노버블은 물속에서 수개월 이상 존재 가능하다는 연구로부터 화장품과 같은 액상 형태의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포캡슐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나노버블의 생성과 나노버블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 내 유효물질 3종(Niacinamide(1.6%), Caffeic acid(1%), Ferulic acid(1%))에 대하여 피부투과성 증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나노버블은 유효물질의 피부투과성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나노버블 미함유 물질 대비 최대 250% 피부투과성 증가가 확인되었다(Caffeic acid, 8시간). 이는 화장품 분야 뿐만 아니라 뇌종양과 같은 의약품 투과성에 관련된 분야 등 나노버블 기법에 의한 투과성 향상에 적용 가능한 분야에 연구 성과 및 산업적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echnology of microbubbles and nanobubbles originated in Japan and Europe is applicable to various applications and its effects are diverse, attracting attention not only from many researchers but also from industry experts. In particular, nanobubbles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can be applied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버블의 개체수와 크기는 유효물질의 피부투과성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높은 개체수와 안정된 크기의 나노버블 생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나노버블을 이용한 유효물질의 피부투과성 향상 연구는 현재 연구 초기 단계이며, 본 연구에서는 나노버블이 함유된 화장품 내 유효물질 3종에 대하여 피부투과성이 증가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되었으며, 본 나노버블이 함유된 화장품 성분을 Franz cell 실험에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Franz cell을 이용하여 피부투과성을 간접적인 방법으로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기능성 유효성분을 직접 피부투과성 실험에 적용하였으며, 사용한 유효성분은 Niacinamide, Caffeic acid, Ferulic acid로 각각의 성분을 미스트에 적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물리적 접근법과 제형적 접근법에 의한 피부 투과성 및 경피 흡수 방법과 차별화된 초미세버블(Ultra fine bubble) 혹은 나노버블(nano bubble)을 이용한 경피 흡수 방법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화장품 제형에 나노버블을 적용하여 나노버블 화장품을 개발하였고 화장품 내 유효 성분 Niacinamide, Cafferic acid, Ferulic acid 3종을 대상으로 피부 투과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포캡슐레이션기법을 이용하여 나노버블을 생성하였고 생성된 나노버블을 기능성 화장품에 적용하여 화장품 내 유효물질 3종에 대하여 피부투과성 증가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여러 응용 분야에서 특히 의료 및 미용 분야, 즉 약물 전달 시스템 연구와 관련하여 미세버블이 유효물질의 피부 투과성 및 경피 흡수 증진에 효율적인 조력제 역할을 한다는 연구 보고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화장품 분야에서 피부 투과성 및 경피 흡수 증진 연구는 연구자 뿐만 아니라 관련 기업에서도 관심을 많이 가지는 분야이다.
  • 따라서 미세버블은 뇌혈관장벽과 같은 신체의 멤브레인을 자극하는 것으로 분석되며, 특히 미세버블의 불안정성이 증가될 때, 멤브레인의 자극이 증가되고 유효약물의 투과성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화장품 내 유효성분을 피부에 투과시키는 데에도 같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에서는 자체 개발한 화장품 내 유효 성분 3종에 대하여 피부투과성 실험을 진행하였다[22-2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노 버블의 안정성은 무엇을 통해 알 수 있는가? 나노 버블의 안정성은 제타전위를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제타 전위의 크기는 콜로이드 계(colloidal system)의 안정성을 가리키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나노 버블에서 전기 이중층은 어떤 원리로 형성되는가? 제타 전위의 크기는 콜로이드 계(colloidal system)의 안정성을 가리키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액체 내에 분산되어있는 입자 표면의 전하는 주변 이온분포에 영향을 미쳐 입자표면의 전하와 반대되는 부호의 이온농도를 높인다. 따라서 각 입자 주변에는 전기 이중층(electrical double layer)이 형성된다.
미세버블의 경피 흡수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따라서 다양한 방법의 경피 흡수 증진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경피 흡수 방법에는 물리적 접근법, 제형적 접근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물리적 접근법에는 피부에 전위차를 주어 피부의 전기적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이온성 약물의 피부 투과를 증가시키는 방법인 iontophoresis, 고전압을 이용한 약물침투법인 electroporation, 초음파를 이용하여 약물이 생체막을 통과하여 피부에 침투하게 만들어주는 sonophoresis 등이 있다. 제형적 접근법에는 고분자 수화젤, 고분자 마에셀, 나노 에멀젼, 리포좀, 에토좀 등이 있다[2-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J. M. Lee, S. J. Lee, M. H. Park, "Fine Bubble Technology",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29, No.6 pp. 438-444, (2018). 

  2. H. J. Kwon, S. R. Han, N. S. Jung, "The Influence of Skin surface temperature on Transdermal Absorption of Active Substances and Changes in Skin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6. No.1 pp. 299-304, (2019). 

  3. J. S. Kang, H. N. La, S. U. Bak, H. J. Eom, B. K. Lee, H. J. Shin, "Development of Dermal Transduction Epidermal Growth Factor (EGF) Using A Skin Penetrating Functional Peptide", Journal of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ol.45, No.2 pp. 175-184, (2019). 

  4. M. Sachaa, L. Fauconb, E. Hamonc, I. Lyc, E. Haltner-Ukomadua, 2019,"Ex vivo transdermal absorption of a liposome formulation of diclofenac",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Vol.111, pp. 785-790, (2019). 

  5. M. Yoshida, S. Uchida, Y. Kashiwagura, S. Tanaka, R. Matsui, N. Namiki, "Evaluation of in Vitro and in Vivo Transdermal Absorption of Solifenacin Succinate",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Vol.67, No.11 pp. 1225-1231, (2019). 

  6. S. I. Park, G. M. An, M. G. Kim, S. H. Heo, M. S. Shin, "Enhancement of Skin Permeation of Wrinkle Improvement Peptides GHKs Using Liposomes Containing Skin Penetrating Peptides",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6, No.3 pp. 853-865, (2019). 

  7. Q. Yu,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meloxicam by nanocrystals: Preparation,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As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Vol.13, No.6 pp. 518-526, (2018). 

  8. Y. K. Cha, Y. D. Cho, W. G. Cho, S. Y. Byun, "Studies on skin whitening efficacy and skin permeation using O/W Nanoemulsion system with Resorcinol Dipentyl Ether", Journal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Vol.34, No.2 pp. 225-235, (2017). 

  9. E. Ghasemian, B. Rezaeian, S. Alaei, A. Vatanara1, V. Ramezani, "Optimization of Cefixime Nanosuspension to Improve Drug Dissolution", Pharmaceutical Sciences, Vol.21, No.1 pp. 136-144, (2015). 

  10. G. Shete, "Stabilizers used in nanocrystal based drug delivery system", Journal of Excipients and Food Chemicals, Vol.5, No.4 pp. 184-209, (2014). 

  11. J. Chen, W. L. Lu, W. Gu, S. S. Lu, Z. P. Chen, B. C. Cai, and X. X. Yang, "Drug-in-cyclodextrin-in liposomes: a promising delivery system for hydrophobic drugs", Expert Opinion on Drug Delivery, Vol.11, No.4 pp. 565-577, (2014). 

  12. S. B. Han, S. S. Kwon, Y. M. Jeong, B. J. Kong, E. R. Yu, S. N. Park, "Physical characterizations and in vitro skin permeation of elastic liposomes for transdermal delivery of Polygonum aviculare L. extract", Polymer (Korea), Vol.38, No.6 pp. 694-701, (2014). 

  13. S. J. Kim, S. S. Kwon, S. H. Jeon, E. R. Yu, S. N. Park, "Enhanced skin delivery of liquiritigenin and liquiritin-loaded liposome-in-hydrogel complex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Vol.36, No.6 pp. 553, (2014). 

  14. N. J. Kim, E. H. Oh, H. S. Suh, K. B. Chung, C. H. Yoon, "Characteristics of Percutaneous Absorption of Phthalate as Plasticiz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Vol.16, No.1 pp. 35-41, (2013) 

  15. M. S. Lim, M. A Pack and S. N. Pack, "Preparation of Nano-emulsion Containing Polygonum aviculare Extract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ol.23, No.2 pp. 222-227, (2012). 

  16. S. N. Park, M. S. Lim, M. A. Park, S. S. Kwon, S. B. Han, "Trnasdermal Delivery of Querdetin Uisng Elastic Liposomes: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Skin Permeation Study", Polymer (Korea), Vol.36, No.6 pp. 705-711, (2012). 

  17. I. D. Kim, R. H. Kwon, Y. Y. Heo, H. J. Jung, H. Y. Kang, B. J. Ha, "Supercritical extraction of oriental herb: Anti-aging and antiwrinkles effects",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23, No.6 pp. 529-534, (2008). 

  18. W. Liu, D. Sun, C. Li, Q. Liu and J. Xu, "Formation and stability of paffin oil-in-water nano-emulsions prepared by the emulsion inversion point method",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Vol.303, No.2 pp. 557-563, (2006). 

  19. Y. Xie, Z. Chen, R. Su, Y. Li, J. Qi, W. Wu, Y. Lu, "Preparation and Optimization of Amorphous Ursodeoxycholic Acid Nano-suspensions by Nanoprecipitation based on Acid-base Neutralization for Enhanced Dissolution", Current Drug Delivery, Vol.14, No.4 pp. 483-491, (2017). 

  20. M. Fathi, M. Mirlohi, J. Varshosaz, G. Madani, "Novel caffeic acid nanocarrier: production, characterization, and release modeling", Journal of Nanomaterials, Vol.2013, pp. 1-9, (2013). 

  21. C. K. Zhoh, K. Y. Lee, D. N. Kim, "The Influences of Fatty Alcohol and Fatty Acid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O/W Emulsion", Journal of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ol.35, No.2 pp. 103-110, (2009). 

  22. V. Patel, O. P. Sharma, T. Mehta, "Nanocrystal: a novel approach to overcome skin barriers for improved topical drug delivery", Expert Opinion on Drug Delivery, Vol.15, No.4 pp. 351-368, (2018). 

  23. J. Park, M. Aryal, N. Vykhodtseva, Y. Z. Zhang, N. McDannold, "Evaluation of permeability, doxorubicin delivery, and drug retention in a rat brain tumor model after ultrasound-induced blood-tumor barrier disruption",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Vol.250, pp. 77-85, (2017). 

  24. K. Cheung, T. Han, D. B. Das, "Effect of force of microneedle insertion on the permeability of insulin in skin", Journal of Diabetes Science and Technology, Vol.8, No.3 pp. 444-52, (2014). 

  25. J. Y. Chung, H. S. Han, "The Recent Trend of Percutaneous Absorption Used in Cosmetic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Vol.12, No.5 pp. 597-605, (2014). 

  26. K. Fuhrmann, M. A. Gauthier, J. C. Leroux, "Targeting of Injectable Drug Nanocrystals", Molecular Pharmaceutics, Vol.11, No.6 pp. 1762- 1771, (2014). 

  27. J. P. Moschwitzer, "Drug nanocrystals in the commercial pharmaceutical development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Vol.453, No.1 pp. 142-156, (2013). 

  28. S. I. Park, G. M. An, M. G. Kim, S. H. Heo, M. S. Shin, "Enhancement of Skin Permeation of Anti-wrinkle Peptide GHKs Using Cell Penetrating Peptides",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Vol.58, No.1 pp. 29-35, (2020). 

  29. G. M. An, S. I. Park, M. G. Kim, S. H. Heo, M. S. Shin, "Skin Permeability of Petroselinum Crispum Extract Using Polymer Micelles and Epidermal Penetration Peptide", Journal of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ol.45, No.3 pp. 265-275, (2019). 

  30. C. Williams, B. W. Barry, "Penetration enhancers",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Vol. 56, No.5 pp. 603-618, (2004). 

  31. R. Jantharaprapap, G. Stagni, "Effects of penetration enhancers on in vitro permeability of meloxicam gel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Vol.343, No.1 pp. 26-33, (2007). 

  32. T. Uchida, W. R. Kadhum, S. Kanai, H. Todo, T. Oshizaka, K. Sugibayashi, "Prediction of skin permeation by chemical compounds using the artificial membrane, Strat- $M^{TM}$ ", 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Vol.67, pp. 113-118,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