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 기반 기계 학습과 BIM을 활용한 자동화된 시공 진도 관리 - 합성곱 신경망 모델(CNN)과 실내측위기술, 4D BIM을 기반으로 -
Automated Construction Progress Management Using Computer Vision-based CNN Model and BIM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1 no.5, 2020년, pp.11 - 19  

노주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박문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이현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공 현장 일단위의 진도 관리는 프로젝트 전체의 일정 관리와 성공적인 건설 프로젝트 완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재의 현장 진도 관리는 작업 담당자에 의하여 수기로 작성되기 때문에 객관적 입장의 유지가 어렵고, 일과 후 추가업무로 작성되어 내용의 누락 등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인적 오류로 인한 잘못된 기록 작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들은 객체 인식 기반 현황의 시각화 또는 자동 BIM 데이터 수정 기술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특정 장비의 사용 또는 고정된 위치에서 장비사용을 전제로 하는 방법적 한계로 인하여 건물 시공 현장 전체를 파악하는 데에는 제약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촬영한 사진의 객체 인식 기술과 WIFI 기반의 실내 사용자의 측위 기술을 활용하여 추출된 정보를 BIM 데이터의 속성으로 반영하고 즉각적인 현황 파악과 향후 지속적 데이터 활용이 가능한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시공 현장 관리에 적용 가능한 방법과 기술의 성능을 확인하였고, 기존 개발된 기술 대비 실용도가 높아 건설 현장 관리의 신속화와 정보 작성과 처리의 정밀화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daily progress monitoring and further schedule management of a construction projec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nstruction manager's decision making in schedule change and controlling field operation. However, a current site monitoring method highly relies on the manually recorded daily-log...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객체 인식 기술과 결과물을 시공에서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한 BIM 데이터로 취합하는 기존 연구의 방법적 적용과, 일상적인 건설현장의 적용을 고려하여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현장사진을 활용하는 객체 인식과 건설 현장 진도 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현장 작업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촬영된 사진을 활용하는 진도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WIFI 기반 실내 측위기술(Global Indoor Positioning System; GIPS)과 계획단계에서 작성된 BIM을 활용하여 자동화된 건설 프로젝트 진도 관리방안을 설명한다.
  • 첫째, 연구의 배경과 선행 연구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본 연구의 목적을 설정한다.
  • 건설현장의 일정관리는 작업현황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는 현장 레벨의 일 단위 진도 관리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일상적인 매일의 관리가 중요하다. 현장작업을 수행한 작업자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현행 진도 관리 방식의 오류를 줄이고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촬영된 현장 사진을 자동으로 BIM 모델에 반영하는 진도 모니터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 기반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포함하는 기계학습 모델을 작성하고, KAILOS에서 제안한 GIPS 기반 실내 위치 측정 기술을 적용하여 추출된 결과를 BIM 데이터에 반영하였다.

가설 설정

  • 1. 시공 관리자는 정확한 위도와 경도로 프로젝트 BIM 모델의 원점을 지정하고, 프로젝트 북향과 실제 북향을 일치시킴.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의 현장 진도 관리는 객관적 입장의 유지가 어려운 이유는? 시공 현장 일단위의 진도 관리는 프로젝트 전체의 일정 관리와 성공적인 건설 프로젝트 완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재의 현장 진도 관리는 작업 담당자에 의하여 수기로 작성되기 때문에 객관적 입장의 유지가 어렵고, 일과 후 추가업무로 작성되어 내용의 누락 등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인적 오류로 인한 잘못된 기록 작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들은 객체 인식 기반 현황의 시각화 또는 자동 BIM 데이터 수정 기술을 개발하였다.
시공 현장 일단위의 진도 관리는 무엇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가? 시공 현장 일단위의 진도 관리는 프로젝트 전체의 일정 관리와 성공적인 건설 프로젝트 완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재의 현장 진도 관리는 작업 담당자에 의하여 수기로 작성되기 때문에 객관적 입장의 유지가 어렵고, 일과 후 추가업무로 작성되어 내용의 누락 등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어떠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촬영한 사진의 객체 인식 기술과 WIFI 기반의 실내 사용자의 측위 기술을 활용하여 추출된 정보를 BIM 데이터의 속성으로 반영하고 즉각적인 현황 파악과 향후 지속적 데이터 활용이 가능한 방법을 제안하였는가? 인적 오류로 인한 잘못된 기록 작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들은 객체 인식 기반 현황의 시각화 또는 자동 BIM 데이터 수정 기술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특정 장비의 사용 또는 고정된 위치에서 장비사용을 전제로 하는 방법적 한계로 인하여 건물 시공 현장 전체를 파악하는 데에는 제약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촬영한 사진의 객체 인식 기술과 WIFI 기반의 실내 사용자의 측위 기술을 활용하여 추출된 정보를 BIM 데이터의 속성으로 반영하고 즉각적인 현황 파악과 향후 지속적 데이터 활용이 가능한 방법을 제안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khavia, R., and Behzadan, A. (2016). "Smartphone-based construction workers' activity recognition and classification." Automation in Construction, 71, pp. 198-209. 

  2. Azar, R. (2017). "Semantic Annotation of Videos from Equipment-Intensive Construction Operations by Shot Recognition and Probabilistic Reasoning."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31(5), pp. 04017042-04017042. 

  3. buildingSMART International Modeling Support Group (2009). "IFC 2x Edition 3 Model Implementation Guide." buildingSMART International Modeling Support Group. 

  4. Cho, T. (2018). Deep Learning for Everyone. Seoul: Gilbut Press. 

  5. Deng, H., Hong, H., Luo, D., Deng, Y., and Su, C. (2020). "Automatic Indoor Construction Process Monitoring for Tiles Based on BIM and Computer Vis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46(1), DOI: 10.1061/(ASCE)CO.1943-7862.0001744. 

  6. Ding, L., Fang, W., Luo, H., Love, P., Zhong, B., and Ouyang, X. (2018). "A deep hybrid learning model to detect unsafe behavior: Integrating convolution neural networks and long short-term memory." Automation in Construction, 86, pp. 118-124 

  7. Eastman, C., Jeong, Y., Sack, R., and Karner, L. (2009). "Exchange model and exchange object concepts for implementation of national BIM standards."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24(1), pp. 24-35. 

  8. FARO (2010). "FARO Scanner Production Technology." FARO Technologies, United States, (Accessed May 1, 2020) 

  9. Fang, W., Ding, L., Luo, H., and Love, D. (2018). "Falls from heights: A computer vision-based approach for safety harness detection." Automation in Construction, 91, pp. 53-61. 

  10. Girshick, R., Donahue, H., Darrell, T., and Malik, J. (2014). "Rich Feature Hierarchies for Accurate Object Detection and Semantic Segmentation." In CVPR, pp. 1-22 

  11. Golparvar-fard, M., and Pena-Mora, F. (2007). "Application of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Congress on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Proceedings, pp. 216-223. 

  12. Golparvar-fard, M., Heydarian, A., and Niebles, J. (2013). "Vision-based action recognition of earthmoving equipment using spatio-temporal features and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s." 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27, pp. 652-663. 

  13. Hamledari, H., McCabe, B., and Davari, S. (2017). "Automated Computer Vision-Based Detection of Components of Under-Construction Indoor Partitions." Automation in Construction, 74, pp. 78-97. 

  14. Hamledari, H., McCabe, B., Davari, S., Shahi, A., Rezazadeh, E., and Flager, F. (2017). "Evaluation of Computer Vision-and 4D BIM-Based Construction Progress Tracking on a UAV Platform." Leadership in Sustainable Infrastructure, pp. 1-10. 

  15. Han, K., Lin, J., and Golparvar-fard, M. (2015). "A Formalism for Utilization of Autonomous Vision-Based Systems and Integrated Project Models for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Proceedings of the 2015 Conference on Autonomous and Robotic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pp. 118-131. 

  16. He, H., Zhang, X., Ren, S., and Sun, J. (2016). "Deep Residual Learning for Image Recognition." 2016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pp. 770-778. 

  17. He, K., Zhang, X., Ren, S., and Sun, J. (2015). "Spatial Pyramid Pooling in Deep Convolutional Networks for Visual Recognition." In ECCV. pp. 1-14. 

  18. Hikodukue, K. Python Ni Yoru Scraping and Kinkaigakusho Kaihatsu Technique (2017). Socym Press, Japan. 

  19. Ibrahim, Y., Lukins, T., Zhang, X., Trucco, E., and Kaka, A. (2009). "Towards Automated Progress Assessment of Work package Components in Construction Projects Using Computer Vision." 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23, pp. 93-103. 

  20. BuildingSMART, (2018). "Industrial Foundation Classes from BuildingSMART." United States, (Accessed May 1, 2020) 

  21. Kim, S., Kim, Y., Yoou,, J., and Kim, E. (2012). "A framework of the open BIM-based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9), pp. 13-20. 

  22. Kong, J., and Jang, M. (2019). "Association Analysis of Convolution Layer, Kernel and Accuracy in CNN." Journal of the KIECS, 14(6), pp. 1153-1160. 

  23. Kropp, C., Koch, C., and Konig, M. (2018). "Interior construction state recognition with 4D BIM registered image sequences." Automation in Construction, 86, pp. 11-32. 

  24. Lecun, Y., Bottou, L., Bengio, Y., and Haffner, P. (1998). "Gradient-Based Learning Applied to Document Recognition." Proceedings of the IEEE, pp. 1-46. 

  25. McCulloch, C.E. (1997). "Maximum Likelihood Algorithms for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2, pp. 162-170. 

  26. Memon, Z., Abd.Majid, M., and Mustaffar, M. (2005). "An Automatic Project Progress Monitoring Model by Integrating Auto CAD and Digital Photo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pp. 1-13. 

  27. Redmon, J., Divvala, S., Girchick, R., and Fahadi, A. (2016). "You Only Look Once: Unified, Real-Time Object Detection." in CVPR, pp. 779-788. 

  28. Szegedy, C., Liu, W., Jia, Y., Sermanet, P., Reed, S., Anguelow, D., Erhan, D., Vanhoucke, V., and Rabinovich, A. (2014). "Going deeper with convolutions." in CVPR, pp. 1-9. 

  29. Simonyan, K., and Zisserman, A. (2015). "Very Deep Convolutional Networks for Large-Scale Image Recogni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Representations (ICLR), pp. 1-14. 

  30. Son, H., Choi, H., Seong, H., and Kim, C. (2019). "Detection of construction workers under varying poses and changing background in image sequences via very deep residual networks." Automation in Construction, 99, pp. 27-38. 

  31. Trucco, E., and Kaka, P. (2004). "A framework for automatic progress assessment on construction sites using computer vi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T in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2(2), pp. 147-164. 

  32. Zhang, X., Bakis, N., Lukins, T., Ibrahim, Y., Wu, S., Kagioglou, M., Aouad, G., Kaka, A., and Trucco, E. (2009). "Automating Progress Measurement of Construction Projects." Automation in Construction, 18, pp. 294-3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