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시설물 안전관리 개선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al-Time Facility Safety Management Using Sensor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1 no.5, 2020년, pp.38 - 45  

최수원 (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  윤유상 ((주)피엠피지엠) ,  임수상 (시설안전교육원) ,  박용복 (시설안전교육원) ,  서상욱 (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국내 시설물 안전관리는 현장 중심의 안전점검으로 실시되고 있으나, 시설물에 따라 현장접근의 어려움이 있으며, 지나치게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인명사고 발생 및 점검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있다. 이에 시설물 상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센서기반의 안전관리의 필요성들이 제기되고 있으며, 센서 안전관리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용성 검증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연구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개선점을 제시하였고, H시 센서 안전관리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센서부착 위치 및 임계치 설정에 대한 추가 프로세스를 도출하였으며, 센서 데이터 계측 값을 통하여 센서 안전관리의 실용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추가 프로세스에 대한 명확한 기준 및 지속적인 실용성 검증을 실시한다면, 센서기반의 효율적인 시설물 안전관리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sently, safety management of facilities is conducted as a site-oriented safety inspection, but depending on the facilities, there are difficulties in access to the site, and the cost and time of inspection are inefficient due to excessive reliance on human resources. Therefore, the necessity of s...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센서 이용시 시설물의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업무개선을 위하여 H시에서 실제 적용한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 사례에서 나타난 필요 기준들을 도출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센서를 활용한 안전 점검 및 정밀 안전진단 업무 개선을 위하여 2019년 진행한 H시 현장 센서 설치 사례를 통해 센서기반 안전관리 업무의 필요성과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센서 활용시 시설물의 안전 점검 및 정밀 안전진단 업무개선을 위하여 현재 안전점검제도 및 시설물 안전관리시 센서적용에 대한 국내외 관련 연구들에 대해 정리 및 센서기반의 안전관리 업무에 대한 한계점을 분석하였다[Table 2].
  • 본 연구에서는 센서기반 안전점검시 실용성의 검증을 위하여 H시에서 활용한 센서기반 안전점검 사례를 통하여 센서기반 안전점검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명확한 기준이 필요한 미기준 프로세스를 도출하고, 현장 적용시에 실용성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례연구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센서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의 개선방향을 검토하고 실제 적용과정에서 파악된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에, 실제 H시 사례를 통해 센서기반 시설물 안전점검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센서기반 시설물의 안전 점검 시 필요한 기준들을 도출하며, 현장점검 데이터와 센서 점검 데이터를 비교하여, 센서기반 안전점검에 대한 실용성을 검증하고 필요한 기준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국내 시설물 안전관리의 한계는? 현재 국내 시설물 안전관리는 현장 중심의 안전점검으로 실시되고 있으나, 시설물에 따라 현장접근의 어려움이 있으며, 지나치게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인명사고 발생 및 점검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있다. 이에 시설물 상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센서기반의 안전관리의 필요성들이 제기되고 있으며, 센서 안전관리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용성 검증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분석에 사용된 건물의 안전점검 결과는 어떠한가? 점검결과 모든 이벤트들이 5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으 며, 5월에 발생한 5,446건의 이벤트 중 균열센서에서 5,429건이 발생하였고, 1축가속도계에서 17건의 이벤트가 발생하 였으며, 2개의 균열계에서 관심 및 주의단계가 29건, 경계단계가 2,327건, 심각단계가 3,070건이 발생했고, 가속도계에서는 관심 및 주의가 13건 경계 2건, 심각 2건이 발생하였다. 다음 [Table 7] [Fig.
안전점검이란? 안전점검은 경험과 기술을 갖춘 전문가가 육안이나 점검 기구 등으로 검사하여 시설물에 내재되어 있는 위험요인을 조사하는 행위를 말하며, 점검목적 및 점검수준을 고려하여 정기안점점검, 정밀안전점검 및 긴급안전점검으로 구분하며, 정밀안전진단은 시설물의 물리적·기능적 결함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위해 구조적 안전성과 결함의 원인 등을 조사·측정·평가하여 보수·보강 등의 방법을 제시하는 행위를 말한다. 안전점검 시기는 초기 시설물에 따라 안전등급을 매긴 후 실시하며, 내용은 다음 [Table 1]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min Asadzadeh., Mehrdad Arashpour., Heng Li., Tuan Ngo., Alireza Bab-Hadiashar., and Ali Rashid. (2020). "Sensor based safety management." Automation in Construction., 113, pp. 1-16. 

  2. Kim, J.H., Park, W.J., Park, J.O., and Park, S.H. (2020). "LoRa LPWAN-based Wireless Measurement Sens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Plan." J. Comput. Struct. Eng. Inst. Korea., 33(1), pp. 55-61. 

  3.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KAIA) (2016).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Structural maintenance, ICT technologies, Sensing technologies, Test beds. Infrastructure R&D Report, 2016-04. 

  4. Maeng, J.S., and Kim, I.H. (2018). "Wireless Sensor Network for Health & Safety Monitoring of Small Sized Structure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67(8), pp. 1099-1105. 

  5. Mingyuan Zhang., Tianzhuo Cao., and Xuefeng Zhao. (2017). "Applying Sensor-Based Technology to Improv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ensors (Basel)., 17(8), pp. 1-24. 

  6. Park, H.Y., and Yi, W.H. (2019). "Proposed Improvements to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Building Disaster Accidents and Safety Inspection Systems." J. Korean Soc. Hazard Mitig., 19(5), pp. 11-21. 

  7. Yeon, S.H., Kim, J.S., and Yeon, C.H. (2019). "A Study on the Safety Monitoring of Bridge Facilities based on Smart Senso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2(2), pp. 97-106. 

  8. Yoon, J.H., Keong, W.N., and Jang, M.H. (2020). "Improvement of Incomplete Full Safety Inspection and Precise Safety Examination for Buildings." J. of Advanced Engineering and Technology, 13(1), pp. 7-14. 

  9. Lee, H.S. (2019). "A Study on the Safety Evaluation of the Landing Pier Structure Using FBG Senso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3(2), pp. 44-50. 

  10. Lim, J.S, You, S.B., Cho, S.J., Park, B.H., Kim, Y.S., and Jang, J.W. (2020). "Based on Intelligent Wireless Sensing System for Safety of Urban Facilities." Journal of KIIT, 18(1), pp. 143-156. 

  11. Jo, W.R., Yoon, M.H., and Cho, B.H. (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chniques and Institutions according to Case-study of Building Safety Inspection and Detailed Safety Diagnosis." J. Korean Soc. Adv. Comp. Struc., 9(4), pp. 80-9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