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그릿, 진로준비 행동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i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Healthcare major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9, 2020년, pp.257 - 264  

박정희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윤병길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그릿, 진로준비 행동을 살펴보고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D소재 일개 4년제 대학 보건계열 대학생 24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그릿은 3.32점, 진로준비 행동은 2.87점, 학업 성취도는 3.44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 성취도는 학과선택 동기, 전공 만족도, 학교생활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릿, 진로준비 행동, 학업 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업 성취도는 그릿, 진로준비 행동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 만족도(β=.279 p<.001)와 그릿(β=.224 p=.001)이었으며 설명력은 23%였다. 전공 만족도와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다양한 학습 전략을 모색하여 학업 성취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gri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healthcare major college students and to analyze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n 241 students at an university in D-city. The scores for grit, c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그릿, 진로준비 행동을 살펴보고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그릿, 진로준비 행동을 살펴보고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향후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학업 성취도에 영향이 있는 요인으로는 전공 만족도, 그릿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그릿, 진로준비 행동을 살펴보고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향후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 대학생의 그릿, 진로준비 행동을 살펴보고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그릿, 진로준비 행동을 살펴보고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여 향후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의료계열이 많은 학생의 선택을 받아온 이유는? 대부분 진로선택은 적성, 흥미, 장래희망 등 본인이 자의에 의한 선택보다는 성적에 따라 대학교와 학과를 선택하게 되거나 졸업 후 취업률이나 가족이나 선생님의 권유처럼 타의에 의해 학과를 결정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대체적으로 보건의료계열은 높은 취업률로 그동안 많은 학생의 선택을 받아 왔다[1]. 하지만 대학생이 되어 적성이나 흥미가 전공 분야와 일치하지 않으면 전공학문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낮은 전공 만족도로 이어져 대학생활 적응과 현실적인 진로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2, 3].
대부분의 진로선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대부분 진로선택은 적성, 흥미, 장래희망 등 본인이 자의에 의한 선택보다는 성적에 따라 대학교와 학과를 선택하게 되거나 졸업 후 취업률이나 가족이나 선생님의 권유처럼 타의에 의해 학과를 결정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대체적으로 보건의료계열은 높은 취업률로 그동안 많은 학생의 선택을 받아 왔다[1].
그릿 척도는 어떻게 구성되어있는가? 그릿 척도는 Duckworth & Quinn(2009)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그릿[18]을 이정림, 권대훈(2015)이 수정 보완한 그릿 척도를 사용하였다. 척도는 노력 지속적 척도와 흥미 일관성 척도로 구성되며 노력 지속성 척도는 8문항으로 장기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며 흥미 일관성 척도는 4문항으로 장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관성 있는 관심을 갖는 것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정림 권대훈[19]의 연구에서는 신뢰도(Cronbach’s α)는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T. H. Kim, T. H. Yoon & Y. Kim.(2011). A Study on the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1)1, 49-57. DOI:http://www.riss.kr/link?idA100716991 

  2. M. H. Yang, M. J. Park & H. J. Kim.(2010). The Effect of Congruence, Score Elevation & Types of Interest o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Satisfaction with Major,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rch, 29(2), 137-156. DOI:http://www.riss.kr/link?idA82400532 

  3. J. H. Lee & H. J Jang.(2018). Influence of th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on Job-seeking Stress of Nursing and Public Health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35)2, 454-462. DOI:http://dx.doi.org/10.12925/jkocs.2018.35.2.454 

  4. J. H. Park & B. G. Yoon.(2018). Capability of empathy and resilience among healthcar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22)3, 117-129. DOI:https://doi.org/10.14408/KJEMS.2018.22.3.117 

  5. K. S. Choi. (2010).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s's intention to decide dropout, Korean Business Review, (3)11, 96-118. DOI:http://www.riss.kr/link?idA82325123 

  6. I. H. Moon, J. N. Jeong & M. H. Seo.(2019). Learnin Strategies Influencing factor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55, 407-416. DOI:https://doi.org/10.14400/JDC.2019.17.5.407 

  7. S. M. Park, J. Y. Park & P. G. Kim.(2018). A Study on the Mediation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College Students' Social Supports and College Adjustm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9, 684-695. DOI:http://dx.doi.org/10.5392/JKCA.2018.18.09.684 

  8. A. Duckworth. (2016).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New York: Scribner, 1-416. 

  9. J. Y. Jeong, Y. S. Seo, J. H. Choi, S. H. Kim, M. S. Lee, S. H. Hong, J. S. Choi & D. E.Park.(2019). The Influence of Grit on Turnover Inten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nvolv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9)2, 181-190. DOI:http://dx.doi.org/10.4040/jkan.2019.49.2.181 

  10. E. Jeong & M. R. Jung.(2018).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Student on Gri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9, 309-317. DOI:http://dx.doi.org/10.14400/JDC.2018.16.9.309 

  11. B. Jin & J. Kim. (2017). Grit, basic needs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Individual Differences, (38)1, 29-35. DOI: https://doi.org/10.1027/1614-0001/a000219 

  12. M. R. Jung & E. Jeong.(2018). Effects of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 on Grit. Th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6, 414-423. DOI:http://dx.doi.org/10.5392/JKCA.2018.18.06.414 

  13. J. I Jin & N. C. Kim. (2017) Grit, Academic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 175-183.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7.23.2.175 

  14. S. Y. Cho & S. S. Lee. (2006).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n the Korean Adult College Student' Education Attainment,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19)1, 127-140. DOI:http://www.riss.kr/link?idA101308915 

  15. H. S. Kim.(2019).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2)3, 25-41. DOI:https://doi.org/10.32341/JCER.2019.09.32.3.25 

  16. S. E. Heo. (2016). Convergence Study o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ervice Experience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Society, 7(4), 85-96. DOI:http://dx.doi.org/10.15207/JKCS.2016.7.4.085 

  17. H. K. Cho & I. S. Jung.(2018)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freshme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25-32. DOI:http://dx.doi.org/10.22156/CS4SMB.2018.8.3.025 

  18. A. Duckworth & P. D. Quinn.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19. J. L. Lee & D. H. Kwon.(2013).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ocus of Control, Mindset,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23)11,245-264. 

  20. S. K. Park. (2013).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OI:http://www.riss.kr/link?idT13109772 

  21. Y. O. Park, S. J. Park & J. Hur. (2017). A tudy on the Effects of Employment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Employment Community Commitment,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eking Behavior."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7)2, 103-124. 

  22. J. H. Ko & M. O. Gu. (2020). Convergence Study on Mediating Effect of Clinic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4, 369-380. DOI:http://dx.doi.org/10.15207/JKCS.2020.11.4.369 

  23. D. S. Park. (2014). The Effects of Satisfaction in their Departments of Health College Students and the Types for Career Decision on Career Preparatory Behavior, Journal of digita convergence,(12)10, 415-423.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4.12.10.415 

  24. J. M. Kim & J. C. Kim.(2019). The Effects of Colleg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5)5, 273-288. DOI:https://doi.org/10.24159/joec.2019.25.5.273. 

  25. B. W. Kim.(2010). The Relationship of Resil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Woman, The Journal of Career Edu Research. (23)4, 93-111. DOI:http://www.riss.kr/link?idA101308954 

  26. H. S. Kim. (2019).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32)3, 25-41. DOI : 10.32341/JCER.2019.09.32.3.25 

  27. H. S. Kang.(2010). The Relationship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tress Confronta -tion Strateg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23)3, 141-155. DOI:http://www.riss.kr/link?idA101308989 

  28. Y. Cho & J. Jeong. (2017). A Meta-analysis of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30(3), 129-150. DOI:10.32341/JCER.2017.09.30.3.129 

  29. M. J. Kim. (2016). Effect of Career barrier on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Self-Regulation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29)2, 89-107. DOI:http://www.riss.kr/link?idA101929425 

  30. J. Park & K. Cho. (2019) The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32(1)1, 61-76. DOI:10.32341/JCER.2019.03.32.1.61 

  31. M. H. Kang, S. H. Yoon, D .H. Kim & D. H. Ryoo.(2016).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Gri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Major Interest of Natural Science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Vacational Education Research, (35)4,109-129. DOI:http://www.riss.kr/linkidA102090679. 

  32. E. S. Seo & K. A. Chung.(2015).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Major,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elf-Esteem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at a University on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 Vis. SCI,(17)3,213-215. DOI:http://www.riss.kr/link?idA104756124 

  33. Y. H. Kim.(2016).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Freshman. Journal of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1, 104-113. DOI:http://dx.doi.org/10.5762/KAIS.2016.17.11.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