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신규 간호사의 태움 경험
Experiences of Workplace Bullying among New Nurses in General Hospital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9, 2020년, pp.35 - 42  

박점미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상 간호 현장에서 종합병원 신규 간호사의 태움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간호 환경 개선 및 태움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한 조직적 차원에서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였고 자료 수집은 심층 면담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임상 간호 현장에서 태움을 경험한 신규 간호사 7명이었다. 연구 결과 신규 간호사의 태움 경험은 3개의 주제와 7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3개의 주제는 '태움으로부터 의연해 지기 위하여 도피처를 찾아해맴', ' 모든 사람들로부터 갑질을 당함', ' 정신적, 신체적으로 병들어감'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종합병원 신규 간호사들의 태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 실무 현장에서 이들이 전문직 간호사로 성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workplace bullying among new nurses in general hospital. Method: Participants were 7 new nurses in 3 hospitals located S city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 depth interviews with open ended questions from September to Dec...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한 태움은 무엇인지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신규간호사로부터 생생한 체험을 그대로 들어볼 수 있는 전통적 내용분석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신규 간호사가 간호현장에서 경험한 태움 경험은 무엇인지 기술하고자 한다.
  • 우선, 연구자는 신빙성을 높이기 위하여 종합병원 신규 간호사와 라포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인터뷰 시 자신의 태움 경험을 솔직하고 편안하고 이야기 할 수 있도록 독려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 중 2명의 참여자에게 연구자가 필사한 인터뷰 내용 및 도출된 결과를 보여주면서 참여자 자신의 경험에 대한 진술과 연구자가 작성한 내용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거쳤으며, 인터뷰 자료 외에 관련 논문 및 임상 현장 사례집과 같은 관련 자료를 다양하게 수집하며 종합병원 신규 간호사의 태움 경험에 관하여 깊이 있게 고찰하고자 노력하였다. 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참여자가 드러내는 내용이 반복적으로 나타나서 더 이상 새로운 자료가 나오지 않는 포화상태가 될 때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 실무에서 태움을 경험한 종합병원 신규 간호사의 체험을 파악하고자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신규간호사가 경험한 태움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태움으로부터 의연해 지기 위하여 도피처를 찾아해맴’, ‘ 모든 사람들로부터 갑질을 당함’, ‘ 정신적, 신체적으로 병들어감’ 의 3개의 주제와 이들 주제에 포함된 8개의 범주 묶음이 도출되었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태움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고자 시도된 질적 연구로 종합병원 신규 간호사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태움의 경험을 이해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사 집단의 위계적 문화, 의료기관의 권위적 분위기, 환자의 간호직에 대한 이해 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키고 신규간호사들이 전문직으로 자긍심을 가지고 일할 수 있도록 개인과 조직 차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Lincoln과 Guba [16]가 제시한 4가지 즉, 신빙성(credibility), 적합성(fittingness), 감사가능성(auditability), 확증성(confirmability)의 기준에 근거하여 연구의 엄밀성을 지키고자 하였다. 우선, 연구자는 신빙성을 높이기 위하여 종합병원 신규 간호사와 라포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인터뷰 시 자신의 태움 경험을 솔직하고 편안하고 이야기 할 수 있도록 독려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신규 간호사의 태움에 대한 다양한 경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근무 부서 및 연령 과 관하여 제한을 두지 않았다. 참여자는 간호사 게시판에 연구에 대한 설명 및 자원모집에 대한 공고를 시행한 후,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여 태움에 대한 경험에 대하여 진솔하게 인터뷰를 할 수 있는 대상자로 표집 하였다.
  • 첫째, 종합병원 신규 간호사의 태움 경험을 개별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녹음하고 필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의 기술(protocols)를 반복하여 들으며 종합병원 신규 간호사가 진술하는 태움 경험에 대한 느낌을 얻기 위해 노력하였다. 둘째, 종합병원 신규 간호사의 태움 경험을 의미하는 현상을 나타내는구나 문장으로부터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는 진술을 찾고, 밑줄을 긋는 과정을 거치며 유사한 의미의 진술들과 반복되는 진술을 취한 후, 비슷한 진술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진술을 추출한 후 나머지는 생략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태움을 경험한 종합병원 신규 간호사의 태움 경험과 관련된 다양한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태움을 경험한 종합병원 신규 간호사의 경험의 본질은 어떠한 것인가?’이다.
  • 본 연구자는 30년간 종합 병원 간호사로서 근무한 경험이 있으며 신규 간호사의 태움에 대한 양상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다양하게 경험을 한 적이 있어 태움으로 인하여 간호사가 받는 영향에 대한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민감성을 갖추었다. 또한 질적 연구를 출판한 경험이 있으며, 신규 간호사의 태움 현상에 대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을 30여 편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저도 죽지 않을 정도로만 다치면 출근 안 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하구요..진짜 힘들 땐 그냥 죽는 게 나을까? 라는 생각도 해 보았구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규 간호사가 겪는 어려움은? 2020년 국내에서 간호사 면허를 취득한 신규간호사는 21,582명으로[1] 매년 1만 명 이상의 신규간호사들이 배출되고 있다[2]. 임상 현장에 입사한 신규 간호사는 신속성과 정확성을 요구하는 간호업무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하며, 미숙한 전산 업무, 환자나 보호자 응대 등으로 직무 스트레스를 겪으며 조직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임상 간호 실무 환경에서 파생된 ‘태움’이라는 용어는 선배 간호사가 신규 간호사를 감정이 토로된 상태로 윽박지르고, 혼을 낼 때 신규 간호사가 ‘까맣게 탈 때까지’ 정서적으로 고통을 준다고 하여 생겨난 용어로 간호사간 직장 내 폭력, 괴롭힘이나 집단 따돌림 등의 말과 혼용되어 쓰이고 있다[3].
태움이란 용어의 의미는? 임상 현장에 입사한 신규 간호사는 신속성과 정확성을 요구하는 간호업무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하며, 미숙한 전산 업무, 환자나 보호자 응대 등으로 직무 스트레스를 겪으며 조직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임상 간호 실무 환경에서 파생된 ‘태움’이라는 용어는 선배 간호사가 신규 간호사를 감정이 토로된 상태로 윽박지르고, 혼을 낼 때 신규 간호사가 ‘까맣게 탈 때까지’ 정서적으로 고통을 준다고 하여 생겨난 용어로 간호사간 직장 내 폭력, 괴롭힘이나 집단 따돌림 등의 말과 혼용되어 쓰이고 있다[3]. 우리나라에서 간호계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이슈가 된 간호현장에서 태움은 신규 간호사의 신입 실무 적응 과정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용어[4]로 신규 간호사들이 임상 현장에서 업무 적응을 하면서 자리를 잡아나가는 과정에서 통과의례처럼 유발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5].
태움과 같은 직장 내 폭력이 신규간호에게 많이 일어나는 이유는? 5%는 성폭력을 경험했던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하여 보았을 때 임상 현장에서 일어나는 태움과 같은 직장 내 겪는 폭력은 비단 우리나라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님을 알 수 있다. 특히 신규 간호사는 경험이 부족하고 익숙하지 않은 업무로 인해 도움에 의존해야 하는 취약한 위치에 있어 직장 내 폭력에 노출되는 빈도가 높은 취약 집단이다[10]. 또한, 간호 조직 내의 괴롭힘 현상은 연령이 낮고 [11], 경력이 짧은 신규간호사일수록 괴롭힘을 많이 경험하는 것이 특징이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nouncement of successful applicants. (2020) Nurse announcement of successful applicants [Internet]. Seoul: Korea Health Personnel Examination Institute; [cited 2020 June 8]. (Online). www.kuksiwon.or.kr/Examination/InquireSuccessMain.aspx 

  2. E. A. Cho & J. Y. Kang. (2015). Influ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resilience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22(2), 78-86. DOI : 10.5953/JMJH.2015.22.2.78 

  3. J. Y. Kang & S. Y. Yun. (2016).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nurses' experience with workplace bully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2), 226-237. 

  4. H. M. Son, M. H. Koh, C. M. Kim, & J. H. Moon. (2001). The clinical expression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6), 988-997. 

  5. S. H. Chung & I. S. Lee. (2016) Qualitative research on nurses experiencing taeoo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3), 238-248. 

  6. Y. J. Lee & M. H. Lee. (2014). Development and validity of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type inventory (WPBN-T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2), 209-218. DOI : 10.4040/jkan.2014.44.2.209 

  7. S. B. Kwon, H. Y. Ahn, M. H. Kwak, & S. H. Yun. (2019). Conflicts experienced by the nurses in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ion, 25(5), 499-509. 

  8. P. A. Berry, G. L. Gillespie, D. Gates, & J. Schafer. (2012). Novice nurse productivity following workplace bullying.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4(1), 80-87. 

  9. S. T. Tsai, C. H. Han, L. F. Chen, & F. H. Chou. (2014). Nursing workplace bullying and turnover intention: an exploration of associated factors at a medical center in Southern Taiwan. Hu Li Za Zhi, 61(3), 58. 

  10. K. L. Rush, M. Adamack, J. Gordon, & R. Janke. (2014). New graduate nurse transition programs: Relationships with bullying and access to support. Contemporary Nurse, 48(2), 219-228. 

  11. D. Yildirim. (2009). Bullying among nurses and its effect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6(4), 504-511. 

  12. D. A. Vogelpohl, S. K. Rice, M. E. Edwards, & C. E. Bork. (2013). New graduate nurses' perception of the workplace: Have they experienced bullying?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9(6), 414-422. 

  13. L. M. Smith, M. A. Andrusyszyn, & H. K. Spence Laschinger. (2010). Effects of workplace incivility and empowerment on newly­ graduated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8(8), 1004-1015. 

  14.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Valle RS, King M, editor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48-71 

  15. N. I. Lee. (2010). Phenomen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9(0), 91-121. 

  16. Lincol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1985. p. 289-331. 

  17. C. V. Anusiewicz, M. R. Shirey, & P. A. Patrician. (2019). Workplace bullying and newly licensed registered nurses: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Workplace Health & Safety, 67(5), 250-261. 

  18. M. Y. Kim, S. J. Ha & S. S. Jun. (2018). The clinical experience of adaptation as novice psychiatric nurses. Global Health and Nursing, 8(1). 17-28. 

  19. J. W. Im & J. Y. Lim. (2020). Influences of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ion, 26(2), 130-141. DOI : 10.11111/jkana.2020.26.2.130 

  20. H. Y. Jung, H. H. Sim, H. J. Woo, D. H. Lee, & N. E. Kim. (2019). A study on the workplace bullying of nurs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12), 767-780. DOI : 10.35873/ajmahs.2019.9.12.068 

  21. Y. J. Lee & M. H. Lee. (2014). Development and validity of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type Inventory (WPBN-T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2), 209-218. DOI : 10.4040/jkan.2014.44.2.209 

  22. K .K Kim, G. Y. Kim, & B. K. Kim. (2020). New nurses' experience of turnover: a qualitative meta-synthe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ion, 26(2), 84-99. DOI : 10.11111/jkana.2020.26.2.84 

  23. S. Y. Kim, K. O. Park, & J. K. Kim. (2013). Nurses' experience of incivility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4), 453-467. DOI : 10.4040/jkan.2013.43.4.4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