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lience o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9, 2020년, pp.443 - 450  

홍세화 (한일장신대학교 간호학과) ,  김지수 (한일장신대학교 간호학과) ,  주도빈 (한일장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회복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함이다. 2019년 9월 26일부터 10월 12일까지 W군에 위치한 일 개 대학 간호대학생 230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부적절한 응답자를 제외한 197명의 자가보고 설문지를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r=-.46,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학업성취도(r=.48,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회귀분석 결과 회복탄력성 하위영역 중 사회적지지, 조직적 스타일, 긍정성은 학업스트레스에 대해 28.4%(F=24.80, p<.00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고 관계성, 자신감은 학업성취도에 대해 22.7%(F=27.80, p<.001)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를 관리하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지지, 조직적 스타일, 긍정성, 관계성, 자신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resilience,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 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in 197 nursing students from September 26 to October 12,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3.0. As a result thi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학업스트레스, 학업성취도 정도 및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회복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학업스트레스, 학업성취도 정도 및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학업스트레스, 학업성취도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 및 회복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학업스트레스, 학업성취도 정도와 이들 간의 상관관계, 회복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구체적 중재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들이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연령대인 이유는? 대학생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가는 과도기이며, 사회인이 되기 전 준비단계로 급격한 사회 환경의 변화를 견뎌야 하는 집단이다. 대학생활에의 적응, 미래에 대한 불안감, 직업선택, 진로 및 취업준비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연령대에 속해 있으며[1,2], 통계청의 조사결과에서도 대학생이 포함되어 있는 20대의 스트레스 정도가 30대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
간호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요인은? 간호대학생은 일반학과 대학생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4],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 관련 선행연구들은 가장 높은 스트레스 요인으로 학업문제, 학업부담감을 제시하였다[5,6]. 그 이유로 입학 초기부터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의학용어와 함께 과중한 분량의 전공과목 이론수업, 뿐만 아니라 교내에서 실시되는 핵심기본간호술기의 습득, 병원과 지역사회 기관 등의 낯설고 다양한 외부환경에서의 실습 및 실습 중 발생하는 과제물에 대한 부담감, 간호사 국가 시험을 준비해야 하고 합격해야 한다는 심리적 압박감이 거론된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 H. Lee & S. J. Kim. (2012).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elf 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3), 453-464. DOI : 10.5932/JKPHN.2012.26.3.453 

  2. D. Sarokhani, A. Delpisheh, Y. Veisani, M. T. Sarokhani, R. E. Manesh & K. Sayehmiri. (2013). Prevalence of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tudy. Depression Research and Treatment, 2013, 1-7. DOI : 10.1155/2013/373857 

  3. Statistics Korea. (2017).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ejeon: Statistics Korea.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pi/8/6/2/index.board?bmoderead&aSeq351216 

  4. H. S. Hong & H. Y. Kim. (2016). Effect of academic stress, clinical practice stress, resilience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2), 221-234. DOI : 10.35873/ajmahs.2016.6.2.024 

  5. P. N. Park. (2016).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type and self-esteem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9(1), 1-10. DOI : 10.15434/kssh.2016.29.1.1 

  6. S. K. Choi. (2019).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a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4), 807-815. DOI : 10.9728/dcs.2019.20.4.807 

  7. Y. J. Ko, M. S. Jung & K. S. Park. (2013). Effects of aroma inhalation method on test anxiety, stress response and serum cortisol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4), 410-418. DOI : 10.7739/jkafn.2013.20.4.410 

  8. J. W. Lee & Y. S. Eo. (2013). Effect of clinical stress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7(2), 125-134. DOI : 10.12811/kshsm.2013.7.2.125 

  9. Y. J. Son, Y. A. Song & E. Y. Choi.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8(4), 345-351. 

  10. J. I. Lee & J. H. Kim.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essential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1(2), 227-246. 

  11. S. Y. Tak, Y. S. Park & U. C. Kim. (2005). A case study through counseling for adolescents under probatio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4(1), 69-81. 

  12. H. S. Lee & N. R. Kim. (2016). The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ademic stress,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health administration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0(6), 291-299. DOI : 10.21184/jkeia.2016.12.10.6.291 

  13. S. H. Shin. (2016).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resilience on nursing students' depress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1), 14-24. DOI : 10.5977/jkasne.2016.22.1.14 

  14. S. Y. Yun & S. H. Min. (2014).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piritual well-being on college adjustment in major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2), 395-403. DOI : 10.14400/JDC.2014.12.12.395 

  15. A. Rudman & J. P. Gustavsson. (2012). Burnout during nursing education predicts lower occupational preparedness and future clinical performance: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9(8), 988-1001. DOI : 10.1016/j.ijnurstu.2012.03.010 

  16. L. V. Polk. (1997). Toward a middle-range theory of resilienc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3), 1-13. DOI : 10.1097/00012272-199703000-00002 

  17. J. H. Kim. (2011). Resilience. Seoul : Wisdomhouse. 

  18. B. M. Gillespie, W. Chaboyer, M. Wallis & P. Grimbeek. (2007). Resilience in the operating room: Developing and testing of a resilience mode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9(4), 427-438. DOI : 10.1111/j.1365-2648.2007.04340.x 

  19. E. H. Jo. (2019). Mediating effects of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stress and anxiety with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10), 677-688. DOI : 10.35873/ajmahs.2019.9.10.058 

  20. Y. H. Yang, E. M. Kim, M. Yu, S. M. Park & H. Y. Lee. (2015). Development of the resilience scale for Korean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3), 337-346. DOI : 10.7475/kjan.2014.27.3.337 

  21. M. H. Oh & S. M. Cheon. (1994). Analysis of academic stressors and symptoms of juveniles and effects of meditation training on academic stress reduction.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15, 63-96. 

  22. Y. G. Lee. (2014). The difference between undergraduates' academic stress on dysfunctional attitudes and academic emo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3. A. P. Rovai, M. J. Wighting, J. D. Baker & L. D. Grooms. (2009).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perceived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learning in traditional and virtual classroom higher education setting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2(1), 7-13. DOI : 10.1016/j.iheduc.2008.10.002 

  24. J. H. Park, E. H. Lee & S. H. Bae. (2010).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in E-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2), 182-190. DOI : 10.4040/jkan.2010.40.2.182 

  25. E. K. Kim, J. Y. Yu & J. L. Lee. (2019).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transitional shock and resilience on academic burnout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0), 319-336. DOI : 10.22251/jlcci.2019.19.20.319 

  26. W. G. Choi. (2016). The effect of parental attitudes on academic achievements of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7. H. J. Lee. (2017). Convergence differences of academic burnou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tc. by resilience clusters of students majoring in Medical record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4), 67-77. DOI : 10.15207/JKCS.2017.8.4.067 

  28. B. J. Kim. (2020). A study of the effects of Keller's ARCS Motivational Model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business major English clas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2), 213-221. DOI : 10.14400/JDC.2020.18.2.2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