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calculate the Crop Water Stress Index (CWSI), it is necessary to collect weather data (air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and solar radiation) and canopy temperature. However, it is not always available to have necessary data sets for CWSI calcul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사량과 상관관계가 좋은 CWSI와 엽온과 대기온도의 차이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규 분포의 형태로 표현 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각 항목에 대한 분포 및 주기성을 확인하고, 시간 (x축) 과 엽온과 대기온도의 차이 (y축) 그리고 CWSI (z축)에 대한 3차원 가우시안 분포 모형으로 표현이 가능한지 확인하여, CWSI 간편식 (CWSI easy equation, CWSIEE) 개발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CWSI 산정이 필요한 현장에서 엽온과 관련된 최소의 인자를 관측하여 계산할 수 있는 간편식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CWSI와 엽온과 대기 온도 사이의 차이 그리고 측정 시간 사이의 주기성을 확인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CWSI를 산정 할 수 있는 간편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전북 전주시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사과나무 재배지에서 CWSI 산정을 위한 모니터링을 하였다. 사과 나무의 엽온(Canopy Temperature, Tc)과 시험 포장의 대기 온도 (Air Temperature, Ta), 습도, 일사량, 풍속, 강우 등의 기상을 관측하였으며, 2018년에는 7월 1일에서 9월 30일까지, 2019년에는 6월 1일에서 9월 30일까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물 수분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은 무엇이 효과적인가? 작물의 수분 상태는 토양 수분을 측정하는 것보다 여러 요인에 따른 작물의 반응을 측정하는 것이 더 민감하다 (Jones, 2010). 또한, 작물 수분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한데, 측정 과정이 쉽고 신속한 적외선 온도측정을 통한 작물 수분 스트레스 지수 (Crop Water Stress Index, CWSI)를 산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O’Shaughnessy et al., 2012).
작물 스트레스는 어떤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 작물 스트레스는 생물학적 요인과 비생물학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해충과 작물의 병 등으로 발생하는 생물학적 스트레스와 달리 비생물학적 스트레스는 물 부족, 가뭄, 냉해 그리고 고온과 같이 주변 환경의 변화 등으로 발생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해 작물은 능동적으로 내적 저항성을 증가시키거나, 생육을 조절하는 방법 등으로 작물 내부의 체계를 조절한다 (Dresselhaus and Hűckelhoven, 2018; Bohnert et al.
작물 스트레스 중 비생물학적 스트레스는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는가? 작물 스트레스는 생물학적 요인과 비생물학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해충과 작물의 병 등으로 발생하는 생물학적 스트레스와 달리 비생물학적 스트레스는 물 부족, 가뭄, 냉해 그리고 고온과 같이 주변 환경의 변화 등으로 발생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해 작물은 능동적으로 내적 저항성을 증가시키거나, 생육을 조절하는 방법 등으로 작물 내부의 체계를 조절한다 (Dresselhaus and Hűckelhoven, 2018; Bohnert et al., 2006; Song and Lee,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gam, N., Y. Cohen, V. Alchanatis, and A. Ben-Gal, 2013. How sensitive is the CWSI to changes in solar radi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4(17): 6109-6120. doi:10.1080/01431161.2013.793873. 

  2. Bohnert, H. J., Q. Gong, P. Li, and S. Ma, 2006. Unraveling abiotic stress tolerance mechanisms-Getting genomics going.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9(2): 180-188. doi:10.1016/j.pbi.2006.01.003. 

  3. Choi, Y., M. Kim, W. Oh, J. Cho, S. Lee, Y. Kim, J. Jeon, and S. Yun, 2019. Statistical analysis of determining optimal monitoring time schedule for crop water stress index (CWS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1(6): 73-79 (in Korea). doi:10.5389/KSAE.2019.61.6.073. 

  4. Choi, Y. M., S. M. Jung, and D. G. Choi, 2017. Effects of heavy rain during rainy season and drainage methods on soil water content, photosynthesis characteristics, and growth in 'jinok' and 'campbell early' grap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9(1): 1-9 (in Korean). doi:10.5532/KJAFM.2017.19.1.1. 

  5. Dresselhaus, T., and R. Huckelhoven, 2018. Biotic and abiotic stress responses in crop plants. Agronomy 8(11):267-272. doi:10.3390/agronomy8110267. 

  6. El shazly, S. M., 1996. Estimation of hourly and daily global solar radiation at clear days using an approach based on modified version of gaussian distribution.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13(3): 349-358. 

  7. Guo, Z., 2017. Daily variation low of solar radiarion flux density incident on the horizontal surface. Journal of Earth Science & Climatic Change 8(9): 1000412. doi:10.4172/2157-7617.1000412. 

  8. Jackson, R. D., S. B. Idso, R. J. Reginato, and P. J. Pinter Jr., 1981. Canopy temperature as a crop water stress indicator. Water Resources Research 17(4): 1133-1138. doi:10.1029/WR017i004p01133. 

  9. Jeong, H., R. Jeong, J. Ryu, D. Oh, S. Choi, and J. Cho, 2019. Preliminary growth chamber experiments using thermal infrared image to detect crop diseas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1(2):111-116 (in Korea). doi:10.5532/KJAFM.2019.21.2.111. 

  10. Jones, H. G., 2010. Remote detection of crop water stress and distinguishing it from other stresses. XXVIII International Horticultural Congress on Science and Horticulture for People (IHC2010): International Symposium on 922, 23-34. doi:10.17660/ActaHortic. 2011.922.2. 

  11. Kim, M., Y. Choi, J. Cho, S. Yun, J. Park, Y. Kim, J. Jeon, and S. Lee, 2019. Response of crop water stress index (CWSI) and canopy temperature of apple tree to irrigation treatment schem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1(5): 23-31 (in Korea). doi:10.5389/KSAE.2019.61.5.023. 

  12. Lee, H. S., S. K. Kim, H. J. Lee, J. H. Lee, S. An, and S. G. Lee, 2019. Development of crop water stress index for kimchi cabbage precision irrigation control.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7(4): 490-498 (in Korea). doi:10.7235/HORT.20190049. 

  13. Li, L., D. C. Nielsen, Q. Yu, L. Ma, and L. R. Ahuja, 2010. Evaluating the crop water stress index and its correlation with latent heat and $CO_{2}$ fluxes over winter wheat and maize in the North China plain.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97(8): 1146-1155. doi:10.1016/j.agwat.2008.09.015. 

  14. Limpus, S., 2009. Isotropic and anisotropic characterisation of vegetable crops. Department on Primary Industries and Fisheries, Queensland. 

  15. Nam, S. W., Y. S. Kim, and D. U. Seo, 2014. Change in the plant temperature of tomato by fogging and airflow in plastic greenhouse.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3(1): 11-18 (in Korean). doi:10.12791/KSBEC.2014.23.1.011. 

  16. O'Shaughnessy, S., S. R. Evett, P. D. Colaizzi, and T. A. Howell, 2012. A crop water stress index and time threshold for automatic irrigation scheduling of grain sorghum.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107: 122-132. doi:10.1016j.agwat.2012.01.018. 

  17. Song, E. Y., and J. H. Lee, 2012. Plant responses to environmental stresses. Nanotechnology in Biomedical Science 32(4): 27-34 (in Korean). 

  18. Woo, Y. H., 2013. Moisture and measuring and control in soil and plant. https://www.af.ac.kr/planweb/board/download.9is?fileUid0000000052e385d90152ed26d5432e9e&boardUid816ac6da51a3db470151b3d169a5019b. 

  19. Yun, S. K., S. J. Kim, E. Y. Nam, J. H. Kwon, Y. S. Do, S. Y. Song, M. Kim, Y. Choi, G. Kim, and H. Shin, 2020. Evaluation of water stress using canopy temperature and crop water stress index (CWSI) in peach trees.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9(1): 20-27 (in Korea). doi:10.12791/KSBEC.2020.29.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