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이 옹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Sensitivity of Human Rights and the Advocacy Activities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10 no.2, 2020년, pp.11 - 24  

김지만 (부산대학교병원) ,  홍기훈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춘엽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희정 (고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국내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 및 옹호활동을 조사하고 상관관계 및 인권감수성이 옹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국내 작업치료사 면허를 소지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기간은 2019년 5월 1일부터 6월 1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 볼 수 있는 7가지 문항과 인권감수성을 측정할 수 있는 6가지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36가지 문항 그리고 옹호활동을 측정할 수 있는 7가지 문항을 포함하여 총 50문항의 문항의 설문을 배포, 수집하여 총 116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 평균은 69.00 ± 17.67점이었고, 인권감수성 3가지 하위영역별 평균은 상황지각(23.25 ± 5.62), 책임지각(23.00 ± 6.54), 결과지각(22.75 ± 6.5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은 여성이 남성보다, 미혼이 기혼보다 높았고 근무지역에 따라 서울이 경상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근무기관에 따라서는 대학/종합병원, 재활/요양병원이 기타 기관보다 높은 인권감수성을 보였으며, 근무분야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이 기타 대상에 작업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집단보다 더 높은 인권감수성을 보였다.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옹호활동의 차이는 근무지역, 근무기관, 임상경력에서 차이가 있었다. 근무지역에 따라 옹호활동은 서울, 경기도가 경상도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근무기관에 따라서는 재활/요양병원이 기타 기관과, 대학/종합병원보다 더 높았다. 임상경력에 따른 차이는 3~5년차와 6~10년차가 11년차 이상보다 옹호활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인권감수성의 3가지 하위영역과 옹호활동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권감수성이 옹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양(+)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였고, 이때 옹호활동 변수의 40.5%를 설명하였다(F=79.288). 인권감수성의 3가지 하위영역을 독립변인으로 동시에 투입하여 옹호활동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옹호활동에 대하여 상황지각과 결과지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책임지각은 양(+)의 방향으로(p<.001)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책임지각이 1점 증가할 때마다 옹호활동은 .076점만큼 증가하였고, 이때 옹호활동 변수의 43.4%를 설명하였다(F=79.288). 결론 : 인권감수성과 옹호활동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인권감수성 3가지 하위영역 중 책임지각 변수가 옹호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작업치료사의 옹호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인권감수성의 개념이 포함된 인권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Human Rights constitute one of the basic pillars of every work where persons are involved, such is the case of the occupational therapy field. Method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he advocacy activiti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The differenc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Rest(1986)의 한 사람이 인권을 옹호하는 4단계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마지막 4단계에서 인내심이나 의지 등이 필요한 인권을 옹호하는 행동에 연관된 성격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을 연구가설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과 옹호활동의 상관관계 및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론적인 인권교육을 벗어나 옹호활동으로 확장하여 행동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인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논의를 개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옹호활동이란? 인권 관련한 상황에서 옹호활동은 자신의 권리를 인식, 주장하고 타인의 권리를 존중, 보호하는 행동, 인권침해로 고통당하는 타인을 위해 적극적으로 타인의 인권을 옹호하는 행동을 말한다(Lee, 2004). 옹호의 주체가 전문가인 경우 옹호는 크게 미시적 차원의 사례옹호와 거시적 차원의 명분옹호, 정책옹호로 구분할 수 있다고 하였다(Cho, 2003).
인권감수성이란? 인권감수성이란 인권문제가 개재되어 있는 상황에 대해 인권관련 상황으로 지각하며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인권관련 상황에서 가능한 행동이 연관된 사람들 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알면서 나 자신에게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책임이 있다고 인식하는 심리적인 과정이다(Moon, 2002). 국가인권위원회(NHRCK)의 인권감수성 지표개발 연구에서는 인권감수성을 구성하는 요소를 상황 지각, 결과 지각, 책임 지각으로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하였다.
인권감수성을 측정하기 위한 3가지 하위영역은? 에피소드는 인권감수성을 측정하기 위한 사례로 이를 측정하기 위해 인권감수성을 구성하는 3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된다. I번은 상황지각, Ⅱ번은 결과지각, Ⅲ번은 책임 지각을 알아보기 위한 Likert 5점 척도의 2가지 문항으로 각각 구성된다. 첫 번째 문항은 인권감수성과 관련되지 않는 다른 가치인 비인권평정을 알아보는 문항이고, 두번째 문항은 인권감수성과 관련된 인권가치평정을 알아보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Suppl. 1), S1-S48. doi:10.5014/ajot.2014.682006 

  2. Bong, S., Lee, H. Y., & Jeon, B. J. (2018). A survey on the awareness of bioethics among the occupational therap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6(3), 69-78. 

  3. Cho, H. I. (2003). A study on advocacy strategies and process for the vulnerable clients in the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13(1), 173-194. 

  4. Crawford, E., Aplin, T., & Rodger, S. (2017). Human rights in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 A step towards a more occupationally just global society.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64(2), 129-136. 

  5. Dalkey, N. C., Brown, B. B., & Cochran, S. (1969). The Delphi method: An experimental study of group opinion.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6. Delk, M. A. (2002). Study of the differences in and practice of advocacy among clinical social workers, marriage and family therapists, and mental health counselor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Florida. 

  7. Gabard, D. L., & Martin, W. M. (2003). Physical therapy ethics (1st Ed.). Davis Plus. 

  8. Hong, K. H. (2018). A study on human rights sensitivity in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8(3), 49-57. 

  9. Jang, K. Y., Lee, E. J., & Kong, M. J. (2017). Study on human rights suscepti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5(3), 141-152. 

  10. Jeon, S. Y. (2004). Identification and conceptual definition of advocacy in social work practic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1(1), 91-119. 

  11. Kang, J. Y. (2002). The influence on the action for advocating human-rights by cognitive capability and affective empathy.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Kim, D. J. (2011). A study on the sensibility of human rights and civil liberty activities of the employe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Master's thesis, Wooseok University, Deajeon. 

  13. Kim, M. S. (2019). A study on the effect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n advocacy activities among social workers at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14. Koo, S. Y. (2005). Exploratory study on variables influencing advocacy practice of social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Master's thesis, Seoul woman University, Seoul. 

  15.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 (2017). 윤리강령. Retrieved from https://www.kaot.org/start.asp.html 

  16. Lee, M. H. (2004). A study on the advocacy system for service user in social welfar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2), 29-52. 

  17. Lee, S. H., & Bang, Y. S. (2015).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n the job attitude of occupational therapist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3(1), 95-108. 

  18. Lee, S. J. (2017). A study on the poverty status movement of the elderly. Doctoral dissertation, Hanseo University, Seosan. 

  19. Lee, S. W. (2013). A Study on developing a model of occupational therapy facilit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3(4), 141-159. 

  20. Moon, S. H. (2017). A study on the sensibility of human rights and civil liberty activities of the employe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Master's thesis, Wooseok University, Deajeon. 

  21. Moon, Y. R. (2002). Developing indicators of psychological scale for human rights sensitivity.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22.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NHRCK]. (2002). Developing indicators of psychological scale for human rights sensitivity in Korea. Retrieved from https://www.humanrights.go.kr/site/program/board/basicboard/view?menuid001003001004&searchselectboardtitle&searchword%EA%B0%90%EC%88%98%EC%84%B1&pagesize10&boardtypeid16&boardid483103.html 

  23. Rest, J. R. (1986). Moral development: Advance in research and theory. New York: Praeger, 28-58. 

  24. Schell, B. A. B., Gillen, G., & Scaffa, M. E. (2014). Willard &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2th ed.). Baltimore,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5. Schneider, R. L., & Lester, L. (2001). Social work advocacy: A new framework for action. Wadsworth Thomson Learning. 

  26. Taylor, R. R., & Van Puymbroeck, L. (2013). Therapeutic use of self: Applying the intentional relationship model in group therapy. In J. C. O'Brien & J. W. Solomon (Eds.), Occupational analysis and group process (pp. 36-52). St. Louis, MO: Elsevier. 

  27. Victoria, P. S. (2010). A client-centred, occupation-bas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me for adults with psychiatric diagnoses.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7, 105-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