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비붐 세대의 귀향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Baby boomers' Desire of Homecoming Migration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6 no.3, 2020년, pp.17 - 27  

김지원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강정구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마강래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3을 차지하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새로운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이들은 산업화·도시화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주도해 온 세대로, 또 한 번의 새로운 변화를 주도할 가능성이 있는 세대이다. 특히, 이전 세대와는 달리 이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 중 하나는 은퇴 후 귀향에 대한 욕구를 강하게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상당수의 베이비부머들이 경제적 여력, 고향지역의 열악한 정주여건 등과 같은 개인적·사회적 요인의 제약으로 인해 귀향을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 5인(귀향희망자, 귀향예정자, 귀향자)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관점에 기반한 심층인터뷰를 진행해 이들의 귀향 저해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은 현 거주지인 대도시와 이주희망지인 고향지역 간 상대적 격차를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상대적 격차는 '경제', '의료', '관계', '정주환경' 네가지의 범주로 분류되었고, 이러한 요인이 이들의 귀향 실행의 장벽이 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베이비부머의 귀향정책을 정교화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by boomers are the population group born between 1955 and 1974 in South Korea. They are the generation to grow up in the rural areas and it has been report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that a large part of baby boomers now hopes to return their hometowns after their retirement. The purpose of this...

주제어

표/그림 (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도시 거주 베이비붐 세대가 고향으로 향하는 인구의 흐름이 생각만큼 보편화되지 않을 것이란 의견의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이들의 고향으로 향하는 인구의 흐름이 생각만큼 보편화되지 않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상당수의 베이비부머는 귀향을 원하지만, 경제적 여력, 고향 지역의 열악한 정주환경 등과 같은 개인적·사회적 요인의 제약으로 인해 실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김원동, 2015). 대도시 거주 베이비붐 세대 중 66.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를 두 가지로 구분하면? 1차(1955-1965년 출생자)와 2차(1965-1974년 출생자)로 구분되는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1)는 약 1,700만 명으로 총 인구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우리나라의 경제발전 과정 속에서 도시화를 주도한 집단이다.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후 귀향을 선호하는 이유는?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후 귀향을 선호하는 경향은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인데, 이들은 이전 세대와는 달리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에서 정착해,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남다르다(Cromartie&Nelson, 2009). 상당수의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 또한 산업화·도시화 등 급격한 사회 변동 속에서 진학이나 취업을 이유로 고향을 떠나 대도시로 이동해, 귀향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김원동,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은택.마강래, 2012, 수도권으로의 이동에 따른 경제적 효 과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7(1), pp.33-43. 

  2. 강호제.김창현.민성희.홍사흠, 2018, 고령인구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 연구, 국토연구원. 

  3. 김용주.서정렬, 2013,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에 따른 주거선호특성 분석, 주거환경, 11(1), pp.37-49. 

  4. 김원동, 2015, 베이비붐 세대의 귀농: 향수 너머의 현실과 활성화 방안 탐색, 농촌사회, 25(2), pp.93-144. 

  5. 김창현, 2011,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농촌지역 활성화 전략, 국토연구원. 

  6. 김태헌, 2010, 우리나라 인구전개에서 베이비붐 세대의 의미, 연금포럼, 37, pp.4-11. 

  7. 김혜연.이연숙.윤혜경, 2010, 베이비부머의 은퇴 후 선호하는 주택특성에 관한 연구-서울 강남지역 공동주택거주자를 대상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5), pp.83-92. 

  8. 남기찬, 2013, 베이비붐세대 및 에코세대의 인구동향과 지역 정책에 대한 시사점, 국토정책 Brief, 432, pp.1-6. 

  9. 농림부, 2006,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농촌이주.정착의향 조사. 

  10. 마강래.강정구.이경수, 2019, 지방 인구문제 해결을 위한 귀향지원정책의 구상, 도시정보, 10월호, pp.3-18. 

  11. 박태정, 2013,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삶을 통해 본 일과 은퇴의 경험적 의미에 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13(3), pp.29-57. 

  12. 변우섭, 2012,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주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위기관리논집, 8(2), pp.238-266. 

  13. 서수복, 2010, 베이비붐 세대의 농촌이주 결정요인 분석, 국토연구, 64, pp.21-37. 

  14. 송성환.박혜진, 2018, 농업.농촌에 대한 2017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161, pp.1-24. 

  15. 이관우.김지현, 2018, 은퇴 후 라이프스타일이 주거선호에 미치는 영향분석, 부동산학보, 75, pp.87-100. 

  16. 이영준.이수진, 2016, UJI턴 형태의 지방회귀 및 정주 결정요인, 지역사회연구, 24(2), pp.163-180. 

  17. 이윤수.우석진, 2011, 주관적 기대가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자산축적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31(4), pp.855-870. 

  18. 이수진.허선희.홍순영, 2011, 베이비붐 세대 은퇴에 따른 여가소비문화 활성화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19. 이종상, 2007,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생활에 관한 연구: 주거형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임기흥.백성준, 2014, 한국 베이비붐세대의 은퇴 후 주거선택과 이동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pp.438-449. 

  21. 채종훈.서정원, 2019,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도.농간 비교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1(3), pp.137-157. 

  22. 통계청, 2010, 통계로 본 베이비붐 세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23. 통계청, 2010, 사회조사를 통해 본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 

  24. Creswell, J. W., 2003,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5. Cromartie, J., & Nelson, P, 2009, Baby boom migration tilts toward rural America, Amber Waves, 7(3), pp.6-21. 

  26. Denzin, N. K., & Lincoln, Y. S. (Eds.), 2011,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27. Dukes, S., 1984,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 the human sciences,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23(3), pp.197-203. 

  28. Guba, E. G., & Lincoln, Y. S., 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Newbury Park, CA: Sage. 

  29.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 sourcebook of new method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30. Noy, C., 2008, Sampling Konwlege: The Herme-neutics of Snowball Sampling in Qualitativ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esearch Methodology, 11(4), pp.327-3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