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주거공간으로의 확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ansion of Fully Autonomous Vehicles into Residential Spac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0, 2020년, pp.71 - 79  

이현욱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스마트경험디자인학과) ,  반영환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스마트경험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주거가치의 변동으로 인해, 주거공간 내에서의 다양한 공간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이동과 변형 등이 어려운 주거공간 특성상 최초 구성된 주거 형태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하고 재구성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이동이 가능한 공간 개념의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를 활용하여 변화하는 주거가치에 따른 사용자 니즈를 충족시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 주거공간을 유형화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사용자 연구를 통하여 주거를 위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 유형을 도출하였다. 그 후 설문조사법과 통계적 분석을 통해 주거공간에 대한 사용자 니즈 분석과 도출된 공간 유형의 유용성 분석 및 유형 구체화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주거를 위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사용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주거목적의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을 유형화하고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recent changes in residential value, user needs for various spaces in residential space are increasing. However, it is not easy to change and reconstruct the first residential form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space where movement and d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직주일치로 변동되어가는 주거 가치에 따라 주거공간 내에서의 다양한 공간에 대한 사용자 니즈를 도출하고 이를 반영한 주거 목적의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공간 유형과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를 이동수단이 아닌 주거를 위한 이동 가능한 공간이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고 주거를 위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내 공간 유형을 도출하고 디자인 방향성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이에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때문에 이러한 복합적인 주거공간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어떻게 공간이 활용되고 그 안에서 어떠한 행위가 발생되는지 먼저 분석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주거공간에서 발생되는 행위와 주거 기능들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거공간을 유형화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에서 가능한 주거를 위한 공간 요소들을 도출하기 위해 2020년 8월 18일 오전 10시 3명, 오후 2시 3명 총 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대상자는 UX 교수 1인, UX 박사 연구원 2인, UX 석사 연구원 3인으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주거형태를 자율주행 자동차를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자율주행 자동차와 관련된 기술 개발이 점점 고도화되어 미국 SAE 기준 자율주행 5단계인 ‘완전 자율주행’의 시대가 점점 가까워짐에 따라 이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본 조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친화도법을 통해 도출된 1차 공간 유형을 바탕으로 주거를 위한 공간에 대한 사용자 인식 조사와 함께 도출된 공간 유형의 유용성 분석 및 유형 구체화를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이후 SPSS 프로그램을 통해 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 주거를 위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는 이동이 가능한 공간 개념으로써 사용자 니즈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주기 어려운 기존의 주거 공간 개념과 달리 사용자의 니즈에 맞춰 해당 공간으로 구성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를 이동시켜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진행한 문헌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 친화도법, 설문조사 및 통계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를 위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영향은? 최근 발생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직접 만나는 대면 활동을 지양하고 비대면 활동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최근 많은 산업분야에서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주거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의 흐름이 일어나고 있다.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주거공간은? 하나의 공간 안에서도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시간별로 다양한 행위들이 발생된다.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주거공간인 아파트의 경우에도 같은 구조의 집이지만 누가 사느냐에 따라 내부에서 발생되는 행위가 각기 다르다. 즉, 사용자에 따라 같은 방도 업무를 위한 사무공간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여가를 위한 음악 작업실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직장과 주거공간의 가치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기존의 부동산 선택에 있어 가장 큰 가치였던 직주근접은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를 중심으로 직장과 주거공간이 일치되는 직주일치로 가치가 변화하고 있다[1]. 즉, 기존의 휴식과 재충전의 공간이었던 주거공간은 업무, 여가, 문화 등 복합적인 활동의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기존의 획일화된 주거형태는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개인화할 수 있도록 변화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0). Transition of Post-Corona Era,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olicy Direction. Policy Briefing on the Republic of Korea [Online].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3979 

  2. D. Zetsche. (2018). Automotive, Evolving into a Third Space. The Science Times [Online]. https://www.sciencetimes.co.kr/news/자동차-제-3의-공간으로-진화/ 

  3. G. Gamberini. (2017). Future Mobility, Evolving into a Living Space Not a Transportaion. JoongAng Ilbo [Online]. https://news.joins.com/artic le/21440858 

  4. Hyundai Motors. (2020). Hyundai Motors, Revealing the Vision of Human-centered Future Mobility in CES2020. Young Hyundai [Online]. https://young.hyundai.com/hyundai/news/detail.do?seq7128 

  5. Toyota Motor Corporation. (2018). Toyota Launches New Mobility Ecosystem and Concept Vehicle at 2018 $CES^{(R)}$ . Toyota Newsroom [Online]. https://global.toyota/en/newsroom/corporate/20546438.html 

  6. S. H. Kim & Y. J. Ko. (2020). A Study on Housing Design Characteristics Reflecting Lifestyle -Focused on Apartment Model House-. Journal of Intergrated Design Research, 19(1), 41-56. DOI : 10.21195/jidr.2020.19.1.003 

  7. H. J. Kim. (2020). 2020 Housing Trend Forecast - COVID19, Changes in Daily Life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5(1), 7-11. 

  8. S. M. Kim. (2006). Interior Space Design based on Functional Integration.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9. Y. A. Choi, J. Y. Kim & J. S. Lee. (2006). A Study on Space-Furniture for variability of Interior Space in Housing.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3(3), 149-161. DOI : 10.35216/kisd.2008.3.3.149 

  10. S. M. Ryu., Y. R. Kim & J. W. Song. (2009). A Study on the Framework Development for Context Analysis in Smart home Environment - With Emphasis on Users Intention and Behaviour.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8(2), 11-25. 

  11. S. Y. Park & M. H. Yeoun. (2019. February). A Study on the Analysis and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User Context for the Convergence of IoT and the Furniture in the Living Room. Proceedings of HCI Korea 2019. (pp. 436-441). Seoul : HCI Korea. 

  12. S. Z. Choi, S. G. Lee & J. D. Cho. (2018. January). A study on future Autonomous Vehicle Interior Lighting scenario structure based on Conxectual User Research. Proceedings of HCI Korea 2019. (pp. 945-948). Seoul : HCI Korea. 

  13. P. Filo & I. Lubega. (2015). Design of Interior for a Self-driving Car - Propose a Conceptual Design from a Body & Trim Perspective that can be Implemented in Future Self-driving Cars. Master's dissertation.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Gothenburg. 

  14. J. Y. Kwon & D. Y. Ju. (2018).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In-Vehicle Activity Based on Literature Study for Interior Design of Fully Autonomous Vehicle.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13(2), 5-20. DOI : 10.17210/jhsk.2018.05.13.2.5 

  15. C. M. Yoo, Y. H. Pan & H. S. Yoo. (2019). A Classification of Autonomous Car's Sear Type and and Analysis of Driver's Requirement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38(6), 403-418. DOI : 10.5143/jesk.2019.38.6.4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