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 Stroke Depression in Acute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0, 2020년, pp.385 - 394  

박순주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후 우울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뇌졸중 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개 지역병원에서 허혈성 뇌졸중으로 입원 치료 후 상태가 안정되어 퇴원 예정인 20대 이상의 성인 104명을 편의추출 하였다. 뇌졸중 후 우울 측정은 뇌졸중 후 우울척도, 사회적지지사회적지지 척도, 뇌졸중 심각도는 미국 국립보건원 뇌졸중 척도, 장애정도는 수정 랜킨 척도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뇌졸중 발병 후 입원기간은 평균 5.9±2.1일이었고 79.8%가 7일 이내였다. 뇌졸중 심각도는 평균 2.4±2.5점이었으며 69.2%가 경증 뇌졸중이었고, 장애정도는 평균 1.6±1.1점이었고 46.2%가 발병 전의 모든 업무와 일상활동 실행이 가능했다. 대상자의 32.7%가 경증 이상의 우울상태였으며, 종교가 없고(p<.004), 장애정도가 심하고(p<.031), 뇌졸중 심각도가 높으며(p<.034), 가족지지가 적을수록(p<.009) 뇌졸중 후 우울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뇌졸중 환자들에게 발병 초기 단계부터 우울이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뇌졸중 급성기 단계부터 우울에 대한 지속적인 조기 사정과 종교나 가족지지 등을 포함한 급성기 뇌졸중 후 우울 중재에 대한 간호지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st stroke depression (PSD) occurrence in acute stroke pati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PSD. The study subjects were 104 adults in their 20s or older who were scheduled to be discharged due to inpatient treatment for ischemic stroke 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PSD 여부를 확인하고 우울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PSD를 파악하고 PSD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PSD를 파악하고 PSD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서 급성기 PSD 조기 사정과 예방 간호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PSD 조기 사정과 예방간호를 위한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뇌졸중용 우울도구를 이용하여 PSD를 확인하고, PSD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급성기 치료 후 조기퇴원이 고려되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PSD 발생 실태를 조사하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므로써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PSD 예방 간호 중재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대상자는?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후 우울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뇌졸중 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개 지역병원에서 허혈성 뇌졸중으로 입원 치료 후 상태가 안정되어 퇴원 예정인 20대 이상의 성인 104명을 편의추출 하였다. 뇌졸중 후 우울 측정은 뇌졸중 후 우울척도, 사회적지지는 사회적지지 척도, 뇌졸중 심각도는 미국 국립보건원 뇌졸중 척도, 장애정도는 수정 랜킨 척도를 이용하였다.
한국에서 네 번째 사망 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뇌졸중은 악성신생물, 심장질환, 폐렴에 이어 한국에서 네 번째 사망 원인에 해당하며[1], 뇌졸중 유병률은 2018년 1.8%였고 2005년부터 약 2%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2].
뇌졸중 발병 후 겪게 되는 후유증은? 뇌졸중은 모든 연령대에 영향을 미치지만 나이가 들수록 뇌졸중 유병율이 증가하고 뇌경색에 의한 발생이 가장 흔하다[3]. 뇌졸중 발병 후 생존자들은 심각한 장애를 경험하는데 일상생활 활동을 제한하는 신체적 장애나 뇌졸중 후 우울(post stroke depression, PSD)과 같은 신경정신과적 후유증을 겪게 된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보건복지부장관, 2019 보건복지통계연보, 보건복지부, 2019. 

  2. 보건복지부장관, 2018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9. 

  3. The Epidemiology Research Council of the Korean Stroke Society, Stroke statistics in Korea 2018, Korean stroke society, 2018. 

  4. 김덕용, 김연희, 이종민, 장원혁, 김민욱, 편성범, 유우경, 온석훈, 박기덕, 오병모, 임성훈, 정강재, 임선, 지성주, 서한길, "뇌졸중 재활치료를 위한 한국형 표준진료 지침 2016," Brain & NeuroRehabilitation, 제10권, Suppl.1, p.e11139, 2017. 

  5. 김형섭, 김종문, 임현선, 홍지성, 하다솔, 권준범, "뇌졸중 환자의 급성기 의료이용 분석을 통한 효율적 재활이용 근거생성 연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연보, 2015. 

  6. M. L. Hackett and K. Pickles, "Part I: frequency of depression after stroke: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oke, Vol.9, No.8, pp.1017-1025, 2014. 

  7. A. Towfighi, B. Ovbiagele, N. E. Husseini, M. L. Hackett, R. E. Jorge, B. M. Kissela, P. H. Mitchell, L. E. Skolarus, M. A. Whooley, and L. S. Williams, "Poststroke Depression: A Scientific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Vol.48, No.2, pp.e30-e43, 2017. 

  8. 김세주, 김영신, 유상우, 이만홍, 유경호, 마효일, 이병철,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불안 증상," 대한뇌졸중학회지, 제2권, 제1호, pp.40-47, 2000. 

  9. 강희주, 배경열, 김성완, 김재민, 신일선, 김준태, 박만석, 조기현, 윤진상, "뇌졸중 후 우울증의 유병율 및 예측인자," 우울조울병, 제9권, 제2호, pp.57-63, 2011. 

  10. W. N. Zhang, Y. H. Pan, X. Y. Wang, and Y. Zhao, "A prospective study of the incidence and correlated factors of post-stroke depression in China," PLoS One, Vol.8, No.11, p.e78981, 2013. 

  11. L. Ayerbe, S. Ayis, S. Crichton, C. D. Wolfe, and A. G. Rudd, "The natural history of depression up to 15 years after stroke: the South London Stroke Register," Stroke, Vol.44, pp.1105-1110, 2013. 

  12. A. De Ryck, R. Brouns, M. Geurden, M. Elseviers, P. De Deyn, and S. Engelborghs, "Risk factors for postestroke depression: identification of inconsistencies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 Neurology, Vol.27, No.3, pp.147-158, 2014. 

  13. R. Liu, Y. Yue, H. Jiang, J. Lu, A. Wu, D. Geng, J. Wang, J. Lu, S. Li, H. Tang, X. Lu, K. Zhang, T. Liu, Y. Yuan, and Q. Wang, "A risk prediction model for post-stroke depression in Chinese stroke survivors based on clinical and socio-psychological features," Oncotarget, Vol.8, No.38, pp.62891-62899, 2017. 

  14. J. M. de Man-van Ginkel, T. B. Hafsteinsdottir, E. Lindeman, R. G. Ettema, D. E. Grobbee, and M. J. Schuurmans, "In-hospital risk prediction for post-stroke depress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ost-stroke Depression Prediction Scale," Stroke, Vol.44, No.9, pp.2441-2445, 2013. 

  15. F. Zhao, Y. Yue, L. Li, S. Lang, M. Wang, X. Du, Y. Deng, A. Wu, and Y. Yu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post-stroke depression in China," Brazilian Journal of Psychiatry, Vol.40, No.3, pp.325-334, 2018. 

  16. 하주영, 박형숙, 이상주, 전정해, 조호윤, 지영주, "청장년층 뇌졸중환자의 회복 경험," 성인간호학회지, 제22권, 제3호, pp.342-351, 2010. 

  17. S. E. Kouwenhoven, M. Kirkevold, K. Engedal, and H. S. Kim, ''Living a life in shades of grey: experiencing depressive symptoms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8, No.8, pp.1726-1737, 2012. 

  18. E. B. D. Santos, R. A. P. Rodrigues, and O. M. Pontes-Neto,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post stroke depression among elderly stroke survivors," Arquivos de neuropsiquiatria, Vol.74, No.8, pp.621-625, 2016. 

  19. 송영미, 이지현, "대학병원에 입원한 뇌졸중환자의 뇌졸중 후 우울 관련요인," 노인간호학회지, 제15권, 제2호, pp.85-94, 2013. 

  20. 단소영, 박숙현, 이슬, 박혜연, 이영희, "중환자실 환자와 가족의 자율면회 경험," 중환자간호학회지, 제10권, 제1호, pp.51-62, 2017. 

  21. 홍희진, 강지연, "중환자실 환자가 경험한 인간중심간호에 관한 질적 내용분석," 중환자간호학회지, 제11권, 제2호, pp.21-33, 2018. 

  22. 이경무, 장요한, 김연희, 문승국, 박주현, 박시운, 유희정, 이삼규, 전민호, 한태륜, "한글판 미국 국립 보건원 뇌졸중 척도의 신뢰 및 타당도: 다기관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8권, 제5호, pp.422-435, 2004. 

  23. J. C. van Swieten, P. J. Koudstaal, M. C. Visser, H. J. Schouten, and J. van Gijn. "Interobserver agreement for the assessment of handicap in stroke patients," Stroke, Vol.19, pp.604-607, 1988. 

  24. G. D. Zimet, N. W. Dahlem, S. G. Zimet, and G. K. Farley,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2, No.1, pp.30-41, 1988. 

  25. Y. Yue, R. Liu, J. Lu, X. Wang, S. Zhang, A. Wu, Q. Wang, and Y. Yua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new post-stroke depression scale in Chinese populat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174, pp.317-323, 2015. 

  26. W. Zhang, Z. Liu, X. Zhou, and L. Zhou, "Resilience among stroke survivors: A cohort study of the first 6 month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76, No.2, pp.504-513, 2020. 

  27. A. G. Damsbo, K. L. Kraglund, H. N. Buttenschon, S. P. Johnsend, G. Andersen, and J. K. Mortensen, "Predictors for wellbeing and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after strok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264, pp.358-364, 2020. 

  28. 홍명선, 조현숙, 염영희, 김근면,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중재 연구현황 및 분석," 기본간호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09-121, 2012.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