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와 저장 중 온도와 시간 변화에 따른 동치미 품질 특성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Time on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Properties and Sensory Analysis of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5 no.5, 2020년, pp.450 - 458  

조미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나예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optimal temperature and time conditions to maintain high quality Dongchimi during the fermentation and storage period. Dongchimi was fermented at low (5℃), medium (10 and 15℃), and high (20℃) temperatures until the acidity reached 0.2, 0.3, and 0.4%. resp...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동치미의 발효숙성을 발효 단계와 저장 단계로 나누고 발효와 저장 중 온도와 시간을 달리한 동치미의 소비자 검사, 이화학적 분석, 관능적 특성 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 기호도가 가장 높은 동치미의 최적 품질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발효 및 저장 온도와 시간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 국내 소비자들의 시판 김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김치 상품 시장이 점점 확대되는 추세가 계속되면서 동치미와 같은 별미 김치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늘고 있으며, 동치미는 세계 시장에서 웰빙 한식 상품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소비자 기호도 조사와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분석을 통해 전통식품의 품질관리를 위한 과학적 결과를 제시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동치미의 발효와 저장 시 영양소 보존 효과와 4주 이상의 장기간 저장 시에 나타날 수 있는 품질 특성의 변화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선행연구에서 동치미의 발효온도는 4oC에서부터 35oC, 저장 온도는 −1oC에서 4oC로 나타난 바 있어(Kang 1991; Seo 2005; Noh et al. 2008)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저온(5oC), 중온(10, 15oC), 고온(20oC)의 온도 조건에서 일정기간 발효 시킨 후 최적 발효 상태에 도달한 동치미를 −1, 2, 5oC의 세 수준의 저온에서 4주간 저장했을 때 나타나는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관찰하여 이 결과를 통해 동치미의 최적 발효 및 저장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소비 감소가 나타난 배경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또한 양념을 적게 하여 맵지 않고 깔끔한 맛을 지닌 동치미는 동물성 식품이 주를 이루는 서구 식생활 식단에 식이섬유소와 비타민의 급원이 되는 웰빙 한식 상품으로 널리 활용될 것으로 사료되나, 김치류의 수출에는 김치의 적정한 숙성도 유지, 철저한 위생관리 등의 품질관리를 위한 전문기술 확보가 요구되어 수출이 원활하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식생활이 고급화 간소화되고 젊은 세대의 김치 선호가 감소함에 따라 김치의 소비가 감소하는 추세에 있어 정부와 학계에서는 채소류의 수요 전망과 관련하여 향후 김치 소비의 향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김치의 소비 감소에도 불구하고 국민 소득 수준의 향상, 식생활에서의 편리성 추구 경향과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로 인해 김치시장에서 시판 김치가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하고 있다(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00).
김치는 무엇인가? 김치는 소금에 절여 물기를 뺀 절임 배추나 무를 주원료로 하여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젓갈 등 여러 가지 부재료와 향신료를 첨가하여 만드는 우리나라 고유의 유산균 발효 식품으로 세계적인 발효 음식 중 하나로도 손꼽힌다(Kim et al. 2006, Hwang et al.
동치미류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젖산균과 기타 유기산을 다량 함유한 식품이며, 비타민과 무기질을 공급해줌과 동시에 식이섬유소의 공급원으로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부식으로 여겨진다(Song & Kim 1991). 동치미류는 고춧가루 양념을 하지 않고, 주재료인 무와 소금, 부재료인 파, 풋고추, 마늘, 생강, 배 등의 비교적 간단한 재료로 담그는 김치로 무 특유의 아삭아삭한 조직감 뿐만 아니라 숙성 중에 국물에 생성된 유기산과 탄산가스가 특유의 감칠맛과 상쾌한 맛을 갖는 특징이 있다(Jo & Hwang 1997). 또한 양념을 적게 하여 맵지 않고 깔끔한 맛을 지닌 동치미는 동물성 식품이 주를 이루는 서구 식생활 식단에 식이섬유소와 비타민의 급원이 되는 웰빙 한식 상품으로 널리 활용될 것으로 사료되나, 김치류의 수출에는 김치의 적정한 숙성도 유지, 철저한 위생관리 등의 품질관리를 위한 전문기술 확보가 요구되어 수출이 원활하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6th edn): edited by Patricia Cunniff. AOAC International 

  2. Choi MS, Kim DM, Oh GH. 2015. Studies on the Enhance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ixed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Watery Kimchi, Dongchimi. KSBB Journal. 30(6); 245-252 

  3. Choi MY, Oh HS, Park HJ. 2004.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Dongchimi Fermentation.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15(4): 3-10 

  4. Choi YH. 2007.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Kimchi during starage at low temperature. master's thesis. Dankuk University. Korea pp. 1 

  5. Huh YJ, Cho YJ, Kim JK, Park KW. 2003. Effects of Radish Root Cultivars on the Dongchim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7-14 

  6. Hwang JH, Jang MS. 2003. Free Sugar, Free Amino Acid, Non-Volatile Organic Acid and Volatile Compounds of Dongchimi added with Jasoja (Perillae semen. Korean J Food Cookery Sci. 19(1):1-10 

  7. Hwang IG, Kim HY, Hwang Y, Jeong HS, Lee JS, Kim HY, Yoo SM. 2012.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the fresh red pepper (Capsicum AnnuumL.).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167-174 

  8. Jang MS, Kim NY. 1997. Physicochemical and Microbilogic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Citron (Citrus junos) Korean J. Soc Food Sci. 1997 13(3) 286-291 

  9. Jang MS, Park JE. 2003. Effect of Wasabi (Wasabiajaponica Matsum)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2):392-398 

  10. Jo JS, Hwang SY. 1997. Standardization of Kimchi and Related Products (3). Korean J Dieraty Culture. 12(5):531-548 

  11. Kang J. 1991. changes in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donchimi during fermentation. Soc. Food Nurt. 23(3), 267-271 

  12. Kang KO, Ku KH, Kim WJ. 1991. Compined Effect of Brining in Hot Solution and Salts Mix ture Addition for Improvement of Storage Stability of Dongchim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6):559-564 

  13. Kim HR. 2006. Effect of the addition to powdered bamboo leave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in Dongchimi. master thesis. Chu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36-38 

  14. Kim HR, Kim YS, Jang MS. 200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aengmyon Broth added with Dongchimi of different fermentation. Korean Soc Food Cookery Sci. 20(6):598-606 

  15. Kim IK, Shin SR, Chung JH, Kim KW. 1997.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Dongchimi added Ginseng and Pine need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3):397-403 

  16. Kim JW. 2008. Quality changes of Gamdongjeotmu Kimchi during storage with different temperatures and periods of fermen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Seoul pp 4 

  17. Kim JY, Park EY, Kim YS. 2006.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Baechu kimchi. Korean J Food Culture. 21:319-324 

  18. Kim MJ. 1997. Effect of Bamboo (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ngchimi. Doctoral Thesis. Dankuk University. Korea pp 5-7 

  19. Kim NY, Jang MS. 1997. Sensory and Textur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Citron (Citrus junos). Korean J Food Cookery Sci. 13(4):462-471 

  20. Ko EJ, Hur SS, Par M, Choi YH. 1995. Studies on the Optimum Fermenting Conditions of Dongchimi for Production of Ion Beverage. J Korean Soc Food Nutr. 24(1):141-146 

  21. Kwon SM, Kim YJ, Oh HI, Cho DH. 1996.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nges in Dongchimi Juice during Fermentation with the Addition of Panax ginseng C.A. Meyer. J. Ginseng Research. 20(3):299-306 

  22. Lee DH, Park SJ, Park JY. 1999. Effects of Freezing and Thaw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Dongchimi. Korean J Soc Food Sci. 31(6):573 

  23. Lim SY, Lee HR, Lee JM. 2005. Quality Changes of Nabak Kimchi During Storage with Different Levels of Fermentation. Korean J. Soc. Dietary Culture. 20(4):468-475 

  24.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443-450 

  25.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clic acid reagent for dermination of eeducing sugar. Analytical Chemistry. 31(3):426-428 

  26. Noh JS, Kim JH, Lee MJ, Kim MH, Song YO. 2008. Development of Auto-aging System for the Kimchi Refrigerator for Optimal Fermentation and Storage of Dongchimi. Korean J food Sci Technol.. 40(6):611-668 

  27. Oh J.Y., Hahn Y.S., Kim Y.J. 1999. Microbiological chracteristics of low salt mul-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1(2):502-508 

  28. Park JH, Oh DH, Chung HY. 2011.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sakei J4 Isolated from Korean Dongchimi and Its Probiotic Properties. 2 16(2):122-128 

  29. Seo HJ. 2005.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during the fermentation by various temperatures. master's degree thesis. Busan National Univeversity. Korea pp 7-9 

  30. Seo HS. 2007. Microbiological analysis of Dongchimi fermentation. Master's Thesis. Chu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28 

  31. Shin SA. 1997. Effect of Cornus officianalis S. et Z. on Dongchimi fermentation. master's degree thesis. Kunkuk University. Korea. 17(4):338-343 

  32. Son SY, Choi HR, Choi UH. 2005. Effect of Herbs on the Growth-Inhibi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Korean J. Food Sci. Technol. 37(2):241-246 

  33. Song TH, Kim SS. 1991. A Study on the Effect of Ginse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7(2):81-88 

  34.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00. Changes and prospects of demand of Kimchi. Korea Available from http://www.krei.re.kr/krei/researchReportView.do?key67&biblioId102714&pageType010101&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creatorEmpNumber [accessed 2020.08.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