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작업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가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on Musculoskeletal Symptoms of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for Job Environment, Psychological Work Demand, Fatigu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1, 2020년, pp.559 - 569  

오진영 (순천제일대학교 간호학과) ,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작업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도, 근골격계 증상의 관계를 파악하고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S시에 소재한 3곳의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128명을 대상으로 2020년 4~5월까지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 증상은 어깨, 손/손목/손가락, 허리 세 부분에 대한 증상발생빈도, 증상지속기간, 통증의 강도를 합한 값으로 42점 만점에 평균 11.41±9.50점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무병동(β=.18, p=.034)과 심리적 업무요구(β=.21, p=.013), 피로도(β=.25, p=.003)가 근골격계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3개 변수는 근골격계 증상에 대하여 21.6%의 설명력을 보였다(F=6.87,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병원 요양보호사들의 근골격계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담당하는 환자의 중증도를 고려하여 심리적 업무요구와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job environment, psychological work demand, fatigue, musculoskeletal symptoms, then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musculoskeletal symptoms of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A total of 128 care workers recruited from three l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작업 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도, 근골격계 증상을 조사하고 이들의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의미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요양보호사의 작업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도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아 후속 연구를 위한 의미있는 기초 근거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작업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도가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작업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도, 근골격계 증상의 정도와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의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작업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도가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작업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도, 근골격계 증상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요양보호사들에게 나타나는 근골격계 증상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 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작업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도, 근골격계 증상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요양보호사들에게 나타나는 근골격계 증상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 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작업 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도, 근골격계 증상을 조사하고 이들의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의미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요양보호사의 작업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도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아 후속 연구를 위한 의미있는 기초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특정 지역 내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요양보호사가 담당하는 환자의 중등도나 병원 규모별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였고 대상자의 주관적인 응답을 통해 작업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도, 근골격계 증상을 파악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20 Elderly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accessed Sep. 28,2020) 

  2. D. S. Choi. (2019). A Study on the Industrial Accidents of Care Workers-Focused on Care Work and subsequ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Public Interest and Human Rights, 19(0), 289-316. 

  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 Satisfaction with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National Awareness", Available from: http://www.longtermcare.or.kr/(accessed Dec. 28,2016) 

  4. S. J. Park, J. H. Ham, & K. A. Min. (2016). Consideration of Care workers Job Stres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Research Journal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7), 63-69. 

  5. S. Y. Lee. (2012). Caregiver's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prevention management. OSH research brief, 6(2), 28-33. 

  6. M. A. Son, B. C. Son, D. C. Bae, J. I. Park, S. Y. Lee & J. W. Yoon. (2017). The prevention strategy for occupational injury among long-term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Ulsan: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7. I. A. Kim, K. J. Bae, S. C. Kwon & J. C. Song. (2010).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sychosocial Factors. Journal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4), 465-471. 

  8. Y. S. Joo. (2010, Aug). Health status survey for caregivers: The results of research on working conditions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for caregivers. Seoul: Congressional debate society. 17-67. 

  9. E. J. Lee. (2011). Musculoskeletal Symptoms of Nursing Caregivers in Elderly Nursing Hom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buk. 

  10. Y. J. Seo, B. W. Kim, Y. G. Song, J. W. Kim & C. H. Kim. (2012). Difference in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Caregivers by Rehabilitation Hospital. Korean society for Wellness, 7(4), 25-34. 

  11. J. W. Yoo. (2012).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heir Related Factors among Care Giv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yeongnam. 

  12. B. R. Hwang, K. H. Youn, J. Y. Lee, J. H. Kang & E. K. Yoo. (2014). An Exploratory Study on Self-Perceived Symptoms and Pain-Inducing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mong Care workers in Residential Settings. Social science research, 30(1), 69-100. 

  13. E. H. Hwang & H. B. Lee. (2019). Effects of Job Stress, Depression and Fatigue on Sleep Quality of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3(2), 163-174. 

  14. J. M. Lim & O. H. Cho. (2020). Factors Affecting Fatigue of Care Help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7(2), 169-176. 

  15.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8). Guidelines for investigating harmful factors in musculoskeletal burden work(KOSHA GUIDE H-9-2016). http://www.kosha.or.kr 

  16. B. P. Bernard et al.' (1997).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NIOSH publication No. 97-141). Cincinnati, OH , U.S., 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7(1)-7(10). 

  17. S. Y. Kim. (2007).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al Model on Work-related Musculo -skeletal Disorders of Women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4), 624-633. 

  18. S. Y. Lee, Y. G. Lee, Y. S. Joo, M. H. Kim, K. S. Choi (2011). Investigation of musculo -skeletal disorders in care workers and develop -ment of prevention manual. Incheon :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19. G. J. Jeon & E. S. Choi. (2013).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o-social Questionnaire Scal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1), 1-12. 

  20. J. E. Schwartz, L. H. Jandorf & L. B. Krupp. (1993). The measurement of fatigue : a new instrumen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37(7), 753-762. http://dx.doi.org/10.1016/0022-3999(93)90104-N 

  21. S. J. Chang. (2000). Standardization of collect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statistics data. Seoul :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22. E. S. Jung & N. H. Cha. (2011). Relations between Fatigue and Work-related Factors in Workers.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4), 420-428. 

  23. E. O. Yang & M. O. Gu. (2019).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Burnou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Based on Job Demand-Resource Mode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4), 137-148. 

  24. E. S. Choi & G. J. Jeon. (2017). The Impacts of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s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Registered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6(1), 30-39. 

  25. K. J. Sung. (2017). Turnover intent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car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5), 285-293. 

  26. Y. N. Kim. (2017). Influences of Fatigue, motional Labor and Job Embeddedness on Nurses Turnover Inten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 ement, 11(1), 67-78. 

  27. K. H. Lee & J. Y. Kim. (2011). Effect of Shiftwork Nurses' Fatigue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Mediating Role of Job Stres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 74-82. 

  28. H. S. Jung. (2004). Work-Related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Gyeongnam. 

  29. K. H. Cho. (2003).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n hospital work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Gyeongnam. 

  30. S. Y. Choi. (2008). A comprehensive model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hospital workers based on ergonomic risk and psychosocial factors using path 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haUniversity. Incheon. 

  31. M. S. Lee. (2014). The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of physiotherapists on musculoskeletal sympt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32. D. S. Ko. (2012). Relations between Self-reported Symptoms of Industrial Worker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sychosocial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7(6), 1463-1469. 

  33. J. S. Jung. (2019).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Musculoskeletal pain with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na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