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업장 유해요인조사에 기반한 인체공학적 중재가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Workplace Risk Assessment-based Ergonomic Intervention on Work-Related Muscular Skeletal Disorder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9 no.4, 2020년, pp.342 - 353  

조정영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김가은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literature and conduct a meta-analysis to comprehensively identify and evaluate the effects of workplace risk assessment-based ergonomic intervention on work-related muscular-skeletal disorders in workers. Methods: We searched the Ovid-Medline, EMB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분석에 포함된 문헌은 모두 국외문헌이었으므로 국내의 실정에 맞는 인체공학적 중재와 평가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국내에서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유해요인조사에 기반한 중재가 근골격계 질환에 미치는 효과를 통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 민감도 분석은 메타분석의 결과가 쉽게 변화되지 않는지 파악하고자 하는 분석으로, 본 연구에서는 각 연구를 하나씩 제외시켜 가면서 메타분석을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각 개별연구를 제외한 결합 추정치가 전체 통합추정치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는 신뢰할 만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 본 연구는 작업장의 노동자를 대상으로 유해요인조사에 기반한 인체공학적 중재가 근골격계 질환에 미치는 효과를 통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문헌선택배제과정에 따라 최종 13편의 문헌이 분석에 포함되었고, 연구결과 유해요인조사에 기반한 인체공학적 중재는 작업장 근로자의 통증강도나 지속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3개월에서 6개월, 6개월에서 9개월 후의 통증빈도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 2014) 국내에서도 작업환경에서의 질병위험을 줄이기 위해 유해요인조사 및 인체공학적 관리의 의무를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작업장의 노동자를 대상으로 유해요인조사에 기반한 인체공학적 중재가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에 미치는 효과를 통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유해요인조사에 기반한 인체공학적 중재가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통합적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 본연구는 작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유해요인조사에 기반한 인체공학적 중재가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로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PRISMA] 보고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Liberati et al., 2009).
  • 이런 상황에서 작업장 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증상 관리 및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를 위해서는 유해요인조사에 기반한 인체공학적 중재의 효과에 대해 체계적이며 통합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작업장의 유해환경조사를 기반으로 한 근골격계 질환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통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실제적인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ng, Y. W., Im, H. J., Kwon, Y. J., Cho, S. S., Lee, T. K., Yoon, I. K., et al. (2011). The effe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occupational injuries in Korea: A time series analysi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 Medicine, 23(4), 397-406. 

  2. Boocock, M. G., McNair, P. J., Larmer, P. J., Armstrong, B., Collier, J., Simmonds, M., et al. (2007). Intervention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neck/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4(5), 291-303. 

  3. Brisson, C., Montreuil, S., & Punnett, L. (1999). Effects of an ergonomic training program on workers with video display unit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25(3), 255-263. 

  4.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19). 25 years of worker injury, illness, and fatality case data. Retrieved from https://www.bls.gov/spotlight/2019/25-years-of-worker-injury-illness-and-fatality-case-data/home.htm 

  5. Hardeman, W., Sutton, S., Griffin, S., Johnston, M., White, A., Wareham, N. J., et al. (2005). Causal modelling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theory-based behaviour change programmes for trial evaluation. Health Education Research, 20(6), 676-687. 

  6. Higgins, J., Thompson, S. G., Deeks, J. J., & Altman, D. G. (2003). Measuring inconsistency in meta-analyses. British Medical Journal, 327, 557-560. 

  7.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2019). 16273. 

  8. Jeong, B. Y. (2010). Ergonomics' Role f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4), 393-404, 

  9. Jung, M. H., Jung, H. S., & Lee, B. I. (2013) Effect of workplace health manager's role performance on presenteeism in th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 171-178. 

  10. Kang, D., Kim, Y., Lee, Y. I., Koh, S., Kim, I., & Lee, H. (2014).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korea provoked by workers' collective compensation claims against work intensification.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6(1), 19. 

  11. Kim, K. H., Hwang, R. I. & Suk, M. H. (2013). The trends and statu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under Korean worker's compensation syste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2), 102-111, 2013. 

  12. Ko, Y, S., Park, H. S., Lee, J. H., Cha, Y. Y., Chung, W. S., Shin, B. C., et al. (2013). Research trend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Korean literature. Oriental Rehab Med, 23(2), 95-104. 

  13.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4). The 5th Work Environment Survey in 2014. 

  14. Lee, S. R., Kim, K. S., Kim, E. A., Kim, J. H., & Kim, D. H. (2014). Job stres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 in seoul city's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3(4), 245-253. 

  15. Leyshon, R., Chalova, K., Gerson, L., Savtchenko, A., Zakrzewski, R., Howie, A., et al. (2010). Ergonomic interventions for office workers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Work, 35(3), 335-348. 

  16. Liberati, A., Altman, D. G., Tetzlaff, J., Mulrow, C., Gotzsche, P. C., Ioannidis, J. P., et al. (2009).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 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2(10), e1-e34. https://doi.org/10.1016/j.jclinepi. 2009.06.006 

  17. Maher, C. G. (2000). A systematic review of workplace interventions to prevent low back pain.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46(4), 259-269. 

  1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9).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 in 2018. Sejong: Author. 

  19. Oh, I. H., Yoon, S. J., Seo, H. Y., Kim, E. J., & Kim, Y. A. (2011). The economic burden of musculoskeletal disease in Korea: a cross sectional study.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12, 1-9. 

  20. Park, J. S. (2016). Spring Conference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and 18th Korea - Japan Joint Symposium. Ergonomics Society of Korea, 309-333. 

  21. Putz-Anderson V. (1988).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 manual for musculoskeletal diseases of the upper limbs. New York:Taylor & Francis. 

  22. Rivilis, I., Van Eerd, D., Cullen, K., Cole, D. C., Irvin, E., Tyson, J., et al. (2008). Effectiveness of participatory ergonomic interventions on health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pplied Ergonomics, 39(3), 342-358 

  23. Robson, L., Stephenson, C., Schulte, P., Amick, B., Chan, S., Bielecky, A., et al. (2010).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 education for the protection of workers. Toronto:Institute for Work & Health, DHHS (NIOSH). 2010-1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