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순환 교대근무 및 수면의 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Rotating Shift Work and Quality of Sleep on Depression in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4, 2020년, pp.323 - 329  

정희자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근무 여성 간호사의 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순환 교대근무와 수면의 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지역 2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총 295명의 간호사로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의 71.2%가 우울한 것으로 응답했으며(CES-D 총점 ≥ 16), 간호사 우울의 유의한 영향요인으로는 수면의 질, 순환 교대근무, 근무기간(1-2.9년, 10년 이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간호사들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수면의 질과 순환 교대근무의 부정적 영향을 개선 시킬 수 있는 중재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고려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female hospital nurses and the influence of rotating shift work and quality of sleep on depression. A total of 295 nurses in Seoul were recrui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사들의 우울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이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중재가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성보다 우울에 취약한 여성 간호사를 대상으로 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밤 근무가 포함된 순환 교대근무와 수면의 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여성 간호사를 대상으로 우울 정도를 확인 하고, 순환 교대근무 및 수면의 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자가 「병원간호사의 이상섭식행위 예측모형」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의 일부를 이차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여성 간호사를 대상으로 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사의 순환 교대근무 및 수면의 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추후 간호사들의 근무환경 개선 및 정신·심리적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러한 결과는 교대근무와 우울 간의 관련성을 본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며[9],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연구에서[22] 밤 교대 근무자의 우울이 주간 근무자의 우울보다 높게 나타난 것과도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는 밤 근무를 포함하는 순환 교대근무 간호사와 상근직 간호사들의 근무형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야간 근무와 우울의 관련성을 한 번 더 재확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간호사들은 24시간 동안 환자에게 간호를 제공해야 하 므로 순환 교대근무를 피할 수는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J. Ferrari, F.J. Charlson, R.E. Norman, S.B. Patten, G. Freedman, C.J. Murray, et al. "Burden of depressive disorders by country, sex, age, and year: finding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PLoS Medicine, Vol. 11. No. 2, pp. e1001547, 2013. DOI:10.1371/journal.pmed.1001547 

  2. S, Letvak, C.J Ruhm, T. McCoy. "Depression in hospital-employed nurses." Clinical Nurse Specialist, Vol. 26, No. 3, pp. 77-82, 2012. DOI: 10.1097/NUR.0b013e3182503ef0 

  3. M.J. Cho, J.K. Kim, H.J. Jeon, T, Suh, I.W. Chung, J.P. Hong, et al. "Lifetime and 12-month prevalence of DSM-IV psychiatric disorders among Korean adult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 195, No. 3, pp. 203-210, 2007. DOI: 10.1097/01.nmd.0000243826.40732.45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 https://knhanes.cdc.go.kr/knhanes/main.do 

  5. C. Park, J. Le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depression of Korean adult male and female."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Vol. 29, pp. 99-128, 2011. 

  6. K.J. Chang, S.J. Son, Y. Lee, J.H. Back, K.S. Lee, S.J. Lee, et al. "Perceived quality of sleep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a Korean elderly population."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 59, No. 2, pp. 468-473, 2014. DOI:10.1016/j.archger.2014.04.007 

  7. S.L. Yoon, J.H. Kim. "Job­related stress, emotional labo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 45, No. 2, pp. 169-176, 2013. DOI:10.1111/jnu.12018 

  8. R.C. Kessler. "Epidemiology of women and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 74, No. 1, pp. 5-13, 2013. DOI:10.1016/S0165-0327(02)00426-3 

  9. H.Y. Lee, M.S. Kim, O. Kim, I.H. Lee, H.K. Kim.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female nurses: the Korea Nurses' Health Stud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 24, No. 2, pp. 192-200, 2016. DOI:10.1111/jonm.12298. 

  10.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Medical Statistics Information.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HifrqSickInfo.do 

  11.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8 survey on the status of nursing staffing in hospitals. https://khna.or.kr/home/main/ 

  12. H.Y. Lee, M.S. Kim, O. Kim, I.H. Lee, and H.K. Kim.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female nurses: the Korea Nurses' Health Stud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 24, No. 2, pp. 192-200, 2016. 

  13. S.F. Niu, M.H. Chung, C.H. Chen, D. Hegney, A. O'Brien, K.R. Chou. "The effect of shift rotation on employee cortisol profile, quality of sleep quality, fatigue, and attention level: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 19, No. 1, pp. 68-81, 2011. DOI: 10.1097/JNR.0b013e31820c1879 

  14. S. Cho, J. Kwak.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stress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 Culture Technology, Vol. 7, No. 4, pp. 14-22, 2019. DOI:10.17703/IJACT.2019.7.4.14 

  15. C.D. Jenkins, B.A. Stanton, S.J. Niemcryk, R.M. Rose. "A scale for the estimation of quality of sleep problems in clinical research."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Vol. 41, No. 4, pp. 313-321, 1988. DOI:10.1016/0895-4356(88)90138-2 

  16. O. Kim, Y. Ahn, H.Y. Lee, H.J. Jang, S. Kim, J.E. Lee, et al. "The Korea Nurses' Health Study: A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Women's Health, Vol. 26, No. 8, pp. 892-899, 2017. DOI:10.1089/jwh.2016.6048 

  17. O. Kim, M.S. Kim, J. Kim, J.E, Lee, H. Jung. "Binge eating disorde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females of child-bearing age: the Korea Nurses' Health Study." BMC Psychiatry, Vol. 18, No. 13, pp. 1-8, 2018. DOI:10.1186/s12888-018-1601-6 

  18. L.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 1, No. 3, pp. 385-401, 1977. 

  19. K. Jeon, K. Kwon, and S. Kim. "An attempt to revise the Korean adaptation of the CES-S: I."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Vol. 6, No. 1. pp. 429-451, 1999. 

  20. J.J. Cho, J.Y. Kim, S.J. Chang, N. Fiedler, S.B. Koh, B.F. Crabtree, et al.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Korean employee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Vol. 82, No. 1, pp. 47-57, 2008. DOI 10.1007/s00420-008-0306-4 

  21. Y.J. Son, Y.R. Park. "Relationships between sleep quality, fatigue and depress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shift-work patterns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 13, No. 3, pp. 229-237, 2011. 

  22. D.J. Kim, H.J. Lee.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among Korean workers according to work patter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14."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Vol. 12, No. 2, pp. 319-328, 2017. DOI:10.21097/ksw.2017.05.12.2.319 

  23. H.J. Jung.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f taeoom among nurse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5, No. 4, pp. 157-169, 2019 DOI:10.17703/JCCT.2019.5.4.15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