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상회의방식을 활용한 이야기치료 온라인 집단상담의 효과와 특성 연구 : 대면 집단상담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Effects and Traits of Online Narrative Group Counseling using Videoconferencing Modality : Comparing with face-to-face Group Counsel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4, 2020년, pp.401 - 409  

오윤석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조은숙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위한 이야기치료 온라인 집단상담의 효과와 특성을 대면 집단상담과 비교하여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대학생 18명을 각각 6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여 실험집단에는 Zoom을 활용한 화상 집단상담을, 비교집단에는 대면 집단상담을 각 8회기씩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비모수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자아정체감 및 대인관계 점수의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 검증을 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에서 자아정체감의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의 긍정적 변화는 실험집단에서만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담자 경험을 묻는 사후면접자료 분석을 통해 화상집단상담과 대면집단상담 내담자들의 경험 특성을 비교하여 온라인 집단상담 경험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화상 집단상담이 여러 한계에도 불구하고 대면 집단상담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맥락이 나타났으며, 온라인 집단상담의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and traits of narrative online group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by comparing them with face-to-face group counseling. For this purpose, 18 college students were assigned as experimental group (videoconferencing method, using "Zoom"), comparison group (fac...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Zoom을 활용한 이야기치료 화상집단 상담이 대학생들의 자아정체감과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내담자들의 경험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화상집단상담과 동일한 방식의 대면집단상담을 실시한 비교집단과, 아무 처지도 하지 않은 통제집단을 실험 집단과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첫째, 화상집단상담의 효과를 대면집단상담의 경우와 비교하여 화상집단상담의 효과를 살펴보고, 둘째, 사후 면접 자료를 통해 얻어진 화상집단 상담 참여자들의 경험을 대면집단상담 참여자들의 경험과 비교하여 화상집단상담 내담자경험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과 면에서 화상상담이 대면상담에 비해 결코 뒤처지지 않는다는 연구결과에 대해 좀 더 심도 있는 고찰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이에 대해서 집단상담의 접근 모델과 내담자의 특성과 관련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국내의 경우 온라인 상담의 효과와 경험 등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인데, 특히 화상집단상담에 대한 연구는, 초등생 대상으로 기초적 수준의 화상교육 시스템을 활용하여 학급단위로 집단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가 보고된 것[12]이 유일하며, 이 조차도 통제집단이 없는 유사 실험설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화상집단상담의 효과성을 대면집단상담(비교집단) 및 통제집단과 비교하는 실험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화상회의 플랫폼으로는 “Zoom”을 활용할 것이다.
  • 이야기치료 집단상담은 정체성과 대인관계 문제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는 접근법이다 [15, 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과 대인관계 향상에 초점을 둔 이야기치료프로그램을 실험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 J. Yang, "Responding to negative emotions in COVID-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6, No. 3, pp. 135-143, August 2020. http://dx.doi.org.libproxy.smu.ac.kr/10.17703/JCCT.2020.6.3.135 

  2. D. Richards and N. Vigano, "Online counseling: A narrative and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69, No. 9, pp. 994-1011, 2013. doi:10.1002/jclp.21974Riva 

  3. J. S. Park, "The Trends of Cybe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23, No. 12, pp. 1571-1577, 2019. 

  4. Y. M. Seon, S. M. Park, and J. E. Oh, "A study on the components of AI-based counseling system for preventing adolescents' suicide,"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Vol. 19, No. 11, pp. 271-297, 2012. 

  5. J. S. Kim,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healing depression covergence content using movement of thought, HMD, leap motion, color and music therap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3, pp. 45-51, 2016. 

  6. C. Holmes and V. Foster, "A preliminary comparison study of online and face-to-face counseling: Client perceptions of three factors," Journal of technology in human services, Vol. 30, No. 1, pp. 14-31, 2012. 

  7. D. A. Dunstan and S. M. Tooth, "Treatment via videoconferencing: A pilot study of delivery by clinical psychology trainees," Australian Journal of Rural Health, Vol. 20, No. 2, pp. 88-94, 2012. 

  8. K. A. Kozlowski and C. M. Holmes, "Experiences in online process groups: A qualitative study," The Journal of Specialists in Group Work, Vol. 39, pp. 276-300, 2014. doi:10.1080/01933922.2014.948235 

  9. K. A. Kozlowski and C. M. Holmes, "Teaching Online Group Counseling Skills in an On-Campus Group Counseling Course," The Journal of Counselor Preparation and Supervision, Vol. 9, No. 1, pp. 1-30. 2017. http://dx.doi.org/10.7729/91.1157 

  10. V. L. King, K. B. Stoller, M. Kidorf, K. Kindbom, S. Hursh, T. Brady, and R. K. Brooner,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net-based videoconferencing platform for delivering intensified substance abuse counseling,"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Vol. 36, No. 3, pp. 331-338, 2009. 

  11. S. N. L. Gilkey, J. Carey, and S. L. Wade, "Families in crisis: Considerations for the use of web-based treatment models in family therapy," Families in Society: The Journal of Contemporary Social Services, Vol. 90, No. 1, pp. 37-45, 2009. 

  12. D. G. Kho and Y. H. Nam, "Analysis Effects for Cyber Group Consultation Using Video Based System,"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7, No. 4, pp. 214-223, 2007. 

  13. M. White, Maps of narrative practice, pp. 218-242, W. W. Norton & Company, 2007. 

  14. J. A. Kim and E. Y. Cho,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of Career and Job-seeking Stress to College Students," International Information Institute (Tokyo), Information: Koganei, Vol. 19, No. 5, pp. 1633-1644, 2016. 

  15. M. S. Kwag and H. S. Jeon, "The Group Program for the Exploration of Ego Identity of School Violence Adolescent Offenders : Based on Narrative Therapy," Asia-pacific Journal of Mulit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9, No. 5, pp. 1-10, May, 2019. http://dx.doi.org/10.21742/AJMAHS. 

  16. Y. J. Jung and J. Y, Park,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Narrative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Underclass Children's Self-esteem, Peer Relationships, and Sociality," Family and Family Therapy, Vol. 27, No. 4, pp. 793-812, 2019. 

  17. A. C. Park,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 Ego-identity Sca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5, No. 1, pp. 140-162, 1996. 

  18. A. C. Park, "Validation of Korean Adolescent Ego-identity Scal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7, No. 3, pp. 373-392, 2003. 

  19. S. Schlein and B. Guerney,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77. 

  20. S. G. Jeon,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rehabilitation of the schizophrenic patients, Ph.D. Thesis. Soomgsil University, Seoul, Korea, 1995. 

  21. A. Barak and M. Dolev-Cohen, "Does activity level in online support groups for distressed adolescents determine emotional relie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Vol. 6, No. 3, pp. 186-190, 2006. 

  22. C. M. Holmes and K. A. Kozlowski, "A Preliminary Comparison of Online and Face-to-Face Process Groups," Journal of Technology in Human Services, Vol. 33, No. 3, pp. 241-262, Aug 2015. 

  23. S. H. Byun and J. M. Kim, "The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efficiency of a comptuter-ba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for weight management in obese women,"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Vol. 15, No. 3, pp. 541-569, 2015. 

  24. D. J. Jeong and H. S. Kweon,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web-based cognitive-behavioral program to overcome academic procrastina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Vol. 38, No. 2, pp. 13-31. Dec. 2017. 

  25. E. Marziali, "Developing evidence for an Internet-based psychotherapeutic group intervention," Journal of Evidence-Based Social Work, Vol. 3, No. 3-4, pp. 149-165. 2006. 

  26. E. H. Lee, "The Impact of Facebook Access Motivation on Facebook Addi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Mediator Role of Online Self-Disclosur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IJACT), Vol. 7, No. 2, pp. 103-112, 2019. http://dx.doi.org.libproxy.smu.ac.kr/10.17703/IJACT.2019.7.2.10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