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가 인식한 환자의 건강문해력 :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Health Literacy on Patients, Perceived by Nurses in Hospital : Focusing on Focus Group Interview Approach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4, 2020년, pp.583 - 590  

안지숙 (경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직 간호사가 인식한 환자의 건강문해력을 탐색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서울과 부산의 종합병원에서 근무 중인 간호사 총 10명을 2개 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인터뷰 내용은 연구참여자 동의 하에 녹음 후 필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내용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간호사들은 환자의 연령, 학력, 소득수준, 기저질환, 정서상태 등에 따라 환자의 건강문해력에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간호사가 건강문해력의 중요성을 더욱 인식하고 환자의 건강문해력 수준을 면밀히 파악하여 의사소통하도록 돕는 교육이 필요하며, 건강문해력이 취약한 환자를 지원하는 보건의료시스템의 변화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health literacy on inpatient and outpatient patients among nurses currently in the field.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 of ten nurses working for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Busa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focus group interviews and all interviews were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식한 환자의 건강문해력을 분석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 본 연구는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이용하여 현직 간호사가 인식한 환자의 건강문해력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사들은 환자의 연령, 학력, 소득수준, 기저 질환, 정서상태 등에 따라 건강문해력 수준이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건강문해력이라는 용어를 다소 생소해 하였다.
  • 본 연구는 현직 간호사의 건강문해력에 대한 인지 정도와 그들이 파악하는 환자의 건강문해력 수준 및 낮은 건강문해력을 보이는 환자에 대한 대처방법을 총체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는 향후 간호사의 건강문해력 관련 지식, 태도,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나아가 환자의 건강문해력을 고려한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정착에 기여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가 환자의 건강문해력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탐색하고 낮은 건강문해력을 가진 환자에게 어떻게 대처하는지 이해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1) 간호사가 생각하는 건강문해력은 무엇인가? 2) 간호사가 생각하는 환자의 건강문해력은 어느 정도인가? 3) 간호사가 낮은 건강문해력을 가진 환자에게 대처한 경험은 어떠한가?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인 중 대상자와 가장 밀접하게 접촉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건강문해력 관련 지식, 태도, 기술 수준을 알아보는 차원에서 일차적으로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의 건강문해력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간호사의 건강문해력 관련 지식, 기술 및 태도 수준을 향상시키는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나아가 대상자의 건강문해력을 고려한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정착에 기여하여 건강문해력 취약계층의 보건의료서비스 이해도, 만족도 및 건강 관리 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Ratzan SC, Parker RM. Introduction. In C. R. Selden, M. Xorn, S. C. Ratzan, & R. M. Parker (Ed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current bibliographies in Medicine: Health Literacy. NLM Pub. No. CMB 2000-1. Bethesda, M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0. 

  2.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ffice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Healthy people 2020. Washington, DC. Available at http://www.healthypeople.gov/2020/topicsobjectives2020/objectiveslist.aspx?topicId18. Accessed February 4, 2014. 

  3.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ffice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2010. National Action Plan to Improve Health Literacy. Washington, DC. Available at http://www.health.gov/communication/HLActionPlan/pdf/Health_Literacy_Action_Plan.pdf. Accessed February 4, 2014. 

  4. Nielsen-Bohlman L, Panzer AM, Kindig DA. Institute of Medicine, Committee on Health Literacy. Health literacy: a prescription to end confusio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4. 

  5. Baker DW, Parker RM, Williams MV, et al. The relationship of patient reading ability to self-reported health and use of health services. Am J Pub Health 1997;87:1027-30. 

  6. Weiss BD, Palmer R.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are costs and very low literacy skills in a medically needy and indigent Medicaid population. J Am Board Fam Pract 2004;27:44-7. 

  7. Coleman CA. Teaching health care professionals about health literacy: a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 Outlook 2011;59:70-8. 

  8. Mackert M, Ball J, Lopez N. Health literacy awareness training for health care workers: improving knowledge and intentions to use clear communication techniques. Patient Educ Couns 2011;85:e225-e228. 

  9. Coleman CA, Appy S. Health literacy teaching in US medical schools, 2010. Fam Med 2012;44(7) 504-7. 

  10. DeWalt D, Callahan L, Hawk V, et al. Health literacy universal precautions toolkit. AHRQ Publication No. 10-0046-EF.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0. 

  11. Powell CK, Kripalani S. Brief report: resident recognition of low literacy as a risk factor in hospital readmission. J Gen Intern Med 2005;20:1042-4. 

  12. Bass PF, Wilson JF, Griffith CH, et al. Residents' ability to identify patients with poor literacy skills. Acad Med 2002;77:1039-41. 

  13. Seligman HK, Wang FF, Palacios JL, et al. Physician notification of their diabetes patients' limited health literac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Gen Intern Med 2005;20:1001-7. 

  14. Deuster L, Christopher S, Donovan J, et al. A method to quantify residents' jargon use during counseling of standardized patients about cancer screening. J Gen Intern Med 2008;23:1947-52 

  15. Farrell MH, Kuruvilla P, Eskra KL, et al. A method to quantify and compare clinicians' assessments of patient understanding during counseling of standardized patients. Patient Educ Couns 2009;77:128-35. 

  16. Howard T, Jacobson KL, Kripalani S. Doctor talk: physicians' use of clear verbal communication. J Health Commun 2013;8:991-1001. 

  17. Kim SH, Lee EJ.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 Korean Acad Nurs 2008;38(Suppl 8):195-203. 

  18. Park JY, Jeon KJ. Influencing factors on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the rural elderly.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1;22(Suppl 1):75-85. 

  19. Lee TW, Kang SJ. Health Literacy in the Korean Elderly and Influencing Factors. J Korean Gerontol Soc 2008;28(Suppl 4):847-63. 

  20. An JS, Kim HR, Yang SJ. Factors related with Health Literacy in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3;24(Suppl 4):377-87. 

  21. Kim SS, Kim SH, Lee SY.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J Korean Soc Health Edu Promot 2005;22(Suppl 4):215-27. 

  22. An JS, Yang SJ. Development of a health literacy assessment scale for Asian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5;26(Suppl 4):330-41. 

  23. Holloway, I., & Wheeler, S. Qualitative research in nursing. Oxford: Blackwell Science. 2002. 

  24. Cho MJ, Kim HJ.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motional experience of married migrant women.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2020:6(1):191-199. 

  25. Institute of Medicine. Health literacy: A prescription to end confusion.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2004. 345 p. 

  26. Nutbeam D. Health literacy as a public goal: A challenge for contemporary health educa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to the 21st century.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00;15(3):259-267. http://dx.doi.org/10.1093/heapro/15.3.259 

  27. Ferguson B. Health literacy and health disparities: The role they play in maternal and child health. Nursing for Women's Health. 2009;12(4):287-298. http://dx.doi.org/10.1111/j.1751-486X.2008.00343.x Technology;2010 March. Report No.: 2007-0053325. 

  28. Kang JS, Park SJ. The impact of communication o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in elderly Korean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IJACT). 2019:7(3):5-8-6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