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 병동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와 암 환자 간호의 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moral distress and quality of nursing care in oncology nurse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6 no.4, 2020년, pp.366 - 373  

김새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  신용순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distress and the quality of nursing care. Methods: This cross-sectional correlation study included nurses working at oncology nursing units of two secondary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 A total of 207 nur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암 병동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와 암 환자 간호의 질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암 병동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가 암 환자 간호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부족한 암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도덕적 고뇌와 암 환자 간호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한 연구임에 의미가 있다. 암 병동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는 간호사뿐만 아니라 간호 실무 중 암 환자와 관련된 간호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더욱 더 중요하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반복연구를 통해 도덕적 고뇌가 높은 항목을 중점적으로 도덕적 고뇌를 감소시키는 중재 방안 마련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암 병동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암 환자 간호의 질의 수준과 이들의 관계, 암 환자 간호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암 환자 간호의 질은 도덕적 고뇌와는 음의 상관관계, 암 병동 경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암 병동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와 암 환자 간호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암 환자 간호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봄으로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암 병동에서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와 암 환자 간호의 질과의 관계와 암 환자 간호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횡단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의 도덕적 고뇌와 암 환자 간호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암 환자 간호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im S, Kim JH, Park JY, Suh EY, Yang HJ, Lee SY, et al. Oncolog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a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3):145-155. 

  2. Radwin L. Oncology patients' perceptions of quality nursing car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0;23(3):179-190. https://doi.org/10.1002/1098-240x(200006)23:3 3.0.co;2-t 

  3. Burston AS, Tuckett AG. Moral distress in nursing: Contributing factors, outcomes and interventions. Nursing Ethics. 2013; 20(3):312-324. https://doi.org/10.1177/0969733012462049 

  4. Ko HK, Chin CC, Hsu MT. Moral distress model reconstructed using grounded theory.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8;26(1):18-26. https://doi.org/10.1097/jnr.0000000000000189 

  5. Corley MC.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oral distress sca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1;33(2):250-256. 

  6. Jameton A. Nursing practice, the ethical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1984;22(4):331-343. 

  7. Wilkinson JM. Moral distress in nursing practice: Experience and effect. Nursing Forum. 1987;23(1):16-29. https://doi.org/10.1111/j.1744-6198.1987.tb00794.x 

  8. Park BH, Oh YJ. Moral distress experienced by nurses in South Korea: An integrated review.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2016;19(3):312-327. 

  9. You MS. Concept analysis of moral distress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4;10(1): 49-62. 

  10. Kim MJ, Lee EN.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intra-operative caring behaviors perceived by regional anesthesia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 42(5):749-758. 

  11. Shafipour V, Esmaeili R, Heidari MR, Aghaei N, Saadatmehr SR, Sanagoo A. Investigating the level of moral distres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nurses in Mazandaran burn center. Journal of Mazandar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2015;25(126):58-67. 

  12. Lievrouw A, Vanheule S, Deveugele M, De Vos M, Pattyn P, Belle V, et al. Coping with moral distress in oncology practice: Nurse and physician strategies. Oncology Nursing Forum. 2016;43(4):505-512. https://doi.org/10.1188/16.ONF.505-512 

  13. Mehlis K, Bierwirth E, Laryionava K, Mumm FH, Hiddemann W, HeuBner P, et al. High prevalence of moral distress reported by oncologists and oncology nurses in end of life decision making. Psych-Oncology. 2018;27(12):2733-2739. https://doi.org/10.1002/pon.4868 

  14. Seo MJ. Burnout and coping type of oncology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1. p. 1-66. 

  15. Hamric AB, Borchers CT, Epstein EG.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instrument to measure moral distress in healthcare professionals. AJOB Primary Research. 2012;3(2):1-9. https://doi.org/10.1080/21507716.2011.652337 

  16. Chae YR, Yu SJ, Lee EJ, Kang KJ, Park MS, Yu M.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ral distress scale-revised for Korean hospital nurse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6;22(2):228-239. 

  17. Charalambous A, Adamakidou T.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Quality of Oncology Nursing Care Scale (QONCS). BMC Nursing. 2014;13(1):48-58. https://doi.org/10.1186/s12912-014-0048-4 

  18. Sirilla J. Moral distress in nurses providing direct care on inpatient oncology units.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4;18(5):536-541. https://doi.org/10.1188/14.CJON.536-541 

  19. Oh YJ, Gastmans C. Moral distress experienced by nurses: A quantitative literature review. Nursing ethics. 2015;22(1):15-31. https://doi.org/10.1188/14.CJON.536-541 

  20. Seo JY, Yi M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caring experience of nurses working in a chemotherapy ward in Korea. Asian Oncology Nursing. 2017;17(1):55-67. https://doi.org/10.5388/aon.2017.17.1.55 

  21. No JY, Ahn HR. Compassion fatigue experience of oncology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304-314. https://doi.org/10.1188/17.CJON.E61-E66 

  22. Barlem ELD, Lunardi VL, Lunardi GL, Tomaschewski-Barlem JG, Silveira RSD. Moral distress in everyday nursing: Hidden traces of power and resistance. Revista Iatino-Americana De Enfermagem. 2013;21(1):293-299. https://doi.org/10.1590/S0104-11692013000100002 

  23. Austin CL, Robert S, Phillip JF. Moral distress in physicians and nurses: Impact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turnover.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2017;9(4):399-406. https://doi.org/10.1037/tra0000201 

  24. Park AR, So HS, Chae MC. Recognition of patients, families, nurses, and physicians about clinical decision-making and biomedical ethics. Asian Oncology Nursing. 2014;14(1):23-31. https://doi.org/10.5388/aon.2014.14.1.23 

  25. Johnstone MJ, Hutchinson A. 'Moral distress'-time to abandon a flawed nursing construct? Nursing Ethics. 2015;22(1):5-14. https://doi.org/10.1177/0969733013505312 

  26. Bahrami M. Why differences exist? An interpretive approach to nurses'perception of cancer patients' quality of life.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2011;16(1):117-124. 

  27. Kim HR, Kwon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oncology adaptation experiences of new nurses. Asian Oncology Nursing. 2014;14(2):127-138. https://doi.org/10.5388/aon.2014.14.2.127 

  28. Park SY. Issues and challenges of nursing workforce supply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 care services.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2018;6(1):31-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