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 동아시아 훈의(熏衣)문화와 향재의 교역 연구
A Study on Perfuming Clothes and the Incense Trade of East Asia in Goryeo Dynasty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3 no.2, 2020년, pp.204 - 221  

하수민 (한독의약박물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훈의문화는 동아시아에서 공유한 문화이다. 해양 실크로드의 번영과 향재의 교역은 향 문화를 발달하게 해준 직접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향 문화의 발달 시기는 교역의 시작시기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훈의(熏衣)는 향을 태운 연기로 향을 입히는 용법이다. 중국은 한대(漢代)부터 합향을 제조하였으며, 훈롱(熏籠)을 사용한 기록이 있어 훈의향을 합향으로 제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당대(唐代)에 향료의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천금요방』, 『향보』, 『향승』 등에 훈의향의 제조법과 훈의 기술이 나타나고 『계해우형지』와 『제번지』 등의 서적을 통해서도 향료의 교역국과 교역품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훈의향의 제조법과 용법이 기록된 문헌과 훈의에 필요한 도구들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에는 불교의 전래와 함께 향이 소개되었다. 『매신라물해』의 기록을 통하여 일본과의 향 교역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훈의향이라는 교역품이 기록되어 있어 신라시대부터 훈의를 시행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향재의 교역이 융성하였던 고려시대에는 인삼과 함께 사향을 수출하였다. 왕실에서는 송(宋)으로부터 하사받은 향을 사용하였으며, 부인들은 향낭류의 패식향을 선호하였다. 패식향의 선호가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조선시대에는 훈의의 기록을 찾기 어렵다. 조선시대에는 패식향의 사용, 향로에 피운 향의 냄새가 간접적으로 의복에 스며드는 방식, 그리고 옷장에 의향을 넣어두는 간접적인 방향을 선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은 『매신라물해』의 기록을 통하여 신라를 통해 향을 교역한 사실을 알 수 있다. 헤이안 시대 궁정 소설 『겐지이야기』를 보면 당시 귀족들의 향 문화와 훈의문화, 향 교역을 추정 할 수 있다. 일본의 훈롱은 필수 혼수품으로 자리 잡았으며, 그에 따라 실용적인 형태로 발달하고 장식성이 가미되었다. 베트남 남부의 점성국이 훈의를 시행한 사실은 『제번지』에 직접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베트남 북부의 교지국이 훈의를 행하였다는 직접적인 기록은 찾기 어렵다. 그러나 중국과 복식 문화가 같다는 기록과 훈의를 행하였던 국가인 중국과 점성국에 인접하였다는 점, 그리고 향료의 원산지라는 점에서 훈의문화를 공유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한·중·일, 그리고 베트남은 훈의를 시행하는 문화를 공유하였다. 이를 통해 훈의향의 목적과 발달 시기, 훈의향의 제작, 훈의법, 훈의 도구, 훈의를 하는 사람의 성별 그리고 사용한 향재에서 공통성을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ast Asian countries share a culture of perfuming clothes. The prosperity of the Maritime Silk Road and the incense trade are direct factors that have led to the development of incense culture. Perfuming clothes is a method of applying fragrance by burning incense. The Chinese could make an incense ...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36)

  1. 千金要方 

  2. 宮詞 

  3. 香譜 

  4. 寶慶四明志 

  5. 桂海虞衡志 

  6. 諸蕃志 

  7. 夢梁錄 

  8. 日本書紀 

  9. ?集類抄 

  10. 三國遺事 

  11. 三國史記 

  12. 高麗史 

  13. 高麗圖經 

  14. 山林經濟 

  15. 東醫寶鑑 

  16. 內醫院式例 

  17. 四佳集 

  18. 김영, 향과 헤이안왕조, 일본문화학보 Vol.66, 2015 

  19. 김영, 일본의 후각문화와 향, 동아인문학 Vol.32, 2015 

  20. 김영, 박찬익, 일본 고대의 향도와 향문화 -향의 문학적 기능을 중심으로-, 일본훈화학보, Vol.65, 2015 

  21. 김영제, 송대 죽국과 고려 사이의 해상 교역품, 역사문화연구 Vol.60, 2016 

  22. 박남수, 정창원 매신라물해(買新羅物解)를 통해 본 신라 물품 교역, 정창원 소장 한반도 유물 - 정창원을 통해 밝혀지는 백제 통일신라의 비밀, 2018 

  23. 시노류향도 21대 당주 계승자, 일본의 향도와 시노류 향도의 역사, 문향 Vol.2, 2015 

  24. 옥나영, 신라 시대 '香'과 그 문화-香.의 용례 검토를 통하여, 崇實史學 第42輯, 2019 

  25. 이경희, 조선시대 香문화와 의생활, 부산대학교대학워 박사학위논문, 2011 

  26. 이경희.최덕경, 宋代 沈香 계통의 분류체계와 용도, 중국사연구 Vol.100, 2016 

  27. 중국민속학회중국향향문화연구센터, 중국 향문화의 발자취, 문향 Vol.2, 2015 

  28. 하수민, 조선 왕실 가례의 부용향(芙蓉香)연구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를 중심으로-, 문화재, Vol.52 No.3, 2019 

  29. 국립중앙박물관,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 2016 

  30. 박세욱 역주, 바다의 왕국들 -제번지역주-, 영남대학교출판부, 2019 

  31. 송인갑, 향수: The story of perfume, 한길사, 2004 

  32. 무라사키 시키부, 김난주 옮김 겐지이야기, 한길사, 2007 

  33. 傳京亮, 中國香文化, 齊魯書社, 2008. 

  34. Kwa Chong Guan, The Maritime Silk Road: History of an Idea NSC Working Paper No. 23, 2016 

  35. 文化遺産オンライン https://bunka.nii.ac.jp/ 

  36. http://spice.eplus.jp/articles/230631/images/65494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