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대처 경험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Experience in Coping with End-of-life Care Nursing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 2021년, pp.710 - 721  

김동희 (부산대학교 간호학과) ,  이라진 (부산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가 경험하는 임종간호 대처 경험의 구조를 규명하여 경험의 의미를 파악, 기술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현상학적인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6명의 임종간호 대처 경험을 심층적으로 면담하였고, Colaizzi가 제시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대처 경험은 3개의 범주와 15개의 주제모음으로 구조화하여 규명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의 임종간호 경험의 세 범주는 '임종환자를 돌보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태도', '임종간호 스트레스', '임종간호 대처'이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더불어 대처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전문가 상담과 같은 프로그램의 운영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escribe,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experiences by clarifying the structure of the coping experience of end-of-life care(EOLC) experienced by long-term care hospitals(LTCHs) nurses'. Methods: Data were gathered from 16 nurses who had been workin...

주제어

표/그림 (2)

참고문헌 (39)

  1.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Retrieved 2019.10.12. 

  2. 김경완, 장숙랑, "일 권역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하는 요양병원 환자들의 특성 및 사망 위험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7권, 제4호, pp.327-336, 2016. 

  3. 강군생, 김정선, "노인의 사회적 입원으로 인한 요양병원에서의 삶의 변화," 한국노년학, 제37권, 제1호, pp.103-127, 2017. 

  4. S. L. Lewis, "What's in a name anyway?,"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Vol.16, No.3, pp.220-221, 2013. 

  5.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조현숙, 강정희, 이정인, 김영주, 박진희, 신미경, 기본간호학II, 서울: 현문사, 2018. 

  6. 송경애, 박형숙, 홍영혜, 이강이, 정승교, 조복희, 윤은주, 양진향, 최동원, 김영희, 김삼숙, 김현주, 양영옥, 김미영, 김윤경, 김희주, 최신 기본간호학II, 서울: 수문사, 2017. 

  7. P. A. King and S. P. Thomas, "Phenomenological Study of ICU Nurses' Experiences Caring for Dying Patient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35, No.10, pp.1292-1308, 2013. 

  8. L. Peters, R, Cant, M. O'Connor, F. McDermott, K. Hood, J. Morphet, and K. Shimoinaba, "How death anxiety impacts nurses' caring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A review of literature," Open Journal of Nursing, Vol.7, pp.14-21, 2013. 

  9. 이지현, 박정숙,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간호근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6호, pp.449-458, 2017. 

  10. McVicar, "Workplace stress in nursing :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44, No.6, pp.633-642, 2003. 

  11. H. U. Yu and S. Chan, "Nurses' response to death and dying in an intensive care unit-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9, No.7-8, pp.1167-1169, 2010. 

  12. K. Tunnah, A. Jones, and R. Johnstone, "Stress in hospice at home nurses: a qualitative study of their experiences of their work and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rsing, Vol.18, No.6, pp.283-289, 2012. 

  13. H. Yu, A. Jiang, and J. Shen,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among oncology nurses: A cross-sec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57, No.1, pp.28-38, 2016. 

  14. 이미경, 암환자의 임종에 대한 간호사의 대처 경험,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5. 이가언, 조정금, 함승희, 정명윤, "병원간호사의 노인 입원 환자 간호경험," 노인간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20-230, 2014. 

  16. 설은미, 고진강,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 환자 돌봄 경험," 중환자 간호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10, 2018. 

  17. 이수정, 김혜영,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치료환자 간호 경험: 현상학적 접근," 기본간호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72-183, 2016. 

  18. 강현주, 방경숙, "신생아중화자실 간호사의 임종환아 돌봄경험," 아동간호학회지, 제19권, 제4호, pp.252-261, 2013. 

  19. 김유미, 윤효영, 최용준, 신동수, "고위험신생아 임종에 대한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대처 경험,"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제44권, 제2호, pp.103-110, 2019. 

  20. B. M. C. Yam, J. C. Rossiter, and K. Y. S. Cheung, "Caring for dying infants: experiences of neonatal intensive care nurses in Hong Ko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0, pp.651-659, 2001. 

  21. 곽수영, 이병숙, "말기암 환자의 호스피스 수용 경험: 현상학적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6호, pp.781-790, 2013. 

  22. 권수혜, 태영숙, 홍민주, 최금희, "호스피스 완화병동 간호사의 말기암 환자 돌봄 경험," 종양간호학회지, 제15권, 제4호, pp.264-275, 2015. 

  23. 이병숙, 곽수영, "호스피스간호사의 영적갈등 경험: 현상학적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47권, 제1호, pp.98-109, 2017. 

  24. E. L. Y. Wong, N. Kiang, R. Y. N. Chung, J. Lau, P. Y. K. Chau, S. Y. S. Wong, E. K. Yeoh, and J. Woo, "Quality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Hong Kong: Perspectives of Healthcare Provi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7, No.14, p.5130, 2020. 

  25. R. Odachi, T. Tamaki, M. M. Ito, T. Okita, Y. Kitamura, and T. Sobue, "Nurses' Experiences End-of-life Care in Long-term Care Hosptals in Japan: Balancing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Sustaining the Lives of Patioents Dying at Hospitals," Asian Nursing Research, Vol.11, pp.207-215, 2017. 

  26. Jean C. Munn, D. Dobbs, A. Meier, S. Christianna, H. G. Williams, and S. Zimmerman, "The End-of-Life Experience in Long-Term Care: Five Theme Identified From Focus Groups With Residents, Family Members, and Staff," The Gerontologist, Vol.48, No.4, pp.485-494, 2008. 

  27. 안수연, 김희경, 공은숙, 김남초, 김춘길, 송미순, 이영휘, 장성옥, 조명옥, 최경숙, "간호사의 노인임종 경험," 노인간호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18-129, 2014. 

  28. 이춘이, 이가언, "요양병원 간호사의 노인환자 임종간호 경험,"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31권, 제2호, pp.199-211, 2020. 

  29. 최영희, 질적 간호연구, 서울: 수문사, 1993. 

  30. 김분한, 김금자, 박인숙, 이금재, 김진경, 홍정주, 이미향, 김영희, 유인영, 이희영,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대한간호학회지, 제29권, 제6호, pp.1208-1220, 1999. 

  31. P. E,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Existential phenomenolo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pp.48-71, 1978. 

  32. N. K. Dezin and Y. S. Lincoln, The landscape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1998. 

  33. E. G. Guba and Y. S. Lincoln,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81. 

  34. 김정숙, 김광숙, 최모나, 이현경, "혈액종양병동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20권, 제1호, pp.24-34, 2011. 

  35. 박효진, 강은희, "간호사의 임종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중환자간호학회지, 제13권, 제호, pp.76-86, 2020. 

  36. 고문정, 문소현,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25권, 제4호, pp.327-337, 2016. 

  37. 김희진, 김혜영,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 스트레스 경험: 현상학적 접근," 한국성인간호학회지, 제28권, 제5호, pp.572-584, 2016. 

  38. E. Andersson, Z. Salickiene, and K. Rosengren, "To be involved-A qualitative study of nurses' experiences of caring for dying patients," Nurse Education Today, Vol.38, No.1, pp.144-149, 2016. 

  39. 전영희, 전경자,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22권, 제3호, pp.125-133,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