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근로자가 갖는 안전불감증의 특성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Insensitivity in Construction Worker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2 no.2, 2021년, pp.88 - 96  

김세엽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차수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차용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한상원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건설산업에는 많은 안전사고 발생한다. 사고가 발생하는 이유는 원인을 몰라서가 아니라, 사고의 원인과 대책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의 위험성을 과소평가하거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안전불감증에 기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근로자가 느끼는 안전불감증과 이를 유발하는 문화적, 경제적, 교육적, 기술적, 작업관리적의 5가지 종류의 원인들을 도출하였다. 103명의 건설근로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건설근로자의 안전불감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안전교육이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경제적인 원인은 건설근로자의 안전불감증의 정도에 상관없이 불안전한 행동이나 불안전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건설근로자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40대와 50대의 안전불감증이 20대나 60대 이상보다 현저히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논문에서 분석된 건설근로자의 안전불감증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연령 및 근무경력에 따른 특성은 향후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identify and eliminate the direct causes of the construction accident, but many accidents are still occurr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main reason for the construction accident is not because of ignorance of the causes, but because of safety insensitivity. Th...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설근로자가 갖는 안전인식에 따라 안전불감증과 5가 지원인들 간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설문 응답자별 안전불감증에 대한 인식수준을 묻는 8문항을 토대로 안전지수(Safety Index)를 산출하였다.
  • 다음으로 안전불감증을 유발하는 원인들에 대한 작업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정량적인 값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역시 다른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안전불감증 관련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 들을 토대로, 건설 분야의 특성에 맞게 보완 및 수정한 후, 설문문항을 작성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근로자들의 안전불감증과 이를 유발하는 원인사이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안전불감증을 유발하는 문화적, 경제적, 교육적, 기술적, 작업관리적 원인을 도출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각 원인들이 안전불감증에 미치는 영향과 연령과 업무경력이 안전불감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본 장에서는 건설현장 작업자들이 느끼는 안전불감증에 대한 인식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앞서 3.
  • 본 절에서는 상·하위 25% 그룹별 응답자의 특성(연령, 경력)에 따라 안전불감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그간 대형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건설현장에 만연한 '안전불감증'의 위험성은 자주 지적되어 왔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근로자들의 안전불감증과 이를 유발시키는 원인과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안전불감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수행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안전사고의 발생은 원인을 모르기 때문에 발생하기 보다는, 원인과 대책을 알면서도 시행하지 않게 만드는 안전불감증에 더 많이 기인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근로자들의 안전불감증과 이를 유발하는 원인사이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안전불감증을 유발하는 문화적, 경제적, 교육적, 기술적, 작업관리적 원인을 도출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각 원인들이 안전불감증에 미치는 영향과 연령과 업무경력이 안전불감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ird, F.E. (1974). "Management Guide to Loss Control." Institute Press, Division of International Loss Control Institute, Atlanta, U.S.A. 

  2. Choi, S., and Kim, H. (2006). "A Study on the Safety Climate and Worker?s Safe Work Behavior in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afety, 21(5), pp. 60-71. 

  3. Choi, S. (2019). "Correlation Analysis of Construction Size and Safety Climate Recognition." Kyunghee Univ., Korea. 

  4. Ham, J. (2014). "Analysi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Workers generating Construction Fall Fatal Accidents." Master thesis, Univ. of Seoul, Korea. 

  5. Heinrich, H.W. (1931).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 A Scientific Approach 1st ed." McGraw Hill. 

  6. Hong, M. (2001). "A Research on Causes of Safety Indifference and its Remedy." Master thesis, Ajou Univ., Korea. 

  7. Jung, J. (2016). "Act on Occupation Safety and Health." Joongang economic. 

  8. Kang, J. (2010). "The Cultural Politics of 'Ppallippalli': A Study on the 'Speed Communication' in Korea."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0(3), pp. 47-80. 

  9. Kim, Y. (2005). "Safety consciousness for construction disaster of construction workers : focused on the construction workers in Gyeonggi province." Master thesis, Hanyang Univ., Korea. 

  10. Kim, N. (2017). "Producing indirect accident causes related to direct causes in construction site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11. Kin, K., and Park, Y. (2002). "The Effects of Safety Climate 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5(1), pp. 19-39. 

  12. Kim, K., Kim, Y., and Hwang, J. (2015). "Factors and Solutions of Insensitivity to Road Traffic Safety." Korean Police Studies Review, 14(2), pp. 19-40. 

  13. Kim, T., and Han, H. (2017). "A study on Change and Direction of Safety & Health Awareness of Construction Administration." Journal of Gyunggi Research Institute, 19(1), pp. 69-90. 

  14. KOSHA (2019). "Stat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Report."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15. Lee, H. (2016). "Study on Safety Management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Analysis Safety Awreness of Workers." Kyunghee Univ., Korea. 

  16. Lee, K., Jo, H., and You, K. (2012). "Man-Machine System Safety :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Occupational Injury Rate and Mortality Rate of the Total Workers and Foreign Work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afety, 27(1), pp. 96-104. 

  17. Lee, Y., Kim, J., Choi, S., and Kim, C. (2011). "A study on the plan of improvement to reduce the occurrence of accidents of small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Korea Management Engineers Society, 16(3), pp. 99-113. 

  18. Min, G., Cha, Y., Han, S., and Hyun, C. (2019).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Unsafe Acts and Human Errors of Workers for Construction Accident Preven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35(5), pp. 161-168. 

  19. Moon, K. (2014). "A Study on the constructs of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Kyunghee Univ., Korea. 

  20. Oh, K., Kim, H., Han, S., Hyun, C., and Cha, Y. (2018). "Analysis on Consciousness of Shifting Responsibility triggering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Korean Journal of Cona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9(6), pp. 55-64. 

  21. Park, I., Kim, J., Han, S., and Hyun, C. (2020). "Analysis of Fatal Accidents and Their Causes in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Sustainability. 2020; 12(8):3120. https://doi.org/10.3390/su12083120. 

  22. Shin, H. (2016). "Analysis of Worker's Pschological Reactance on Safety Prevention Activities." Master thesis, Univ. of Seoul, Korea. 

  2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6). "Fire Safety Poll Result Repor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