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박지 통항선박의 충돌위험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정박지 통항선박의 안전 -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Collision Risk Model of Passing Vessels at an Anchorage (Safety Domain)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7 no.1, 2021년, pp.67 - 73  

이진석 (목포해양대학교 항해학부) ,  권유민 (목포해양대학교 항해학부) ,  최정석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충돌 사고 중에서 정박지에서 대기하고 있는 선박과 이 정박지를 통항하는 선박 간 충돌사고가 자주 발생함에 따라, 정박선 사이를 통항하는 선박의 충돌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통항 선박의 안전 영역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최대 항만인 부산항 남외항 정박지를 대상 해역으로 선정하고 정박선이 가장 많이 대기한 기간 VTS(Vessel Traffic Service) 항적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정박선 사이를 통항하는 선박의 길이(L)를 기준으로 정박선과 어느 정도의 안전한 거리(D)를 두고 통과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통항 선박의 방위별 D/L 비를 구하였다. D/L 비 분포의 평균 domain을 기준으로 기존 선박 domain 범위 안으로 정박선이 존재할 비율을 분석하여 VTS 관제사의 위험 정도를 반영한 domain을 도출하였다. 추후 연구로는 정박선 사이의 최소 안전거리인 Domain-watch와 정박지 통항 선박의 안전 domain을 활용한 정박지 통항 선박의 충돌위험도 평가 및 분석을 하고, 이를 통해 VTS가 정박지를 좀 더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a safe area for a passing vessel between anchored vessels by developing a model to predict the collision risk, frequent collisions occur between the anchored vessel and the passing vessel through the anchorage. For this, this study selected the southern ancho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정박선과 정박선 사이를 통항하는 선박의 충돌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통항 선박의 안전 영역을 도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최대 항만인 부산항 남외항 정박지를 대상 해역으로 선정하고 정박선이 가장 많이 대기하여 정박지가 포화 상태인 연말과 연초를 조사 기간으로 VTS 항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VTS에서 부산항 남외항 정박지와 같은 집단정박지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박선과 정박선 사이를 통항하는 선박의 충돌위험을 예측하기 위한 통항 선박의 안전 영역을 도출하는 것이므로, Fujii 와 정박선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최소 domain보다는 VTS 관제사가 선박의 근접 상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충분한 domain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충돌 사고 중에서 항해하는 선박 간에 발생하는 사고 외에도 정박지에서 대기하고 있는 선박과 이 정박지를 통항하는 선박 간에도 충돌사고가 자주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 마련과 연구가 필요하여 진행하게 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정박선 사이를 통항하는 선박의 안전영역을 구하기 위하여 부산항 VTS의 항적 데이터를 추출하였고, Fig. 5와 같이 정박지에 가장 많은 선박이 투묘하여 여유 공간이 없는 상황에서 이 정박선 사이를 통항하는 선박 길이를 기준으로 정박선과의 거리를 방위별로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PA(2015), Busan Port Authority, A Study on Efficient Management of N-anchorage and North Harbor Mooring Facilities in Busan Port, Chapter 4, pp. 69-78. 

  2. Coldwell, T. G.(1983), Marine traffic behaviour in restricted waters, Journal of Navigation, 36(3), pp. 430-444. 

  3. Fujii, Y. and K. Tanaka(1971), Traffic capacity, Journal of Navigation, 24(4), pp. 543-552. 

  4. Kim, D.(2019), Analysis of a Distributed Stochastic Search Algorithm for Ship Collision Avoid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5, No. 2, pp. 169-177. 

  5. Kim, D. H.(202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Navigator'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Perceived Collision Risk in Close-quarter Situ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6, No. 6, pp. 644-655. 

  6. KMST(2019),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Statistics of Marine Accident for the Past 5 Year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outh Korea. 

  7. Lee, H. H.(2017a), Improvement Plans for Anchorage at Yeosu Kwangyang 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3, No. 1, pp. 17-25. 

  8. Lee, J. S.(2017b), The Development of the Ship Collision Risk Model from the VTSO's Viewpoint, Doctoral thesis, Korea Maritime Ocean and University. 

  9. Lee, J. S. and C. U. Song(2018), The Efficient Anchorage Management of VTS through Analysis of Domain Watch, The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42, No. 3, pp. 201-206. 

  10. MOF(2014),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Guidelines of Port and Harbor Design, Chapter 6 Water Facilities, pp. 710-713. 

  11. Namgung, H., J. S. Jeong, and J. S. Kim(2019), Inference System of Collision Risk using Ship Near-Collision Dat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ce System, Vol. 29, No. 5, pp. 395-402. 

  12. Park, J. and J. S. Jeong(2020), Assessment of Ship Collision Risk in Coastal Waters by Fuzzy Comprehensive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ce System, Vol. 30, No. 4, pp. 325-330. 

  13. Park, J. M.(2016), A Study on the Method of Representing Anchorage Using Occupancy Rate; Simulation Based on Ulsan E Anchor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Research Paper, Vol. 22, No. 2, pp. 167-173. 

  14. Park, J. M., G. H. Yun, H. D. Jeon, and G. Y. Kong(2016), The Proper Capacity of Anchorage in Ulsan Port with Reference to the Anchorage Operating Ra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2, No. 5, pp. 380-388. 

  15. Park, Y. S., J. Y. Jeong, and J. S. Kim(2010), A Study on the Minimum Safety Distance between Navigation Vessels based on Vessel Operator's Safety Conscious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7, No. 47, pp. 401-402. 

  16. PIANC Report No. 121(2014), Harbour Approach Channels Design Guidelines, The World Association for Waterborne Transport Infrastructure, Chapter 3, pp. 99-102. 

  17. Yim, J. B.(2019), Analysis of Seafarers' Behavioral Error on Collision Accident, The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43, No. 4, pp. 237-2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