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술변화에 따른 IT 서비스업의 숙련 미스매칭 분석
An Analysis for the Skill Mismatching of IT Service Sector by Technology Chang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2, 2021년, pp.273 - 282  

김영달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팀) ,  정순기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팀) ,  안종창 (한양대학교 정보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급격한 기술 변화의 흐름 속에서 IT서비스업 분야의 스킬 미스매칭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가 집단에 대한 심층 인터뷰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숙련노동의 수요자인 기업이 바라보는 IT 산업의 현황과 숙련노동의 공급과 관련된 교육자들이 바라보는 시각에 일부 차이가 있었다. 숙련에 대한 분석 도구로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해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매칭이 이루어진 경우 주어진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의 평균은 3.7점이었고, 만족도의 평균은 3.4점으로, 채용한 인력에 대해 어느 정도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전공자 교육생의 숙련도 수준에 대해서는 중요도의 평균이 3.79점이었으나, 만족도의 평균은 3.12점이었다. 학력, 학점, 자격증, 수상경력, 어학능력에 대해서는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는 공통점이 있었다. 전공역량의 중요도에 대해서는 매칭 전 집단에 대한 만족도보다는 매칭이 이뤄진 집단에서의 만족도가 평균 대비 높게 나타났다. 기업이 원하는 숙련은 다차원적인 역량을 포함하며, 주로 soft-skill 항목들과 관련이 높았다. IT 서비스업에 속한 기업들은 숙련 미스매치의 원인으로 산업의 인력구조가 세분화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이유로 들었고, 교육기관에서는 시간의 불일치를 꼽았다. 전문가 집단들은 모두 향후 미스매치 갭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었다. 숙련의 공급은 기술이 변해가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었다. 갭의 해결 방안으로 전문가 모두 산학연 과정을 뽑았으며, 장기적인 안목에서 인력을 육성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for skills mismatching of the IT service sector in the flows of fast technology changes. It was conduct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method for professional groups. There were differences in demand for skilled labor by business organizations and educators as providers of s...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갖고 있었다. 4차 산업과 같이 질적인 부분을 강화해야 하는 경우, 장기적인 안목에서 인력을 육성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 현상을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그 가운데 숙련의 대리변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 찾아보기로 한다.
  • 기술 변화로 고용의 양상이 달라질 때의 숙련도 미스매칭에 대한 단서를 얻기 위해, IT 비전공자 교육생의 숙련도 수준에 대한 조사 결과를 제시한다. 조사 방법은 IT 학원에서 기술교육을 담당하는 교육 관련자의 시각을 정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비전공자라는 배경을 가진 노동 공급의 숙련도 수준을 알아보기로 한다.
  • 기술혁신 국면에서 노동수요와 공급에 질적인 측면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숙련 노동의 수요자인 기업과 숙련노동의 공급과정에 참여하는 교육관계자들의 의견을 통해 질적인 미스매칭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기대하였다.
  • 그 밖에 고려된 점은 노동의 공급과 수요 사이의 고용 가능성의 미스매치를 관찰할 수 있는 사람들로 구성하려는 점이다. 노동의 수요 측면과 노동의 공급 측면에서의 관찰을 함께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난 몇 년간 진행된 급격한 기술 혁신의 흐름 속에서 IT 서비스업 분야의 스킬 미스매칭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 IT 산업의 인력은 양적 공급기반이 확보된 반면, 질적 측면에서의 미스매칭이 지속되어 온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1].
  • 본 장에서는 예측오차가 포함된 숙련도의 사후적 매칭 상태와 IT 비전공자 노동공급의 평균적인 숙련도 두 가지 측면에서 숙련도 미스매치에 대한 조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술의 변화가 일어나는 상황에서의 숙련도 미스매치에 대한 단서로서, 숙련도의 매칭 상태와 구직자 집단의 숙련 수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숙련도 미스매칭은 빈 일자리를 유발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단기적으로 존재하는 것인지 장기적으로 지속될 여지가 있는지 연구하여 노동시장 구조의 변화 향방을 가늠하고자 한다.
  • 앞서 언급된 일련의 시장 상황 변화로 인해 IT 서비스기업의 고용이나 원하는 인재 상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조사했다. 기업 관련자의 공통된 의견은 IT 서비스산업 전반적으로 원하는 인력을 구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 한다. 이를 통해 기술의 변화가 일어나는 상황에서의 숙련도 미스매치에 대한 단서로서, 숙련도의 매칭 상태와 구직자 집단의 숙련 수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숙련도에 대해서 노동수요자가 생각하는 중요도 항목이 있고, 이들 항목에 대해서 실제 고용과정이나 고용 이후 만족도에서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또한 숙련의 양극화 가능성, 핵심 인재의 채용 방식에는 차이가 있는지 등이 고려되었다. 질문 사항을 통해 전문가집단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조사는 2019 년 12월에 그룹별로 FGI(Focus Group Interview) 형태로 수행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S. K. Jeong, IT Industry and Quality of Employment, Report of Research Business,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Basic 2018-18, Korea, pp. 1-92, Dec. 2018. 

  2. S. K. Hwang, Search for the Change of Korean Skill Structure and Core Functional Manpower, Korea Labor Institute, 2007. 

  3. OECD, OECD Employment Outlook 2018, OECD Publishing, France, Paris, 2018. 

  4. S. K. Jeong, E. H. Jee, J. Heo, Y. D. Kim, J. C. Ahn, An Analysis on Skill Mis-matching for IT Technology Employees of IT Service Industry, Report of Research Business,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Basic 2019-061, Korea, pp. 1-257, Jun. 2020. 

  5. OECD, Getting Skills Right: Skills for Jobs Indicators, OECD Publishing, France, Paris, 2017. 

  6. B. Y. Cheon, "Special Issue of Korean Labor Pannel: Industry-specific Skill and Wage," Korean Journal of Labor Economics, vol.24, no.1, pp. 125-147, 2001. Available From: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0128941056779 (accessed Oct., 15, 2020) 

  7. Confederation and British Industry (CBI), Future fit: preparing graduates for the world of work, UK, London, pp. 1-59, 2009. 

  8. L. Harvey, "Defining and Measuring Employability," Quality in Higher Education, vol.7, no.2, pp. 97-109, 2001. DOI: https://doi.org/10.1080/13538320120059990 

  9. J. Hillage, E. Pollard. "Employability: developing a framework for policy analysis," Research Brief, no.85,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