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초미세먼지(PM2.5) 예측 성능 비교 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f prediction performance of fine particulate matter(PM2.5) based on deep learning algorithm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3, 2021년, pp.7 - 13  

김영희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융합공학과) ,  장관종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융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딥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 GAN 모델을 기반으로 초미세먼지(PM2.5) 인공지능 예측시스템을 개발한다. 실험 데이터는 시계열 축으로 생성된 온도, 습도, 풍속, 기압의 기상변화와 SO2, CO, O3, NO2, PM10와 같은 대기오염물질 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데이터 특성상, 현재시간 농도가 이전시간 농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반복지도학습(Recursive Supervised Learning) 예측 모델을 적용하였다. 기존 모델인 CNN, LSTM의 정확도(Accuracy)를 비교분석을 위해 관측값(Observation Value)과 예측값(Prediction Value)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시각화했다. 성능분석 결과 제안하는 GAN이 LSTM 대비 평가항목 RMSE, MAPE, IOA에서 각각 15.8%, 10.9%, 5.5%로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s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system for Fine particulate Matter(PM2.5) based on the deep learning algorithm GAN model. The experimental data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and atmospheric pressure generated by the time series axi...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임의적인 방법으로 데이터를 복구하였을 시 추후 결과도출에 미치는 영향을 클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당지역을 1일(24시) 평균값으로 하는 선형보간법(liner interpolation)으로데이터를 보정하였다. Table 1.
  •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들을 인공신경망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기상 조건과 대기오염물질, 미세먼지(PM10) 농도를 기반으로 초미세먼지 (PM2.5) 농도 변화을 예측하기 위하여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s), LSTM(Long Short-Term Memory),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등의 모델에 대한 학습 정확도와 성능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정확도 분석은 관측값와 예측값간의 차이를 시각화하였으며, 성능평가는 RMSE(Root Mean Square Error),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IOA(Index of Agreement) 등의 지표를 사용하였다.
  • 본 논문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측 분야의 선행연구로서, 다양한 Deep Learning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 CNN, LSTM 모델보다 PM2.

가설 설정

  • (ⅲ) Max Pooling Layer는 Convolution Layer의 출력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서 출력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거나 특정 데이터를 강조한 Feature를 생성한다. (ⅳ) Fully Connected Layer는 모든 Feature들이 평평하게 모든 뉴런에 연결된다. (ⅴ) Output Layer는 output을 내보낸다.
  • 여기서 함수 는 deterministic function, 는 noise or random error이며, 입력변수()와는 서로 독립적이고 기댓값 확률(평균)은 를 가정한다. 데이터를 학습한다는 것은 training set  에서 (3)의 모델함수 을 적용하여 를 만들어 내는 과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 G. Yoo et al. (2020). Impact of Meteorological Conditions on the PM2.5 and PM10 concentrations in Seoul.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11(5-2), 521-528. DOI : 10.15531/KSCCR.2020.11.5.521 

  2. S. H. Lee et al. (2019, 4). Characteristics of PM2.5 in Gwangju Evaluated by Factor Analysi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8(4), 413-422 DOI : 10.5322/JESI.2019.28.4.413 

  3. S. J. Oh, J. W. Koo & U. M. Kim. (2017). Concentration Prediction Technique Based on Locality of Fine Dust Generation.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1357-1360 

  4. A. Chaloulakou, G. Grivas & N. Spyrellis. (2003). Neural Network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 for PM10 prediction in Athens: A comparative assessment.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53(10), 1183-1190. 

  5. M. M. Dedovic, S. Avadakovic, I. Turkovic, N. Dautbasic & T. Konjic. (2016). Forecasting PM10 concentrations using neural networks and system for improving air quality. Proceeding of 2016 XI International Symposium on Telecommunications, 1-6. 

  6. D. J. Lim, T. H. Kim, R. Lee & H. M. Jung. (2017). LSTM-based Particulate Matter prediction for efficient road scattering dust removal path proposal.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24(2), 1258-1261. 

  7. K. P. Ra, M. C. Kim, M. J. Kim, S. T. Lim & Y. G. Sim. (2019).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The Fine-Dust Concentration Using RNN/LSTM.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1400-1405. 

  8. K. W. Cho, Y. J. Jung, C. G. Kang & C. H. Oh. (2019). Conformity Assessment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Particulate Matter Prediction.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3(1), 20-26. 

  9. I. H. Shin, Y. H. Moon & Y. J. Lee. (2019). Deep Learning Models for Fine Dust Prediction in Smart Cities.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397-399 

  10. Y. Bengio, P. Simard & P. Frasconi. (1994). Learning long-term dependencies with gradient descent is difficult. Neural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5(2), 157-166. 

  11. J. Y. Choi, D. H. Lee, J. Y. Kim & K. M. Jung. (2019), Air pollution prediction using deep learning based model.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859-861. 

  12. C. J. Huang, P. H. Kuo. (2018). A Deep CNN-LSTM Model for Particulate Matter (PM2.5) Forecasting in Smart Cities. Sensors, 18(7):2220 

  13. K. Zhang, G. Zhong, J. Dong, S. Wang & Y. Wang. (2019). Stock Market Prediction Based o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Procedia Computer Science, 147. 400-406. DOI:10.1016/j.procs.2019.01.256. 

  14. K. W. Cho, Y. J. Jung, J. S. Lee & C. H. Oh. (2019). PM10 Particulate Matters Concentration Prediction using LSTM.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3(2), 632-634 

  15. I. Goodfellow et al. (2014). Generative adversarial nets.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27, Montreal, Quebec, Canada, 2672-2680. 

  16. Y. J. Lee, K. H. Seok. (2018).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9(5), 1155-1167. 

  17. I. Gulrajani, F. Ahmed, M. Arjovsky, V. Dumoulin & A. Courville, (2017). Imporved Training of Wasserstein GANs. arXiv preprint arXiv:1704.000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