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IoT 센서를 활용한 미세먼지 분석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Fine Dust Analysis Technology using IoT Sensor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21 no.1, 2021년, pp.121 - 129  

신동진 (안양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이진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컴퓨터모바일융합공학과) ,  허민희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컴퓨터모바일융합공학과) ,  황승연 (안양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이용수 (여주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과) ,  김정준 (안양대학교 ICT융합학부 소프트웨어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중국에서 발생하는 황사와 더불어 국내에서는 뉴스 등 미디어를 통해 미세먼지가 큰 화제가 되고 있다. 외부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도 있지만, 외부 미세먼지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공기 청정기 제품의 구입율이 높아지고 있다. 공기 청정기는 내부에 필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센서를 통해 필터의 교체 유무를 LED 알람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하지만, 현재 필터율이 얼마나 감소하였는지 측정하고, 작동하는 송풍기의 압력을 결정해주는 제품은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oT 기기인 아두이노와 미세먼지 센서, 차압 센서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직접 생성하고, 측정된 미세먼지와 압력 값을 계산하여 필터율에 따라 필터가 얼마나 노화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파이썬 프로그래밍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ddition to yellow dust occurring in China, fine dust has become a hot topic in Korea through news and media. Although there is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outside, the purchase rate of air purifier products is increasing as external fine dust flows into the inside. The air purifier uses a filte...

Keyword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이 연구의 결과로 대기오염물질은 많은 자연적인 기상요인에 의해 미세먼지 농도는 증감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처럼 미세먼지에 대한 국가환경 문제가 증가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직접 IoT 센서를 통해 측정된 미세먼지에 대해서 분석한다.
  •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는 아두이노와 미세먼지 센서 및 차압 센서를 활용하여 필터율에 따라 적정 압력 값을 확인하며, 필터의 노화를 확인하고,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또한, 외부의 미세먼지를 직접 실내로 가져와 실험하는 방법은 환경상 어렵다. 따라서 고기집에 방문하여 센서를 연결하고,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하는 연소 가스를 측정하여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그림 4는 사용한 아두이노 6개와 미세먼지 센서 4개, 차압 센서 2개의 모습을 보여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Yong-Pyo Kim, "Research and Policy Directions against Ambient Fine Particl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33, No. 3, pp. 191-204, 2017 DOI : https://doi.org/10.5572/KOSAE.2017.33.3.191 

  2. Hyoung-Ro Lee, Chi-ho Li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rduino-based Efficient Home Security Monitoring System,"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IIBC), Vol. 16, No. 2, pp. 49-54, 2016. DOI : http://dx.doi.org/10.7236/JIIBC.2016.16.2.49 

  3. Jin-Gyeong Kim, Sang-Yong Ra, Min-Seok Kim, Jung-Hoon Kim, Jun-Dong Lee, "The Implementation of Wireless Fine Dust Sensor System Based on Arduino,"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Conference, Vol. 26, No. 2, pp. 234-235, 2018. 

  4. Jin-Su Kim, You-Jung Jang, Jin-Seok Kim, Min-Woo Park, Chan-Jong Bu, Yun-Gu Lee, Youn-Ha Kim, Jung-Hun Woo, "Evaluation of the Usability of Micro-Sensors for the Portable Fine Particle Measure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27, No. 4, pp. 378-393, 2018. DOI : http://dx.doi.org/10.14249/eia.2018.27.4.378 

  5. Chang-Seok Kim, Dong-Guk Kim, "A Study on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Fine Dust Senso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Information and Control Symposium, pp. 253-254, 2018. 

  6. Sang-Ik Lee, Jin-Kook Lee, "Visualization of the Comparison between Airborne Duest Concentration Data of Indoor Rooms on a Building Model,"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 26, No. 4, pp. 55-62, 2015. DOI : http://dx.doi.org/10.6107/JKHA.2015.26.4.055. 

  7. Kyu-Sik Shin, Sang-Woo Song, Kyun-Gil Lee, Dae-Sung Lee, Jae-Pil Jung, "Fabrication of Single Capacitive typ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for Differential Flow meter,"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Vol. 24, No. 1, pp. 51-56, 2017. DOI : http://dx.doi.org/10.6117/kmeps.2017.24.1.051 

  8. Hye-Sun Shin, "Analysis of fine dust data using bivariate distributions,"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Degree Thesis, 2018. 

  9. Min-Seok Choi, Sung-Ok Baek, "Statistical Analysis of PM10 Data in a Steel-Industrial Area,"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32, No. 3, pp. 329-341, 2016. DOI : https://doi.org/10.5572/KOSAE.2016.32.3.32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